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장애인사 : 역사 속의 장애 인물 / 정창권,윤종선,방귀희,김언지 지음
한국장애인사 : 역사 속의 장애 인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장애인사 : 역사 속의 장애 인물 / 정창권,윤종선,방귀희,김언지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솟대, 2014
  • ·형태사항 320 p.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26 cm +요약본 1책 (51 p.)
  • ·주기사항 권말부록: 참고 사이트 등
    참고문헌(p. 306-309)과 색인수록
    2012년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사업(한국의 역사 속의 장애 위인)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_2012_DIS_510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5863407  0391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8.30911  듀이십진분류법-> 362.4109519  
  • ·주제명 장애인[障碍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창권,윤종선,방귀희,김언지 지음 2014 SE0000160824 338.30911-15-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여는 글 _ 04
한국장애인사 개관 _ 10
제1부 왕족 편
진정한 리더 세종(시각장애) _ 16
귀양을 면제 받은 환성군(간질장애) _ 23
비운의 왕 선조(정신장애) _ 25
노화로 시각장애를 앓았던 숙종(시각장애) _ 31
말썽 많은 왕자 경평군 이륵(정신장애) _ 37
슬픈 왕의 딸 정화옹주(언어장애) _ 42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경종(성기능장애) _ 45
편견 없는 삶을 산 안흥군(청각, 언어장애) _ 50
마지막 황제 순종(자폐증) _ 52
제2부 관료 편
등이 굽은 정승 허조(지체장애) _ 60
공에는 차별이 없다 했던 이옥산(시각장애) _ 64
변치 않은 충심으로 왕에게 직언한 신자교(시각장애) _ 66
승승장구하던 공서린(정신장애) _ 68
중종반정의 일등공신 권균(간질장애) _ 71
말썽쟁이 관료 이정호(정신장애) _ 74
일각정승(一脚政丞) 윤지완(지체장애) _ 78
생육신 권절(지체장애) _ 82
벗을 잃고 마음의 병을 얻은 조욱(정신장애) _ 87
유쾌한 우정을 나눈 이람과 원욱(시각장애) _ 89
파란만장한 삶을 산 정승 심희수(지체장애) _ 91
필담으로 정치한 이덕수(청각장애) _ 99
키 작은 재상 이원익(지체장애) _ 103
탕평가이자 개혁가인 채제공(시각장애) _ 106
애마를 타고 나라를 구한 장군 황대중(지체장애) _ 111
목숨을 걸고 신의를 지킨 의병 유팽로(시각장애) _ 114
발작을 이겨낸 지방 관리 임익상(간질장애) _ 118
제3부 학자 편
집념의 대학자 조성기(지체장애) _ 122
여항문화의 꽃을 피운 장혼(지체장애) _ 134
비운의 천재 문인 강이천(시각장애) _ 151
성리학을 실천학문으로 연구한 학자 기정진(시각장애) _ 157
수학의 천재 김영(언어, 정신장애) _ 164
제4부 예술가 편
시로 소통한 고순(청각장애인) _ 176
시인 점복가 유운태(시각장애) _ 179
천생연분 부부 김성침과 홍씨(시각장애) _ 182
거침없는 삶을 산 강취주(청각장애) _ 184
시에서 광채가 난 지여교(지체, 시각장애) _ 186
섭리를 따르고자 한 내시 시인 김창의(성기능장애) _ 188
천민 출신의 시인 이단전(시각, 언어장애) _ 193
천재 화가 최북(시각장애) _ 206
조선 최고의 묵죽화가 이정(지체장애) _ 217
조선의 명필 조광진(언어장애인) _ 228
퉁소의 명인 김철(시각장애) _ 231
뛰어난 음악 실력을 뽐낸 세 명의 관현맹인, 이반·정범·김복산(시각장애) _ 232
오묘한 거문고 소리를 연주한 이마지(시각장애) _ 235
한쪽 눈의 여류 예술가 백옥(시각장애) _ 237
아쟁의 거벽이 된 김운란(시각장애) _ 239
왕에게 상소 올린 관현맹인 홍석해·하효달·김석명(시각장애) _ 241
오묘한 비파 소리를 낸 백성휘(시각장애) _ 244
거리의 행복한 가객 손봉사(시각장애) _ 246
중복장애 가수 통영동이(시각, 지체장애) _ 248
가야금의 대가 윤동형(시각장애) _ 250
제5부 기타 인물 편
출세하여 벼슬까지 얻은 점복가 지화(시각장애) _ 254
명경수에 뛰어난 점복가 김학루(시각장애) _ 266
신통한 점술로 유명했던 홍계관(시각장애) _ 274
양반 출신의 점복가 이광의(시각장애) _ 279
언변에 뛰어난 해학가 김인복(시각장애) _ 282
언어장애인 대장장이 탄재(언어장애) _ 287
여성 사업가 고성 이씨 부인(시각장애) _ 290
최초의 근대적 특수교육을 받은 오봉래(시각장애) _ 297
조선에서 가장 행복했던 옥분이(지체장애) _ 301
부록
참고 문헌 _ 306
참고 사이트 _ 309
장애 유형별 색인 _ 310
시각 자료 _ 313
관련 자료 _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