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문학사 연구와 문학 교육 = Research of literature history and education of literature / 지은이 : 정호웅
문학사 연구와 문학 교육 = Research of literature history and education of literature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문학사 연구와 문학 교육 = Research of literature history and education of literature / 지은이 : 정호웅
  •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사, 2012
  • ·형태사항 367 p. ;24 cm
  • ·총서사항 (푸른사상 학술총서 ;14)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56-362)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409405  9381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3.6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33  
  • ·주제명 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한국 문학사[韓國文學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정호웅 2012 SE0000205552 813.6109-15-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부  소설사의 구상
일제 말 소설의 창작방법
1. 머리말
2. 이광수의 경우: 순수 기호화의 창작방법
3. 이효석, 유진오, 한설야의 경우: 추상적 관념화의 창작방법
4. 김사량의 경우: 상징화의 창작방법
5. 맺음말
한국 현대소설과 불교 설화
─ 주제별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신심(信心)과 예술혼(藝術魂)
3. 혁명적 정치성(革命的 政治性)
4. 사랑의 몇 양상
5. 맺음말
한국 소설 속의 자기처벌자
1. 한국 현대소설과 자기처벌자
2. 자기파괴의 자기처벌자
3. 자기추방의 자기처벌자
4. 자기처벌자와 소설 형식
제2부  한국 현대소설과 공간
한국 현대소설과 만주 공간
1. 머리말
2. 생존의 터전으로서의 만주 공간과 생존의 논리
3. 죽음의 공간과 혁명적 정치성
4. 불평등의 공간과 인간에 대한 탐구
5. 절망의 공간과 전향지식인의 자기확인
6. 열린 가능성의 공간과 낭만적 지향성
7. 맺음말
한국 현대소설과 상해
1. 머리말
2. 가상공간으로서의 상해
3. 중국에 대한 대타자의식의 결여
4. 혁명적 정치성과 낭만적 사랑
5. 역사에 대한 회의
6. 맺음말
김동리 소설과 화개
─ 「역마(驛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1. 김동리의 화개 체험
2. 정주(定住)의 욕망이 지배하는 공간
3. 통상의 도덕률이 지배하는 공간
4. 아름다운 자연의 의미
5. 맺음말
제3부  염상섭과 박완서
「萬歲前」을 다시 읽는다
1. 맞섬의 정신
2. 개인주의-실용주의적 가치관에 대한 부정의식
3. 필마단기의 형식
4. 젊음의 문학, 환멸의 문학
『삼대』론 ─ 새로운 논의를 위하여
1. 「만세전」과 문학사의 진전
2. 서울 말 살려 쓰기와 중층성의 세계
3. 처절한 원한의 세계
4. 형성 도정의 자아
5. 지식인에 대한 추구의 단순성
6. 맺음말
냉소와 풍자 ─ 염상섭의 『효풍(曉風)』
1. 『효풍』 간행의 출판사적 의의
2. 새로운 역사 단계를 향한 안타까운 비원(悲願)
3. 풍자와 냉소
4. 심리 묘사의 다중성
5. 맺음말
우리 소설 속의 ‘赤治 3개월’
1. 머리말
2. 상황의 폭력성과 순수 욕망-『취우』
3. 타자의 시선과 맞겨루는 주체-『목마른 계절』
4. 맺음말
제4부  문학 교육의 현장
현대문학 교육과 삶의 질
─ 부분 읽기에서 전체 읽기로
1. 문학 교육의 목적과 삶의 질
2. 문학작품의 중층성(重層性)
3. 부분 읽기와 작품의 실제 왜곡
4. 금제를 넘어서
5. 맺음말
소설 재창작활동의 구상
1. 머리말
2. 소설 재창작활동의 구상
3. 읽기 활동이면서 쓰기 활동인 소설 재창작활동
4. 맺음말
푸르른 생명의 기운
─ 심훈의 『상록수』
1. 온몸으로 종을 울리고, 스스로 북이 되어-심훈의 삶과 문학
2. 영생(永生)의 정신-『상록수』의 세계
문학교실에서의 『광장』 읽기
1. 머리말
2. 『광장』과 4ㆍ19
3. 이데올로기 비판의 문제와 ‘광장’ 상징
4. 『광장』의 ‘사랑’과 ‘자살’
5. 맺음말
윤흥길론 ─ 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1. 머리말
2. 「장마」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장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향하여
4. 맺음말
시와 함께하는 산책길
1. 정중동(靜中動)의 미학
2. 십리 벌판 한가운데 선 젊은 영혼의 외로움
3. 죽음에 맞서는 굳센 의지
4. 시는 물음을 던진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