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유럽의 주택 :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 / 지은이 : 임석재
유럽의 주택 :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유럽의 주택 :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 / 지은이 : 임석재
  • ·발행사항 서울 : 북하우스, 2014
  • ·형태사항 527 p. :삽화(일부천연색), 설계도, 지도 ;22 cm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057231  03610 : \3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10.92  듀이십진분류법-> 720.9  
  • ·주제명 건축 문화[建築文化]서양 건축사[西洋建築史]유럽[Europe]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임석재 2014 SE0000077946 610.92-14-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주택으로 읽는 유럽의 건축문화사 

Ⅰ. 그리스의 주거
1. 에게 해 문명의 주거
미노아와 미케네의 주택 
메가론과 사회위계의 성립 
2. 그리스 주거의 형성과 특징 
폴리스와 그리스 주거의 형성 
그리스의 일상생활과 여성 영역 
아테네의 생활상과 도시주거 
3. 중정 형 주택: 올린토스
중정 형 주택의 형성 
올린토스: 중정 형 주택의 보고 
중정 형 주택의 구성 
4. 열주랑 주택: 델로스와 프리에네
델로스와 열주랑 주택의 형성 
델로스와 프리에네의 열주랑 주택 

Ⅱ. 로마의 주거
1. 로마 주거의 형성과 특징
아트리움의 기원 | 로마 주거의 형성 
비트루비우스의 아트리움 다섯 유형
아트리움 vs. 열주랑 
가족의 변화와 ‘아트리움 vs. 열주랑’
2. 아트리움 주택의 구성과 로마의 일상생활
트리클리니움과 부엌 
아트리움 영역(공적 영역)의 요소들 
열주랑과 후원(사적 영역)의 요소들 
일직선 경치와 축 구성 
도무스, 인슐라, 빌라
로마의 도시와 주거생활 
3. 폼페이의 도무스 변천사 6단계
폼페이와 로마 주거
1단계: 폼페이 주거의 형성(기원전 8세기~기원전 4세기)
2단계: 아트리움 주택의 등장(기원전 3세기) 
3단계: 헬레니즘화와 아트리움-열주랑 주택의 등장(기원전 2세기) 
4단계: 반란의 실패와 로마에의 종속(기원전 1세기) 
5단계: 제정기의 도무스
6단계: 제정기의 도무스 임대주택 
4. 도무스의 대표작들
판사 주택: ‘단위 아파트먼트의 등장’
목신 주택: 로마 도무스의 이상향
살루스티우스 주택: 다섯 개의 식당, 원예, 집필
로레이우스 티부르티누스 주택, 루크레티우스 프론토 주택, 베티 주택 

Ⅲ. 중세의 주거 
1. 중세 주거의 형성과 특징 
중세의 성립과 주거건축 | 농촌과 도시 | 중세 주거의 특징 
2. 농촌주거와 장원 주택 
봉건제와 농촌주거 | 장원 주택 1: 기본형 | 장원 주택 2: 복합형 
3. 성채주거 1: 주거용 본성 
주거건축으로서의 성채 | 주거용 본성(11~14세기): 성채 내 주거시설 
주거용 본성의 특징과 구성 | 노르망디의 목조 탑과 루아르의 석조 홀 
주거용 본성의 대표작들 
4. 성채주거 2: 탑 형 본성과 안마당-탑 형 본성 
탑 형 본성(14세기): 과시 기능+주거 기능 
안마당-탑 형 본성(14세기 후반~15세기): 지배층 욕망의 집약판 
안마당-탑 형 본성의 구성과 대표작들 
5. 중세 도시와 도시주거
중세 도시의 형성 | 중세 도시주거의 형성 
확장된 가족과 상가 주택 | 도시생활과 주거 
6. 중세 도시주거의 세 가지 유형
박공 주택 | 석조 박공 주택의 예들 | 탑 주택 | 탑 도시 
아케이드 주택 | 볼로냐의 아치 길과 영국의 더 로우스 

Ⅳ.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주거 
1. 이탈리아 르네상스 팔라초(15~16세기)의 형성과 특징
르네상스 주거 개요 | 르네상스 팔라초의 형성: 15세기 피렌체 
메디치 팔라초와 15세기 피렌체 유형: 중세 성채 전통을 이어받다 
15세기 로마 팔라초와 로마 전통의 부활 
카프리니 팔라초와 16세기 로마 유형: ‘도시 예술 공공재’로서의 주거 
2. 르네상스 팔라초 유형 
피티 팔라초: 거대 팔라초의 대명사 | 라파엘과 팔라체토: 주거와 예술 권력 
브레시아의 야고보 팔라초와 아쿠일리아의 브란코니오 팔라초 
예술가 주택: 주택의 예술성과 예술가의 정체성 
줄리오 로마노: 예술가 주택+매너리즘 
3. 프랑스 르네상스 오텔(16세기)의 형성과 특징 
르네상스 오텔의 역사 
프랑수아 1세와 파리 ‘로티스망’ 개발사업 | 오텔의 건축주 
오텔 건설과 상류층의 질투와 경쟁-리네리 오텔과 느베르 오텔 
퀼튀르 성 카테린 교회의 로티스망 개발사업 | 오텔의 구성 
유기적 외파 구성: 안락함의 추구와 계급 위계의 표현 
4. 바로크 오텔(17세기)의 특징과 건축적 주제들 
바로크 오텔 개요 | 바로크 오텔의 구성과 특징 
랑베르 오텔-장경주의와 연속 공간 
보베 오텔과 자르 오텔-비정형 구성과 자유 구성 
리앙쿠르 오텔과 라브릴리에르 오텔-중심축의 불일치 문제 
5. 튜더 영국의 주거 
튜더 영국(1485~1603)과 르네상스 주거의 등장 
엘리자베스 1세의 행렬과 ‘충성의 상징으로서의 컨트리 하우스’ 
시어볼즈 하우스, 홀던비 홀, 케닐워스 성채 
귀족의 과시욕과 주거건축의 역할 | 대형 컨트리 하우스와 중정 형 
‘엘리자베스 시대의 기발한 착상’-알파벳 평면과 기하 유형 
6. 스튜어트 영국의 주거 
스튜어트 영국(1603~1707) 주거의 개요 
자코뱅 양식-정리된 평면과 덩어리 실루엣 
장식 혼성과 패턴 북의 인기 | 디털린의 장식과 오들리 엔드 
햇필드 하우스와 여러 건축가의 협업 

Ⅴ. 17~19세기 도시주거 개발사업
1. 파리의 17세기 광장주거
앙리 4세와 바로크 광장주거-파리 개선사업과 부르주아 정신의 표현 
왕립 광장 주거-도시 공공성과 광장주거의 정착 
도핀 광장 주거-파리 도심에 공간적 풍부함을 더하다 
승리의 광장 주거-루이 14세의 기마상을 향하여 
방돔 광장 주거-루이 14세를 황제로 
광장주거의 양면-도시 공공성 vs. 상류층의 부동산 개발 
2. 19세기 파리 부르주아와 아파트 
아파트의 역사와 19세기 파리 | 인구 증가와 아파트의 전성시대 
파리의 도시주거 전통 | 파리의 19세기 도시상황 
도시공간과 ‘스펙터클의 상품화’ | 방사선 도로와 아파트 입면 
도시와의 연관성 전통 | 투명성의 미학과 계급분리 
근대성의 상징과 새로운 도시적 가치 | 부동산 개발과 ‘신뢰의 주택’ 
3. 19세기 파리 아파트의 구성과 특징 
임대방식과 층별 계층혼합 | 실내 구성-영역 구성과 수직 구성 
외관 특징과 3종류의 등급 
4. 런던의 17세기 광장주거 
링컨스 인 필즈와 17세기 광장주거의 시작 | 인(Inn)의 전통과 광장주거의 개발 
윌리엄 뉴턴과 영국의 부동산 개발사업 | 고전주의: 영국 도시주거의 대표 양식 
코벤트 가든의 성공과 광장주거의 전성기 
17세기 런던의 광장주거들 
5. 18세기 바스 개발사업 
우드 부자와 18세기 바스 개발 
퀸 스퀘어와 더 서커스: 팔라디오 양식과 로마 고전주의 
로열 크레센트: 열주 효과와 픽처레스크 
바스 개발의 성공과 테라스 하우스의 전성기 
6. 영국의 19세기 테라스 하우스와 런던 리젠트 파크 
19세기 런던과 테라스 하우스 | 테라스 하우스 vs. 파리의 아파트 
테라스 하우스 개발사업
리젠트 파크와 리젠트 스트리트 개발사업 
리젠트 파크와 픽처레스크의 미학 
테라스 하우스와 낭만적 풍경의 가능성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