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 앙드레 슈미드 지음 ;정여울 옮김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 앙드레 슈미드 지음 ;정여울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07, (2012 4쇄)
  • ·형태사항 755 p. :삽화, 지도, 초상 ;22 cm
  • ·주기사항 원표제:Korea between empires 1895-1919
    원저자명: Andre Schmid
    참고문헌: p. 704-733,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621935  03900 :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59  듀이십진분류법-> 951.902  
  • ·주제명 한국 근대사[韓國近代史]한국 민족 주의[韓國民族主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앙드레 슈미드 지음 ;정여울 옮김 2007 SE0000204772 911.059-15-2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옮긴이 서문
감사의 말
서론 어떤 기념비 이야기
01 '민족'이라는 새로운 개념
광개토왕비를 둘러싼 의혹들
1895~1919년까지의 지적 흐름들
신문 미디어와 민족
02 문명과 동양
두 제국 사이에 낀 한국
'중화'로부터의 탈중심화
03 식민주의와 역사
문명과 개화의 뒤엉킨 착종
'민족' 개념의 등장
04 민족의 경계
영토와 지도 제작술
북방의 국경 이야기
남한과 북한의 민족주의
1장 문명의 강풍이 불어오다
05 내우외환
저수지가 일으킨 세계사적 변화
세 가지 역사 내러티브
1905년의 역사적 위치
06 글로벌리즘과 내셔널리즘의 환상적 결합
문명개화의 능력들
"뭔가 결핍되고 뒤떨어졌다"
문명의 그림자
07 민족주의 지식인들
"여성을 교육하라"
노르베르트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
문명개화와 의병의 충돌
그들은 만나지 않았다
08 민족의 눈과 귀
신문 편집자들과 필자들
독자의 탄생
2장 탈중화와 동양의 재편
09 중국의 강등
중국 묘사법
"저렇게 되지는 말아야지"
10 진정한 문화, 순수한 정체성
표상의 극적인 변화
을지문덕을 발견하다
11 민족주의의 언어
민족성 복원 프로젝트
문자와 지식의 관계를 재구성하다
한자와 한글의 '민족화'
12 국왕에서 황제로
조선, 대한제국으로 거듭나다
의례의 발명
주권과의 마찰
13 국기
말할 수 없으면 침묵하라
태극과 사괘, 그리고 중국 지식
14 사라져버린 한국과 동양의 문명
역사적인 '동양'
과거에서 문명의 증거를 찾다
15 동양의 평화와 화합을 부르짖는 인종담론들
세계의 인종 - 황색, 백색, 흑색, 갈색, 적색
범아시아주의적 접근
국가, 지역, 인종의 위기
16 동양적 연대의 해체
편집자들의 '동양'
이토 히로부미의 배반
편집자들의 '만족'
3장 문명화된 일본과의 만남
17 일본의 높아진 위상
서양이 된 일본
문명사회의 위계질서
화려한 과거, 우울한 현재
18 국가 간의 대화
한국에 관한 일본의 기사
일본에 대한 한국의 기사
19 양반의 이미지
한국의 불행은 그들의 탓
양반의 개혁 가능성은?
20 사대주의의 위험
'의존'
'종교'의 시대에서 '민족'의 시대로
21 식민주의의 대단원
신문 미디어의 변절
민족주의에 담긴 수수께끼
4장 혼, 역사, 그리고 정통성
22 정신적인 민족
박은식의 이원론
혈죽
민족에 대한 정신적인 사유
23 고대 제국 신화로부터 근대 식민 신화로
천 년의 스토리
민족사 서술의 사례
24 경쟁하는 역사관들

하야이 다이스케 대 현채
극단적인 입장들
25 국제적 무대 위에 올라선 일본 식민주의
한국의 과거와 현재는 어떻게 표상된 것인가
서구 언론에 투영된 한국 이미지
베델의 존재
롱퍼드의
5장 민족국가 이야기
26 민족의 어원들
민족 개념의 출현
민족과 국가의 차이
27 민족의 기원에 대한 서사와 정통성의 문제
단군조선 대 기자조선
유교적 역사 서술 대 새로운 역사 서술
28 계보학으로서의 역사
신채호의 탁월한 상상력
역사와 민족, 드디어 하나가 되다
민족주의 역사 서술의 탄생
29 역사를 가진 국가
"역사가들의 무지가 어찌 그 지경에 이르렀단 말인가?"
가문의 역사가 된 내셔널 히스토리
30 인간에서 신으로
신이 된 단군
민족주의 역사 서술의 표본들
6장 반도의 경계들
31 중국과의 경계 만들기
정약용의 지리학
장지연의 지리학
백두산정계비의 기원
흐지부지된 간도 분쟁
32 백두산정계비와 울타리
지리학 지식들
간도에 대한 글쓰기
33 풍수지리와 백두산의 쇠퇴
풍수지리 담론 대 행정담론
추락과 비상의 상징, 백두산
7장 반도의 경계를 넘어
34 한국의 만주
만주와 한반도의 지리적 관계
통일과 분열의 관점
35 잃어버린 땅을 찾는 목소리들
'독사생'이라는 필명
민족에 대한 신채호이 특수한 개념화
36 민족의 이산
해외 이주자들
이민과 디아스포라를 통한 영역 확대
37 네이션의 개념을 뒤집다
공간 이해의 다양성과 가변성
공간과 애국심 사이의 모순
공간 논리의 역전
38 국가의 후견인들
민족주의 운동의 주도권
반도의 외부로 옮겨진 국가
에필로그 식민주의 와 민족주의의 동일성
39 언어의 순수성
한글과 조선글
문자들의 교묘한 균형잡기
40 반식민주의 역사관을 향해
남북의 임나일본부설 비판
이기백의 다섯 가지 식민 사관
반식민주의의 역설과 민족주의의 딜레마
남북 역사학의 단군 전유
41 북방으로 시선을 돌리기
두 개의 민족주의 운동 해석
북방 영토를 사유하다
미주
참고문헌
슈미드의 역사학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