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장광설과 후박나무 가족 : 홍신선 시론과 에세이 / 지은이 : 홍신선
장광설과 후박나무 가족 : 홍신선 시론과 에세이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장광설과 후박나무 가족 : 홍신선 시론과 에세이 / 지은이 : 홍신선
  • ·발행사항 서울 : 천년의시작, 2014
  • ·형태사항 629 p. ;24 cm
  • ·총서사항 (Arete 총서 ;000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212091  0481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81  듀이십진분류법-> 895.708  
  • ·주제명 시 평론[詩評論]한국 현대시[韓國 現代詩]산문집[散文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홍신선 2014 SE0000096682 810.81-14-38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홍신선 2014 SE0000157454 810.81-14-38=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엮으며 ― 004

제1부 사람이 사람에게로 가는 길
그때 우리는 잉크에도 취해 살았다―나의 문청 시절 ― 013
사람이 ‘사람’에게로 가는 길 ― 032
귀명창이 있어야 소리명창도 뜬다 ― 049
계란꽃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053
자원의 곳간, 혹은 머나먼 미지로의 길―시에 나타난 바다의 두 얼굴 ― 057
단장 선비와 완화삼―시인 조지훈을 말한다 ― 062
가을과 여름의 거리 ― 066
놀미?근대화, 그리고 아파트촌―이문구의 《우리 동네》 산실을 찾아서 ― 072
자본과 토네이도 ― 077
그래도 생강은 묵을수록 맵다 ― 080
목불(木佛)을 태우고 사리를 찾네 ― 088
잃어버린 시절과 절밥 ― 090
씨름판, 문학판 ― 094
꿈, 내 안의 휘황한 불꽃 ― 096
삶이 꿈 아니던가 ― 100
뜸부기와 농아―이근삼 선생의 한 초상 ― 103
한민족의 젖줄, 또는 문화의 현장 ― 107

제2부 현대시와 불교적 상상력
‘장광설’과 후박나무 ‘가족’―현대 불교시의 과제와 전망 ― 123
한국시의 불교적 상상력 ― 139
계속 질문하는 존재, 또는 위험하게 살기―황동규의 삶과 시 ― 163
박한영 스님의 인물과 사상 ― 177
‘밥값’과 내 안의 ‘부처’ ― 202
‘당신이야말로 달마이다’?최동호 시집 《공놀이 하는 달마》 ― 212
이야기의 재미와 삶의 낌새?이시영 시집 《은빛 호각》을 읽고 ― 219
왜 수필인가 ― 224
누가 시의 얼굴을 보았는가 ― 233
후일담 형식과 일상의 미시 담론 ― 244
1990년대 여성시의 몸 담론 양상 ― 250
현대시조의 서정성과 회화성 ― 256

제3부 우리 시의 논리와 맥락 1
불같은 또는 묵혀서 향기로운―김여정 시의 몇 가지 코드 ― 269
부패의 상상력과 일상의 시학―김화순 시집 《사랑은 바닥을 쳤다》 ― 281
‘상류’와 ‘길’의 상상력―민병도 시조집 《슬픔의 상류》 ― 293
길과 집, 자기 안으로 가는 길―박순덕 시집 《자전거 안장을 누가 뽑아 갔나》 ― 303
떠도는, 혹은 정들 세상이 없는―박영민 시집 《해피버스데이투미》 ― 318
꽃과 가을, 관조의 길?양채영의 시 세계 ― 333
시의 일상, 시의 정체성?오문강 시집 《거북이와 산다》 ― 346
절단된 몸, 혹은 병리학적 상상력?우희숙 시집 《도시의 쥐》 ― 362
솔개와 어머니, 여성적 삶의 두 기표―유현숙 시집 《서해와 동침하다》 ― 384
청산옥, 혹은 천지팔황의 담론들?윤제림 시집 《사랑을 놓치다》 ― 398
근대성 또는 도시적 풍물의 상상력?이귀영 시집 《달리의 눈물》 ― 409
풍자인가 관조인가―최금녀의 시 세계 ― 420
혼미한, 그리고 난해한 마술의 춤―하린 시집 《야구공을 던지는 몇 가지 방식》 ― 438

제4부 우리 시의 논리와 맥락 2
기억의 재현과 현실 비판―김장산 시집 《찬물내기 봄 언덕》 ― 457
방법론적 관조와 서정의 힘―문정영 시집 《낯선 금요일》 ― 467
감춤과 한의 미학―박정희 시집 《박정희 시선집》 ― 476
기억, 거대한 성곽의 고고학?박현솔 시집 《달의 영토》 ― 490
나를 찾는 여행, 또는 교양의 시학?우호태 시집 《그대가 향기로울 때》 ― 501
일탈과 탐색의 긴 도정―이덕규 시집 《다국적 구름공장 안을 엿보다》 ― 514
‘등의 지도’, 혹은 므네모시네의 시학―전정아 시집 《오렌지 나무를 오르다》 ― 527
관조, 산과 물의 상상력―정대구의 시 세계 ― 543
일상과 탐석, 그리고 내향(內向)의 상상력―정호 시집 《비닐꽃》 ― 553
꽃의 상상력과 날체험의 결?천성우 시집 《까막딱따구리 공방에 들다》 ― 568
‘주소’와 ‘별’을 찾아 떠도는 길 위의 서정―천외자 시집 《그리움을 놓아주다》 ― 581
일상의 정서, 그리고 달관의 시학?최원 시선집 《푸른 노을》 ― 597
‘식혜’와 ‘빨래’, 여성성의 또 다른 전략―한미영 시집 《물방울무늬 원피스에 관한 기억》 ― 608
세계의 해체와 의미 만들기―황인원 시조집 《생각의 뼈》 ― 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