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 박상준 지음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 박상준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4
  • ·형태사항 348 p. :삽화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35-343)과 색인수록
    권말부록: 사회과 교재 연구 방법(양식) ; 사회과 수업 분석표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5408347  93370 :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4.3  듀이십진분류법-> 375.3  
  • ·주제명 교재 연구[敎材硏究]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상준 지음 2014 SE0000136402 374.3-14-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3 

제1부 사회과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제1장 수업의 이해 13 
1. 수업의 의미 14 
2. 수업을 보는 관점 16 
3. 좋은 수업의 요소와 특징 21 

제2장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27 
1. 수업 설계 모형 28
2. 교재 연구 모형 34 

제3장 사회과의 수업 설계와 교재 연구 41 
1. 사회과 교육과정의 이해 42 
2. 사회과의 수업 설계 모형 47 
3. 사회과의 교재 연구 모형 54 

제2부 사회과의 교수 방법 

제4장 강의식 수업 75
1. 강의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76 
2. 강의식 수업의 특징 77 
3. 강의식 수업의 유형과 방법 78
4. 강의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81 

제5장 개념 학습과 일반화 학습 84 
1. 개념 학습의 의미와 목표 85 
2. 속성 모형 93 
3. 원형 모형 96 
4. 상황 모형 100 
5. 개념 학습의 효과와 전략 104 
6. 일반화 학습 106 

제6장 문답식 수업 109 
1. 문답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110 
2. 문답식 수업의 장점과 단점 112 
3. 문답식 수업과 질문의 유형 115 
4. 문답식 수업의 방법 124 
5. 문답식 수업의 적용 129 
6. 문답식 수업의 한계 130 

제7장 탐구 수업 132 
1. 탐구 수업의 의미와 목표 132 
2. 탐구 수업의 방법 134 
3. 탐구 수업의 적용 135 
4. 탐구 수업의 전략 143 

제8장 문제 해결 학습 145
1. '문제'의 성격과 종류 146 
2. 문제 해결 학습의 의미와 목표 149 
3. 문제 해결 학습의 방법 150 
4. 문제 해결 학습의 적용 155 

제9장 문제 중심 학습(PBL) 157 
1. 문제 중심 학습(PBL)의 의미와 목표 158 
2.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 162 
3. 문제 중심 학습의 적용 166 
4. 탐구 수업, 문제 해결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의 비교 168 
 
제10장 의사 결정 수업 171 
1. 의사 결정 수업의 의미와 목표 172 
2. 개인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76 
3. 집단적 의사 결정 수업의 방법 182 
4. 의사 결정 수업의 한계 186 

제11장 논쟁 문제 수업 188 
1. 논쟁 문제 수업의 의미와 목표 188 
2. 논쟁 문제 수업의 방법 191 
3. 논쟁 문제 수업의 적용 195 
4. 논쟁 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201 
5. 논쟁 문제 수업의 한계 205 

제12장 토론 수업 207 
1. 토의와 토론의 의미 208 
2. 토론 수업의 목표와 효과 210 
3. 토론 수업의 유형 213 
4. 토론 수업의 방법: 배심 토의, 짝 토의, 찬반 대립 토론 214 
5. 토론 수업의 규칙과 교사의 역할 220 
6. 토론 수업과 논쟁 문제 수업의 비교 222 

제13장 협동 학습 224 
1. 협동 학습의 등장 배경 225 
2. 협동 학습의 목표와 필요조건 227 
3. 과제 분담 학습 모형(Jigsaw) 232 
4. 집단 성취 분담 모형(STAD) 239 

제14장 가치 수업 242 
1. 가치 수업의 의미와 목표 243 
2. 가치 주입의 방법과 한계 245 
3. 가치 명료화의 방법과 한계 246 
4. 가치 분석의 방법과 적용 249 

제15장 현장 학습과 체험 학습 255 
1. 현장 학습의 의미와 목표 256 
2. 현장 학습의 유형과 방법 258 
3. 체험 학습의 의미와 목표 260 
4. 체험 학습의 유형과 방법 264
5. 체험 학습의 모형 266 
6. 체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273 

제16장 지역 학습 281 
1. 지역 학습의 의미와 목표 282 
2. 지역 학습의 내용 283 
3. 지역 학습의 방법 285 
4. 지역 학습의 한계 286 

제17장 지도 학습 288 
1. 지도 학습의 의미와 목표 289 
2. 지도 학습의 내용 290 
3. 지도 학습의 방법 297 
4. 지도 학습의 한계 299 

제18장 이야기식 수업 301 
1. 내러티브로서 역사 302 
2. 이야기식 수업의 의미와 목표 303 
3. 이야기식 수업의 방법 306 
4. 이야기식 수업의 효과와 한계 307 

제19장 사료 학습 309 
1. 사료의 의미와 성격 310 
2. 사료 학습의 의미와 목표 311 
3. 사료 학습의 방법 312 
4. 사료 학습의 효과 317 

제3부 사회과의 평가

제20장 사회과의 평가 321 
1. 사회과 평가 방식의 전환 322 
2. 사회과 수행 평가의 방법 324 
3. 사회과 수행 평가의 전략 333 

참고문헌 335 
찾아보기 344 
부록 346 
1. 사회과 교재 연구 방법(양식) 346 
2. 사회과 수업 분석표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