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고려사 : 열정과 자존의 오백년 / 이상각 지음
고려사 : 열정과 자존의 오백년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고려사 : 열정과 자존의 오백년 / 이상각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들녘, 2010
  • ·형태사항 538 p., [2] p. (접지) :계보 ;25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536-538)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5278631  0390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4  듀이십진분류법-> 951.901  
  • ·주제명 고려 시대[高麗時代]고려사[高麗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상각 지음 2010 SE0000205651 911.04-15-1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글
제1장 민족 통합의 새 아침을 열다
-고려의 건국과 국가 체제의 정비
제1대 태조
보육 설화
작제건과 용녀 설화
고승 도선 설화
고려 기원설화에 대한 이제현의 비판
개국 이전
후삼국 시대의 개막
왕건의 등장
궁예의 독주와 태봉의 멸망
개국과 통일
관제의 정비와 북방 정책
변화하는 국제정세
힘겨운 통일 전쟁
대야성 전투
공산 전투
병산 전투
임진 해전
운주 전투
후백제의 내분
최후의 통일 전쟁 일선 전투
통일 이후
거란과의 불화
영웅의 최후
태조의 가족
토성분정과 본관제
지방행정제도의 개편
호족들에 대한 회유와 견제
사심관제도|기인제도
불교 진흥 정책
팔관회|연등회
태조의 유훈, 훈요십조
훈요십조 위조 논란
태조 시대의 주요 인물
고려의 건국을 예언한 도선
제2대 혜종
민활한 외교정책 수행
왕권 분쟁과 혜종의 고립
그날 이후
혜종의 가족
제3대 정종
무일의 시대
서경 천도 계획과 광군 창설
죽음의 징조
정종의 가족
제4대 광종
평화 시대의 개막
노비안검법
과거 제도
공포 시대의 도래
신세대와 귀화인들의 약진
균여의 불교 통합
평주 세력 척결
정수의 균여 고발사건
고독한 독재자의 최후
광종의 가족
제5대 경종
보복 정치의 폐해
전시과
짧은 경종의 치세
경종의 가족
고려 초기 정국의 타파책 근친혼
제2장 불굴의 민족혼을 떨쳐 일으키다
-요의 침공과 원교근공의 삼각 외교
제6대 성종
최승로의 시무이십팔조
중앙관제의 확립과 지방행정제도의 개편
유학의 진흥
요의 1차 침공과 강동 6주 획득
요, 송, 고려의 삼각 외교
성종의 가족
성종시대의 주요 인물
올바른 신하 상 정립한 김심언|냉철한 외교 전략가 서희
제7대 목종
태후의 섭정 시대
김치양의 득세
대량원군 왕순의 반격
강조의 변심과 목종의 최후
거대불상의 출현
제8대 현종
군현제의 확립과 고려의 안정
요의2차 침공
전후복구사업과 무관들의 반발
요의 3차 침공과 강감찬의 귀주대첩
평화시대의 도래
현종의 가족
군현제도의 확립
군사제도의 확립
현종 시대의 주요 인물
귀주대첩의 노익장, 강감찬|현종의 경호대장 지채문
제9대 덕종
요에 대한 공세
과거제 확립과 실록의 복원
덕종의 가족
제10대 정종
평화시대의 유비무환
거듭되는 천재지변과 성군의 요절
정종의 가족
제3장 태평성대의 주춧돌을 심다
-각종 제도의 확립과 선진 문물의 도입
제11대 문종
각종 법률의 정비
경정전시과의 시행
고려, 요, 북송의 삼국시대
북송과의 국교 재개와 벽란도의 융성
군사력의 강화와 여진 정발
유교와 불교의 진흥
분종의 가족
문종 시대의 주요 인물
사립학교의 창시자 최충|문종 치세의 일등공신 이자연
제12대 순종
순종의 가족
과거 제도
음서 제도
제13대 선종
불교와 유교의 발전
동아시아 외교 주도
선종의 가족
선종 시대의 주요 인물
천태종의 시조 대각국사 의천
제14대 헌종
계림공 왕희의 보위 찬탈
제15대 숙종
초기의 태평성대
별무반 편성
숙종의 가족
제16대 예종
윤관의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9성의 반환
금의 건국과 북방 정세의 불안
유학의 진흥과 내정의 안정
시인 예종의 낭만
예종의 가족
고려 문화의 꽃 청자의 절정시대
예종 시대의 주요 인물
냉철한 현실주의자 김인존
제4장 머나먼 평화의 길
-금의 압력과 무신정권의 출현
제17대 인종
국제 정세의 변화
한안인의 실각
친위쿠데타의 실패와 인종의 위기
요의 멸망, 금과의 화친
이자겸의 난
서경파의 약진과 천도 계획의 추진
묘청의 난
동북아의 안정과 인종의 죽음
인종의 가족
인종 ㅅ대의 주요 인물
개경 세력의 주역, 김부식|「고려도경」의 주인공 서긍
제18대 의종
연이은 역모와 문신들과의 불화
의종의 사치와 정사의 실종
의종의 방종과 백성들의 눈물
간신들의 득세와 의종의 착각
보현원의 참극과 의종의 최후
의종의 가족
의종 시대의 주요 인물
환관정치의 주역 정함
제19대 명종
이의방의 권력 독점
문신들의 반격
정중부의 집권
망이와 망소이의 난
정중부의 피살, 경대승의 집권5년
명종의 일탈
전주 관노의 난
이의민의 무소불위 13년
효심과 김사미의 난
최충헌과 최충수의 정변
봉사 10조
명종의 퇴위
명종의 가족
제20대 신종
형제간의 권력 다툼
만적의 난
이어지는 민란
신종의 가족
신종 시대의 주요 인물
고려 선종의 중흥조 지눌
제21대 희종
최충헌의 독주와 교정도감의 설치
최충헌 암살 작전
희종의 가족
제22대 강종
강종의 가족
유라시아를 휩쓴 대제국 몽고의 쓰나미
제5장 세계제국의 동반자가 되다
-몽고의 침공과 항쟁, 제국과의 밀월
제23대 고종
급변하는 국제 정세
거란의 침공
최이의 등장과 몽고의 압박
몽고 사신 저고여 피살의 여파
최이의 독재와 사치
몽고의 1차 침공과 귀주성의 혈투
강화 천도와 몽고의 2차 침공
금의 멸망과 홍복원의 반역
몽고의 3차 침공
몽고의 4차 침공
최이의 죽음과 최항의 집권
몽고의 5차 침공
몽고의 6차 침공
최씨 무신정권의 종식
몽고의 7차 침공과 고종의 죽음
고종의 가족
팔만대장경의 판각
고종 시대의 주요 인물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문장가, 이규보
제24대 원종
쿠빌라이와의 만남
쿠빌라이의 등극과 제위 분쟁
무신 정권의 종식
삼별초의 대몽항쟁
공녀들의 눈물
원종의 가족
제25대 충렬왕
제1차 일본 정벌
급변하는 고려사회의 변천
왕실의 분란과 실지 회복
남송의 멸망
제2차 일본 정벌
카다안의 침공
충렬왕의 하야와 복위
기와르기스의 노비제도 개혁
충렬왕과 충선왕의 불화
충렬왕의 가족
정동행성
충렬왕 시대의 주요 인물
「삼국유사」를 쓴 국존, 일연|동방의 주자, 안향
|고려의 대쪽 선비, 이조년
제26대 충선왕
적극적인 개혁 의지
강제 퇴위와 복위
전지 통치
유학의 발전, 고려의 세계화
충선왕의 가족
권문세족의 등장
활발해진 해외 인적 교류
제27대 충숙왕
내정의 혼란과 복국장 공주의 죽음
백응구 사건과 입성책동
충숙왕의 반격
원 황실의 분란과 순제의 등장
충숙왕의 재기와 최후
충숙왕의 가족
농장의 확산과 폐해
제28대 충혜왕
입성책동의 무산
충혜왕의 엽색행각과 조적의 난
원의 실력자 바얀의 실각
충혜왕의 복위
납치, 독살
충혜왕의 가족
충혜왕 시대의 주요 인물
공녀에서 황후가 된 여인, 기씨
제29대 충목왕
유학자와 노비출신 신료들의 대결
덕령공주의 개혁과 좌절
충목왕 시대의 주요 인물
혼란기의 현실주의자 이제현
제30대 충정왕
왜구의 등장과 홍건적의 출현
제6장 열정과 자존의 불꽃이 지다
-명의 건국과 고려의 멸망
제31대 공민왕
은인자중의 초기 개혁
조일신의 난
홍건적의 맹위와 남벌
기씨 일파의 제거와 반원정책의 가동
고려 여인들의 방종과 편조의 등장
홍건적의 1차 침공
홍건적의 2차 침공
3원수의 비극
나하추의 침입
흥왕사의 변란
두 명의 고려 국왕 덕흥군과 공민왕의 대결
신돈의 등장과 후기 개혁의 시작
대대적인 숙청과 신돈의 비상
유학자들의 반발과 내정의 안정
신돈의 개혁과 수구세력의 반동
명의 건국과 원의 축출
새로운 관계
이성계의 요동 정벌
신돈의 제거와 무장들의 약진
최영의 탐라 정벌
공민왕의 최후
공민왕의 가족
공민왕 시대의 주요 인물
가문의 매국 이력을 벗겨낸 이자춘|
고려의 의복 혁명을 이룩한 문익점
제32대 우왕
줄타기 외교 전략
왜구의 침습과 홍산 전투
최무선의 진포구 전투
이성계의 황산 전투
최영의 무진정변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
우왕의 가족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직지심체요절」
우왕 시대의 주요 인물
여말 선초의 풍운아 정도전
제33대 창왕
개혁의 높은 파고
박위의 대마도 정벌
이색의 실각
김저, 김득후 사건, 창왕의 폐위
제34대 공양왕
개혁의 박차
윤이, 이초 사건과 공양왕의 반발
공양왕의 반발
정몽주의 공세와 이방원의 역습
고려 왕조의 최후
공양왕의 가족
공양왕 시대의 주요 인물
단심과 충절의 대명사, 정몽주|고려 선비들의 절개, 두문동 72현
●주
●찾아보기
●참고문헌
●고려 왕실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