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인재관리·육성 실무 핸드북 : 인재 활성화가 회사를 바꾼다! / 편저 : 현대경영연구소
인재관리·육성 실무 핸드북 : 인재 활성화가 회사를 바꾼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인재관리·육성 실무 핸드북 : 인재 활성화가 회사를 바꾼다! / 편저 : 현대경영연구소
  • ·발행사항 서울 : 승산서관, 2015
  • ·형태사항 348 p. :삽화, 도표, 양식 ;26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교육·육성 관련 제도 및 운영 예 ; 도식으로 보는 인사관련 제도 ; 인사업무 유형별 모델해설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5042963  1332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5.3  듀이십진분류법-> 658.3  
  • ·주제명 인사 관리[人事管理]편람[便覽]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편저: 현대경영연구소 2015 SE0000196743 325.3-15-6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 제1장 인사업무와 그 역할
● 제2장 인사정책의 확립
●  제3장 모집ㆍ채용과 적정 인원
● 제4장 직능자격제도와 전문직제도
● 제5장 인사고과의 운영
?● 제6장 승진ㆍ인사이동의 관리
● 제7장 임금제도와 토털시스템
● 제8장 휴(복)직ㆍ정년제 등의 관리
● 제9장 표창과 징계의 운영실무
● 제10장 복지대책의 실시
● 권말부록 교육ㆍ육성 관련 제도 및 운영 예
● 권말부록 2 도식(圖式)으로 보는 인사관련 제도(制度)
● 권말부록 3 인사업무 유형별 모델해설
(승진 테스트 겸용 가)
제1장 인사업무와 그 역할
1 경영을 좌우하는 '인사 운영'
⑴ 인사업무는 공정하게
◈ 인사관리 업무의 전체상
⑵ 인사업무의 중요성
⑶ 인사관리의 기본 사고방식
2 인사부문의 역할
⑴ 인사관리 업무
◈ 인사담당 임원의 요건
◈ 본사·본점의 인사관리 업무
◈ 인사부문 스탭의 요건
⑵ 공평한 처우와 불공평한 처우
⑶ 공평한 인사관리의 추진
⑷ 인사처우의 초점
⑸ 인사관리의 유연한 자세
3 인 사 권
⑴ 최고 경영자의 인사권과 라인의 인사권
⑵ 인사관리 부문의 인사권
⑶ 인사의 운(運 )
◈ 기업전략 작성과 실행의 프로세스
제2장 인사정책의 확립
1 인사정책의 수립
⑴ 기본 사고방식
⑵ 인사정책의 시안(試案)
2 인간성의 존중
⑴ 인간성 존중의 3기둥
⑵ 장점을 살린다
⑶ 사원의 의향을 존중
⑷ 처우의 사회적 레벨을 배려
3 능력주의에 대응하는 처우
⑴ '능력'의 3요소
⑵ '능력'의 구체화
⑶ 연공서열(年功序列)로 볼 수 있는 현상(現象)
⑷ 능력주의 관리의 함정
4 경영자세와 인재육성
⑴ 인재는 자산
⑵ 자기계발(自己啓發)에 대한 지원
5 인재육성체계의 '시안(試案)' 작성
⑴ 사원상(社員像)의 명시
◈ 기업의 사원상(社員像)이란
⑵ 인재가 육성되는 환경
⑶ 교육 필요성의 착안점―능률의식
◈ 능률의식의 효용
⑷ 업무에 대한 관찰·사고(思考)·방법의 지도
6 사원의 구성대책
⑴ 감모율(減耗率)의 변화
⑵ 피라미드형 구성인 경우의 대책
⑶ 등롱형(燈籠型), 역삼각형인 경우의 구성 대책
① 중고령자의 고능력을 활용
② 신진대사의 촉진
③ 정년 연장과 재고용제도
7 사 기 대 책
⑴ 사기士氣와 관리자의 자세
⑵ 사기상태의 간단한 판별법
⑶ 의욕을 높이는 대책
① 우수한 카운슬러가 있을 것
② 카운슬러의 입장
③ 운영방법
◈ 인사제도 형태의 예
◈ 복선형(復線型) 인사제도의 예
8 인사제도의 개념도 예
◈ 인사 시스템의 기본이념과 중요 과제
◈ 인사제도와 그 사고방식의 예
◈ 인사제도의 상호 관련도
◈ 종합 인사관리 시스템 예
◈ 인사관리 시스템 예
◈ 인사제도의 상호 관련도
◈ 인재정보 파악 시스템의 개요
◈ 4가지 보조 시스템의 개요
◈ 신 인사제도의 기본 사고방식
◈ 신 인사제도 설계의 프로세스
◈ 새로운 인사제도의 요약
◈ 신 인사제도의 체계
◈ 인사관리의 패턴
◈ 관리직을 위한 진로 지도표
◈ 목표관리표(대졸 신입사원용)
제3장 모집ㆍ채용과 적정 인원
1 채 용 업 무
⑴ 채용인원의 적정 산정법
⑵ 모집·전형의 준비와 추진
⑶ 전형에 있어서의 유의점과 사고방식
⑷ 전형의 공평한 진행과 평가
⑸ 시용기간 설정의 효용
2 필요인원의 관리
⑴ 필요인원의 '여유'와 '적정'
⑵ 인원계획의 추진
① 미크로적 인원에 대한 산출법
② 마크로적 인원계획과 산출법
③ 인원계획에 고려해야 할 기타 사항
3 직종의 구분과 정의
⑴ 직종일람표(예)
⑵ 직종과 자격 등급의 대응(예)
⑶ 직군職群 분류와 내역(예)
⑷ 직종의 정의(예)
⑸ 직종 편성표(예)
4 직급과 능력 개발 예
⑴ 직급 분류 기준 일람표(예)
⑵ 직무조사의 실시항목과 기간(예)
⑶ 직무조사의 양식과 기입 예
⑷ 능력개발제도와 인사제도의 관련도
⑸ 능력개발체계표
⑹ 능력개발표Ⅰ(1~3등급)
⑺ 능력개발표Ⅱ(4~7등급)
제4장 직능자격제도와 전문직제도
1 직능자격제도의 필요성
⑴ 직능자격제도의 의미
⑵ 사정승급(査定昇給)
⑶ 사정승급 업무의 추진
⑷ 사정승급 방법의 예
2 직 능 시 스 템
⑴ 능력의 내용
⑵ 직능의 종류
⑶ 직능평가의 항목
⑷ 직능의 평가
3 전문직 제도의 추세
⑴ 전문직 제도의 과제
⑵ 전문직 직종을 특정한 사례
⑶ 전원 전문직 제도와 그 사례
4 직능자격제도의 예
◈ 직능자격 기준을 중심으로 하는 인사제도 관련도
◈ 직능 요소 파악의 착안점
◈ 직무와 직능의 정의
◈ 직능조사의 기본순서
◈ 직군(職群) 분류의 내역
◈ 직 능 유 형(職能類型)
◈ 직무군(職務群) 유형
◈ 직능자격제도의 정의
◈ 직능 자격등급 구성과 자격 정의
◈ 등급별 자격기준
◈ 직능등급 기준
◈ 과업단계의 정의와 직능 요건
◈ 직능자격제도의 골격
◈ 직무기준과 직능요건
◈ 직무 직능 조사표
제5장 인사고과의 운영
1 인사고과의 유형과 특색
⑴ 고과의 대상
⑤ 강제 택일법
⑥ 업무 보고법
⑦ 업무 근태 기록법
⑵ 인사고과의 유형
① 척 도 법
② 성적 순위법
③ 성적 평어법
④ 프로브스트법
2 평가구분과 평가요소
⑴ 평가구분
⑵ 평가요소 항목
◈ 평가요소의 예 ◈ 인물 평어評語의 예
⑥ 중심화 경향을 배제할 것
⑦ 엄정·공평한 태도로
◈ 표준 레벨 이하로 평가되는 경우
⑶ 실시에 있어서의 배려사항
① 상급 직위자의 평가는 엄격하게 한다
② 상급 평가자의 입장에 대한 이해
③ 선입관(先入觀)을 없앤다
④ 사람을 보는 눈을 높인다 ◈ 평가 판단을 잘못하기 쉬운 사항
⑤ 관대화(寬大化) 경향을 배제할 것
3 고과의 조정
⑴ 사전 조정(事前調整)의 방법
◈ 평 가 도(評價圖)
⑵ 사후 조정(事後調整의 방법
① 부문 조정용의 데이터 작성
◈ 부문 조정용 데이터 시트 ◈ 성적 능력별 조정 목표점
② 부문 내 조정(調整)
⑶ 능력의 구성과 인사고과
4 인사고과제도의 운영 예
◈ 새로운 인사고과 제도의 방향 171 ◈ 평 가 순 서
◈ 인사고과의 구성 ◈ 목적별 인사고과의 기준 1
◈ 인사고과제도의 위치
제6장 승진ㆍ인사이동의 관리
1 승진제도의 패턴과 추진
⑴ 승진제도의 패턴
⑵ 승진 사무의 추진
2 인사이동의 목적과 추진
⑴ 실무 운영상의 사정
⑵ 적재적소의 교육 배치
⑶ 기풍쇄신 이동
⑷ 이동의 문제점
⑸ 인사이동 사무의 추진
◈ 직무분석과 인사관리의 관련
◈ 직무조사 작업순서
◈ 평가 요소의 구성과 중요도重要度, 평가 점수표
⑹ 자격제도 및 승진제도 운용 예
◈ 승격(승진) 기준
◈ 승진판정기준
◈ 자 격 등 급
◈ 자격요건(각 직위 공통)
◈ 직능별 능력 요건서
◈ 직능분류제도의 구조
◈ 직능분류체계
◈ 바람직한 과장상은 어떤 것인가
제7장 임금제도와 토털시스템
1 임 금 제 도
⑴ 임금의 지급형태
⑵ 임 금 수 준
⑶ 임 금 체 계
2 인건비 토털시스템
⑴ 인건비의 규정 요인
⑵ 총액 임금 연봉제의 도입과 전망
⑶ 임 금 제 도 예
◈ 고용관행과 임금형태의 대응
◈ 기본급 결정의 3가지 방식
◈ 개별임금의 요소별 결정 방식
◈ 임금체계의 구성
◈ 직무급과 직능급의 차이
◈ 혼합형·병존형 체계의 장점·단점
3 운영의 예
◈ 신 임금체계의 기본목적과 새로운 기본급 체계
◈ 신 임금 체계
◈ 임 금 체 계
◈ 급 여 체 계
◈ 주요 임금체계의 유형
제8장 휴(복)직ㆍ정년제 등의 관리
1 휴직의 이유별 대응법과 복직
⑴ 사유는 다양
⑵ 복 직
2 정년제의 관리
⑴ 정년제의 목적과 정년연령에 대한 사고방식
⑵ 정년 연장과 재고용제도
3 퇴직이유와 그 처리
⑴ 어떠한 이유가 있는가
⑵ 퇴직이유에 따르는 처리
4 정년 퇴직 등 제도 예
◈ 중고년대책의 체계도
◈ 고령화 대책 체계도
◈ 실버플랜 관련도
제9장 표창과 징계의 운영실무
1 표창은 공평한 선택을
⑴ 표창 대상과 그 운영
⑵ 정기표창 실시 요령
◈ 근무성적에 의한 정기표창 기준
2 징 계
⑴ 징계 대상이 되는 행위
⑵ 징 계 절 차
◈ 징계의 대상이 되는 행위 및 그 내용
제10장 복지대책의 실시
1 기업 복지대책의 현황
2 앞으로의 복지대책
3 복지제도 실시의 예
◈ 복지비전 실현으로 가는 길
◈ 기업 비전에 대한 기본적 사고방식
◈ 목표 달성을 위한 표어
◈ '복지 비전' 프레임워크
◈ 복지 체계표
◈ 경영관리 행동의 형성
권말부록1 : 교육ㆍ육성 관련 제도 및 운영 예
◈ 인재육성과 인사제도의 관련도
◈ 인 재 개 발 체 계
◈ 교 육 체 계
◈ 능력개발 사이클과 각 제도의 관련도
◈ 신 교 육·연 수 체 계
◈ 교 육 체 계
◈ 교 육 체 계 도
◈ 교 육 체 계 도
◈ 교 육 체 계 일 람
◈ 정 보 교 육 체 계
◈ 매니지먼트 교육 체계도와 상호 관련표
◈ 매니지먼트 교육 체계도
◈ 로테이션 루트
◈ 교 육 진 로 도
◈ 교육훈련 실시의 프로세스
◈ 코스완료보고서
◈ 간접 합리화와 OA교육의 관계
◈ 자기계발(통신교육)을 위한 강·약점 확인 시트
권말부록2 도식(圖式)으로 보는 인사관련 제도(制度)
■부문요원계획의 책정/■중기계획·연도계획의 책정/■인사기획의 업무/■인재개발부문의 업무/■지적知的 자본의 충실에 대한 공헌/■인사부문에 요구되는 새로운 역할/■인사부문에 영향을 주는 환경의 변화/■일반적인 인사부문 조직 체제/■인사 스탭의 능력 평가/■요원계획의 책정/■사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인사전략의 책정과 인사제도의 구축/■종합 포상에 입각하는 보수제도의 구축/■채용계획의 입안과 채용의 실무/■인사제도 운용 모니터링/■외부 인재 자원의 활용/■교육 연수 회사/?채용 지원 회사/■인사부문이 대처해야 할 CSR의 범위/■인사부문에 의한 구체적 대처/■인사부의 정보기술 활용
권말부록3 인사업무 유형별 모델해설
■ 인사 노무관리
■ 업무의 배정
■ 명령ㆍ지시ㆍ보고
■ 목 표 관 리
■ 리 더 십
■ 자 기 계 발
■ 코스트 의식
■ 임 금 관 리
■ 인 사 고 과
■ 능 력 개 발
■ 동 기 부 여
■ 안 전 관 리
■ 직장 스트레스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