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살아남은 아이 :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 / 지은이 : 한종선,전규찬,박래군
살아남은 아이 :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살아남은 아이 :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 / 지은이 : 한종선,전규찬,박래군
  • ·판사항 2판
  • ·발행사항 서울 : 이리, 2014
  • ·형태사항 391 p. :삽화 ;21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5298214  03330: \14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2.1  한국십진분류법-> 338.4  듀이십진분류법-> 323  듀이십진분류법-> 362.5  
  • ·주제명 인권[人權]복지 시설[福祉施設]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한종선,,전규찬,박래군 2014 SE0000123358 342.1-14-20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한종선,,전규찬,박래군 2014 SE0000282473 342.1-14-20=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문 : 소년은 그들과 이어진 벼리이다_안영춘

1부 살아남은 아이
선아, 우리 연두다리 안 갈래 _ 한종선
들어가며 : 생존자의 이야기
아버지
누나, 나의 누나
복지원으로
어린 나이의 군대 생활
잘하는군
아프더라도 참아라
살려 주세요!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라!
니 누나 저 오네
잘 지냈냐?
소년의 집으로
이 돈 가지고 꺼져
짐승의 눈을 하고 있어
나는 답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산재로 찾은 누나와 아버지
선아, 우리 연두다리 안 갈래?
흉가나 빈집, 버려진 집 없나요?
짐승에서 사람으로
칼로. 칼로.
묻힌 사건이 한둘이어야 말이지
?을 내서라도 리무진 택시를
기꺼이 썩은 동아줄을
그땐 너무 늦다
나오며 : 나는 희망합니다

짐승의 기억_한종선 그림
남은 이야기 : 나의 동아줄들_한종선

2부 괴물들의 대화
짐승들의 우리와 그 바깥 인간의 시간 : 현대판 수용소 출신 형제가족에 관한 역사 '소설'
그와의 사건적 조우와 글쓰기 작업의 대화적 구상
'부랑인'이라는 주체의 구성, 인간 같지 않은 괴물의 탄생
5ㆍ16 직후의 '사회 정화'와 '부랑인'의 집단 단속
'부랑인' 강제 수용의 오래된 역사와 '생활올림픽'의 정치학
'내무부 훈령 410호'와 형제복지원의 탄생
복지원, '합법적 수용'과 위법적 강제구금의 겹친 공간
수용소 입소, 야수떼들의 우리로의 환대
복지원이라는 군사시설, 군대생활의 이야기
살인적 폭력의 문화, 집단 체벌의 군기
신체고문의 폭력체제, 영혼구제의 사목권력
전시되지 않을 소년의 강간과 정신분열증 환자를 위한 특별병동
1987년, 박종철 사건과 형제복지원 사건 겹침의 시간
형제복지원의 공식적인 폐쇄, '형제복지원 사건'의 정리
망각된 죽음의 지속상태와 구제된 복지재단의 영원지속
복지원 사태에 대한 시효 말소될 수 없는 책임의 귀속
청취의 공통임무와 문화연구의 특별한 책임

형제복지원 사건과 침묵의 카르텔
노예의 섬, 양지마을 사건
형제복지원과 박인근
사회복지시설의 어두운 역사
침묵의 카르텔과 은폐의 메커니즘

후기_전규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