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전자기록관리론 / 임진희 지음
전자기록관리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전자기록관리론 / 임진희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3
  • ·형태사항 411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한국국가기록연구원 교육총서 ;2)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336081  9402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24.91  듀이십진분류법-> 025.1714  
  • ·주제명 기록물 관리[記錄物管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임진희 지음 2013 SE0000079837 024.91-14-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 간 사   3
추 천 사   5
저자서문   8
일러두기   9

1장 - 전자기록 생산 환경의 이해   23
개   요   24

1절 공공기관의 전자기록생산과 관련된 법규   26
1. 전자정부법과 시행령   26
2.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30

2절 공공기관의 전자기록생산시스템   34
1. 전자문서시스템   34
2. 업무관리시스템   36
3. 행정정보시스템   44

3절 민간영역의 전자기록 관련 제도   47
1.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과 시행령   47
2. 전자문서 제도   50

단원학습문제   58

2장 - 전자기록의 구조와 특성 이해   61
개   요   62

1절 전자기록의 개념   64
1. 데이터, 정보, 전자문서, 전자기록의 구분   64
2. 정보 내용의 디지털 표현 방식   71
3. 전자기록의 디지털 정보 구성   76

2절 전자기록의 계층적 구조   82
1. 전자기록 건(Item)의 구성   82
2. 전자기록 계층 구성   89

3절 전자기록의 종류별 특성   94
1. 결재 및 보고 전자문서 기록   94
2.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   97
3. 이메일(E-mail) 기록   104
4. 웹(Web) 기록   108
5. 기타 데이터세트의 종류   117

4절 전자기록의 품질 요건   124
1. 진본성(Authenticity)   124
2. 신뢰성(Reliability)   133
3. 무결성(Integrity)   136
4. 이용가능성(Usability)   151

단원학습문제   154

3장 - 전자기록의 관리 절차   161
개   요   162

1절 전자기록관리 관련 국제표준   164
1. KS X ISO 15489   164
2. KS X ISO 23081   175
3. KS X ISO/TR 26122   180

2절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184
1. 전자기록관리 원칙   184
2. 전자기록의 생산 단계   187
3. 기록관 관리 단계   194
4.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관리 단계   198

3절 기록관리 표준운영절차   203
1. 기록관 표준운영절차   203
2. 영구기록물관리기관 표준운영절차   210

단원학습문제   219

4장 - 전자기록시스템 설계   225
개   요   226

1절 기록시스템 설계 및 구축 방법론   228
1. 기록시스템의 생명주기   228
2. DIRS 방법론   232

2절 해외 기록시스템 기능요건 표준   242
1. 국제표준의 동향   242
2. 미국 국방부 DoD 5015.02-STD   244
3. 유럽연합 MoReq   246
4. 국제표준 ISO/TR 14721:2012   258
5. 국제표준 ISO 16175   265

3절 국내 기록시스템 기능요건 표준   273
1. 공공표준-전자기록생산시스템 기록관리 기능요건 표준   273
2. 공공표준 -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   279
3. 공공표준 -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   283

4절 국내 기록시스템 사례   287
1. 자료관시스템   287
2. 표준 기록관리시스템   292
3. 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   302
4. 대통령기록관리시스템   306

단원학습문제   313

<b.5장 -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317
개   요   318

1절 장기보존 전략   320
1. 장기보존 전략의 유형   320
2. 보존포맷 표준과 사례   326
3. 장기보존 매체   330
2절 국내 공공기록 장기보존 전략 도구   340
1. NEO(NAK's Encapsulated Object)   340
2. 전자서명 장기검증 체계   346
3. 디지털화 기술과 지침   352

3절 업무연속성과 위험관리   358
1. 전자기록 장기보존 정책 프레임워크   358
2. 위험관리 프레임워크   368
3. DRAMBORA 프레임워크   371
4. 국가기록원 전자기록장기보존 위험관리 사례   377
5. 대통령기록관 디지털아카이브 업무진단 사례   388

단원학습문제   396

■참고문헌   402
■단원학습문제 모범해답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