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중국 고대) 서예론 선역 / 上海书画出版社,崔尔平 선편 ;박낙규,백윤수,명법,정혜린,이슬기,윤성훈 편역
(중국 고대) 서예론 선역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중국 고대) 서예론 선역 / 上海书画出版社,崔尔平 선편 ;박낙규,백윤수,명법,정혜린,이슬기,윤성훈 편역
  •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4
  • ·형태사항 408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원표제:历代书法论文选
    원표제:历代书法论文选续编
    참고문헌: p. 375-376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7-361-AL0016)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수록됨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6862032  9364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40.1  듀이십진분류법-> 745.61  
  • ·주제명 서예[書藝]중국 고대 시대[中國古代時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上海书画出版社,崔尔平 선편 ;박낙규,백윤수,명법,정혜린,이슬기,윤성훈 편역 2014 SE0000160415 640.1-15-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上海书画出版社,崔尔平 선편 ;박낙규,백윤수,명법,정혜린,이슬기,윤성훈 편역 2014 SE0000194549 640.1-15-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부 제1부 한(漢) 및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허신(許愼): 설문해자서(說文解字序)
채옹(蔡邕): 필론(筆論), 구세(九勢)
위항(衛恒): 사체서세(四體書勢)
위삭(衛?): 필진도(筆陣圖)
왕희지(王羲之): 제위부인필진도후(題衛夫人筆陣圖後)
왕승건(王僧虔): 서부(書賦)
소연(蕭衍): 관종요서법십이의(觀鍾繇書法十二意)
유견오(庾肩吾): 서품(書品)
제2부 제2부 당(唐)
우세남(虞世南): 필수론(筆髓論)
손과정(孫過庭): 서보(書譜)
장회관(張懷瓘): 서단(書斷)
안진경(顔眞卿): 술장장사필법십이의(述張長史筆法十二意)
한유(韓愈): 송고한상인서(送?閑上人序)
제3부 제3부 송(宋)
소식(蘇軾): 논서(論書)
황정견(黃庭堅): 논서(論書)
미불(米?): 해악명언(海嶽名言)
강기(姜夔): 속서보(續書譜)
해제 : 중국 서론(書論)의 이해와 미학적 관점
Ⅰ. 서론이란
Ⅱ. 서론의 출발과 전개 ? 한(漢),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당(唐), 송(宋)
1. 한 및 위진남북조의 서론
2. 당의 서론
3. 송의 서론
Ⅲ. 서론에 나타나는 미학적 문제들
1. 서체의 변천사
2. 글씨의 아름다움의 발견과 서론의 탄생
3. 청류(淸流), 일민(逸民), ‘위진인(魏晉人)’의 역사적 배경과 그들의 정신세계
4. 위진남북조 시기 글씨의 세속적 명성과 미적 체험
5. 글씨를 통한 위진인의 초월적 세계의 지향(志向)
6. 인물 품평의 유행과 글씨의 평론
7. 위진남북조 서론에 나타난 중요 미학적 개념과 의미
8. 당(唐)과 송(宋) 시기에 나타난 서론의 변화와 미학사적 의미
9. 서론 연구의 사례와 향후 과제들
참고문헌
참고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