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본완역) 두보전집 : 두보재주낭주시기시역해 / [두보 저] ;김만원,김성곤,박홍준,이남종,이석형,이영주,이창숙 [역해]
(정본완역) 두보전집 : 두보재주낭주시기시역해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본완역) 두보전집 : 두보재주낭주시기시역해 / [두보 저] ;김만원,김성곤,박홍준,이남종,이석형,이영주,이창숙 [역해]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형태사항 xxiv, 900 p. ;23 cm
  • ·주기사항 대등표제:(An) annotated translation of Du Fu's poems composed while travelling 'Zi-zhou', 'Lang-zhou'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1746  93820 : \4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21.4  듀이십진분류법-> 895.113  
  • ·주제명 한시[漢詩]당시(시)[唐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두보 저] ;김만원,김성곤,박홍준,이남종,이석형,이영주,이창숙 [역해] 2010 SE0000204007 821.4-15-1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0. 머리말
1 送嚴侍郎到綿州同登杜使君江樓宴得心字
엄시랑을 면주까지 배웅하고 함께 두사군의 강루에 올라 연회를 열면서 ‘심’자를 운자로 얻다
2 奉濟驛重送嚴公四韻
봉제역에서 다시 엄공을 전송하다
3 送梓州李使君之任
재주 이사군이 임소로 가는 것을 송별하다
4 觀打魚歌
고기잡이를 보다
5 又觀打魚
다시 고기잡이를 보다
6 越王樓歌
월왕루의 노래
7 海行
해종의 노래
8 姜楚公畵角鷹歌
강초공의 각응 그림을 노래하다
9 東津送韋諷攝州錄事
동진에서 낭주녹사 대리로 부임하는 위풍을 전송하다
10 光祿坂行
광록판 노래
11 苦戰行
힘든 싸움의 노래
12 去秋行
지난 가을의 노래
13 廣州段功曹到得楊五長史譚書功曹却歸聊寄此詩
광주 단공조가 와서 장사 양담의 편지를 받았고, 단공조가 돌아가는 편에 이 시를 부치다
14 送段功曹歸廣州
단공조가 광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
15 題玄武禪師屋壁
현무선사 사당 벽에 쓰다
16 悲秋
슬픈 가을
17 客夜
객지에서 지내는 밤
18 客亭
객정
19 九日登梓州城
중양절 재주성에 오르다
20 九日奉寄嚴大夫
중양절에 엄대부에게 받들어 부치다
21 秋盡
가을이 다하다
22 戱題寄上漢中王三首
장난삼아 지어 한중왕에게 보내 드리다
23 玩月呈漢中王
달을 감상하며 한중왕께 드리다
24 從事行贈嚴二別駕
종사행 - 별가 엄이에게 드림
25 贈韋贊善別
위찬선과의 작별에 부치다
26 寄高適
고적에게 부치다
27 野望
들에서 바라보다
28 冬到金華山觀因得故拾遺陳公學堂遺跡
겨울에 금화산의 도관에 이르렀다가 고 진습유의 학당 유적을 만나다
29 陳拾遺故宅
진습유의 옛 저택
30 謁文公上方
문공의 절을 예방하다
31 奉贈射洪李四丈
사홍현 이사 어르신께 받들어 드리다
32 早發射洪縣南途中作
아침에 사홍현을 출발하여 남쪽 길에서 짓다
33 通泉驛南去通泉縣十五里山水作
통천역 남쪽으로 통천현에서 시오리 떨어진 산수를 보고 짓다
34 過郭代公故宅
곽대공 고택을 들르다
35 觀薛稷少保書畵壁
태자소보 설직의 글씨와 벽화를 보다
36 通泉縣署屋壁後薛少保鶴
통천현 관서 건물 벽 뒤 설소보의 학 그림
37 陪王侍御宴通泉東山野亭
왕시어를 모시고 통천 동산의 야정에서 잔치하다
38 陪王侍御同登東山最高頂宴姚通泉晩酒泛江
왕시어를 모시고 동산의 최고 정상에 함께 올라 잔치를 베풀었는데 요통천이 저녁에 술을 가져와 강에 배를 띄우다
39 漁陽
어양
40 花底
꽃 아래
41 柳邊
버들가
42 聞官軍收河南河北
관군이 하남과 하북을 수복했다는 소식을 듣다
43 遠遊
멀리 외지에 가다
44 春日梓州登樓二首
봄날 재주에서 누각에 오르다
45 有感五首
유감 다섯 수
46 春日題惱使君兄
봄날 장난삼아 시를 써서 학사군 형을 난처하게 하다
47 題原郭三十二明府茅屋壁
처원 곽명부의 초가 벽에 쓰다
48 奉送崔都水翁下峽
최도수 옹이 삼협을 내려가는 것을 전송하다
49 城西原送李判官兄武判官弟赴成都府
처현 현성 서쪽 들판에서 이판관 형과 무판관 아우가 성도부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50 江泛舟送韋班歸京得山字
부강에서 배를 띄우고 경사로 돌아가는 위반을 배웅하며 ‘산’자를 운자로 얻다
51 泛舟送魏十八倉曹還京因寄岑中允參范郎中季明
배를 띄워 경사로 돌아가는 위창조를 전송하고 그 편에 태자중윤 잠삼과 낭중 범계명에게 부치다
52 送路六侍御入朝
입조하는 노시어를 보내다
53 城縣香積寺官閣
부성현 향적사 관각에서
54 泛江送客
강물 위에서 손을 보내다
55 雙燕
한 쌍의 제비
56 百舌
백설
57 上牛頭寺
우두산 절에 오르다
58 望牛頭寺
우두사를 바라보다
59 登牛頭山亭子
우두산 정자에 오르다
60 上兜率寺
도솔사에 오르다
61 望兜率寺
도솔사를 바라보다
62 甘園
밀감 농원
63 陪李梓州王州蘇遂州李果州四使君登惠義寺
재주의 이사군, 낭주의 왕사군, 수주의 소사군, 과주의 이사군을 모시고 혜의사에 오르다
64 數陪李梓州泛江有女樂在諸舫爲艶曲二首贈李
재주자사 이공을 자주 모시고 강에 배를 띄웠는데, 기녀들이 배마다 있어 장난삼아  2수를 지어서 이공에게 드리다
65 送何侍御歸朝
조정으로 돌아가는 하시어를 전송하다
66 江亭送眉州辛別駕昇之得蕪字
강정에서 미주 별가 신승지를 전송하며 ‘무’자를 얻다
67 行次鹽亭縣聊題四韻奉簡嚴遂州蓬州兩使君咨議諸昆季
염정현을 들러 그저 4운시를 지어 엄수주, 엄봉주 두 사군과 엄자의참군 여러 형제분에게 받들어 편지하다
68 倚杖
지팡이를 짚다
69 惠義寺送王少尹赴成都得峰字
혜의사에서 성도로 가는 왕소윤을 보내며 ‘봉’자를 얻다
70 惠義寺園送辛員外
혜의사 밭에서 신원외를 전송하다.
71 又送
거듭 배웅하다
72 巴西驛亭觀江漲呈竇十五使君二首
파서역 정자에서 불어난 강물을 보며 두사군께 드리다
73 又呈竇使君
또 두사군에게 드리다
74 陪王漢州留杜綿州泛房公西湖
면주 두자사를 머물게 하고 방공의 서호에 배 띄운 한주 왕자사를 모시다
75 得房公池鵝
방공 연못의 거위를 얻다
76 答楊梓州
양재주에게 답하다
77 舟前小鵝兒
배 앞의 작은 거위 새끼
78 官池春雁二首
관가 연못의 봄 기러기
79 投簡梓州幕府兼簡韋十郞官
재주 막부에 편지를 보내며 아울러 위 낭관에게 전하다
80 漢川王大錄事宅作
한천의 녹사인 왕씨 첫째 집에서 짓다
81 短歌行送祁錄事歸合州因寄蘇使君
단가행 - 합주로 돌아가는 기녹사를 전송하며 그 김에 소사군에게 부치다
82 送韋郞司直歸成都
성도로 돌아가는 사직 위랑을 보내다
83 寄題江外草堂
강 밖 초당에 부쳐서 쓰다
84 陪章留後侍御宴南樓得風字
장유후시어를 모시고 남루에서 잔치하며 ‘풍’자를 얻다
85 臺上得字
누대 위에서 ‘양’자를 얻다
86 送王十五判官扶侍還黔中得開字
모친을 모시고 검중으로 돌아가는 왕판관을 전송하며 지은 ‘開’자를 운자로 쓴 시
87 喜雨
비를 기뻐하다
88 述古三首
옛날을 말한 시 3수
89 陪章留後惠義寺餞嘉州崔都督赴州
장유후를 모시고 혜의사에서 고을로 가는 가주 최도독을 전송하다
90 送竇九歸成都
성도로 돌아가는 두씨를 전송하다
91 章梓州水亭
장재주 수정
92 章梓州橘亭餞成都竇少尹得字
재주자사 장공의 귤정에서 성도소윤 두공을 전별하며 ‘양’자를 얻다
93 隨章留後新亭會送諸君
장유후의 신정 모임에 배석하여 제공을 전송하다
94 客舊館
전에 묵던 관소에 나그네 되다
95 作寄上漢中王二首
장난삼아 지어 한중왕께 부치는 시 2수
96 拂子
종려나무 불자
97 送陵州路使君之任
능주 노사군이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다
98 送元二適江左
강동으로 가는 원이를 전송하다
99 九日
중양절
100 對雨
비를 대하다
101 薄暮
어스름 저녁
102 州奉送二十四舅使自京赴任靑城
경사에서 청성으로 부임하는 외숙을 낭주에서 봉송하다
103 王州筵奉酬十一舅惜別之作
왕낭주의 잔치에서 열한번째 외숙의 석별 시에 받들어 수답하다
104 州東樓筵奉送十一舅往靑城得昏字
낭주 동루 전별연에서 청성에 가는 열한째 외숙을 받들어 전송하며 ‘혼’자를 얻다
105 放船
배를 띄우다
106 薄遊
정처 없이 떠돌다
107 嚴氏溪放歌
엄씨계에서 노래하다
108 警急
경급
109 王命
왕명
110 征夫
멀리 수자리 가는 사람들
111 西山三首
서산 삼수
112 與嚴二郞奉禮別
봉례랑 엄씨와 이별하다
113 贈裴南部
배남부에게 드리다
114 巴山
파산
115 早花
이른 꽃
116 發中
낭중을 출발하다
117 江陵望幸
강릉 행차를 바라다
118 愁坐
시름 속에 앉다
119 遣憂
근심을 풀다
120 冬狩行
겨울 사냥의 노래
121 山寺
산사
122 桃竹杖引贈章留後
도죽 지팡이의 노래 - 장유후께 드리다
123 將適吳楚留別章使君留後兼幕府諸公得柳字
장차 오와 초 지역으로 가려고 장사군 유후와 막부의 여러 공들과 작별하며 ‘유’자를 얻다
124 舍弟占歸草堂檢校聊示此詩
아우 점이 초당을 살피러 돌아가므로 이 시를 보이다
125 歲暮
세모
126 送李卿曄
이엽 경을 전송하다.
127 釋悶
번민을 풀다
128 贈別賀蘭
하란섬과 이별하며 주다
129 山歌
낭산의 노래
130 水歌
낭수의 노래
131 江亭王州筵餞蕭遂州
강가 정자에서 왕낭주가 잔치를 열어 소수주를 전별하다
132 陪王使君晦日泛江就黃家亭子二首
왕사군을 모시고 그믐날에 배를 띄워 황가정자에 가다
133 泛江
강에 배를 띄우다
134 收京
경사를 수복하다
135 巴西聞收京闕送班司馬入京二首
파서에서 경사의 수복 소식을 듣고 입경하는 반사마를 전송하다
136 城上
성 위에서
137 傷春五首
상춘 5수
138 暮寒
저녁 추위
139 遊子
나그네
140 王亭子二首
등왕정자 2수
141 玉臺觀二首
옥대관 2수
142 奉寄章十侍御
삼가 장시어에게 부치다
143 南池
남지
144 將赴荊南寄別李劍州
장차 형남으로 길 떠나려 검주자사 이씨에게 편지를 부쳐 작별하다
145 奉寄別馬巴州
삼가 마파주에게 부쳐 이별하다
146 奉待嚴大夫
엄대부를 받들어 기다리다
147 渡江
강을 건너다
148 自州領妻子却赴蜀山行三首
낭주로부터 처자식을 거느리고 도리어 촉산으로 가면서 부른 노래 3수
149 別房太尉墓
방태위의 묘소를 이별하다
150 將赴成都草堂途中有作先寄嚴鄭公五首
성도 초당으로 돌아가는 길에 시를 지어 먼저 엄 정공께 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