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진짜) 성과관리 PQ : IQ. EQ. 이제는 부서장의 PQ. / 송계전 지음
(진짜) 성과관리 PQ : IQ. EQ. 이제는 부서장의 PQ.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진짜) 성과관리 PQ : IQ. EQ. 이제는 부서장의 PQ. / 송계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좋은땅, 2013
  • ·형태사항 415 p. :삽화, 양식 ;23 cm
  • ·주기사항 PQ는 'Performance Quotient'의 약어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497470  1332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5.344  듀이십진분류법-> 658.3125  
  • ·주제명 성과 관리[成果管理]인사 관리[人事管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송계전 지음 2013 SE0000077028 325.344-14-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송계전 지음 2013 SE0000105324 325.344-14-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사  
한양대 석좌교수 이윤호

추천사 
㈜하나금융지주 사장 최흥식

읽는 분께  
성과 관리는 ‘인사 관리’가 아니다 ‘경영’이다

프롤로그  
이제는 부서장의 PQ다

PARTⅠ성과 관리 Performance Management
관점부터 바꿉시다

1. 성과 관리란?
성과 관리의 의미 (What)
성과 관리의 목적, 기대 효과 (Why)

2. 성과 관리? 아, 머리 아파!
3. 성과 관리는‘ ’이다
성과 관리는 ‘경영’이다
성과 관리는 ‘대화’다

PARTⅡ 목표 설정 Goal Setting
계획은 인간의 본능입니다

1. 참 의미 생각해보기
구성 정합성 (Integration) : 목표 편성의 기본, BSC
상하 연계성 (Alignment) : 하나 되어 움직이게끔
표현 명료성 (S.M.A.R.T.) : 담을 건 제대로 담도록
정량 지표에 목숨 걸지 마세요 : 정량적 ≠ 객관적

2. 유용한 요령들
당신의 구상, 의도를 아는지부터 물어보세요
평소 직원들에게 다섯 가지 질문을
‘업무’를 ‘목표’로 바꾸는 2가지 질문
‘G.T.P.’를 아시나요? : 계획 없는 목표는 사상누각
다 함께 목표를 마무리 : 숨은 의도는 ‘조율’
목표는 5개가 최적
달성 수준뿐만 아니라, 초과, 미달 수준까지
‘효과적 업무 수행’이라는 아주 특별한 목표 

3. 목표 설정 FAQ

PART Ⅲ 중간 점검 Interim Review
저절로 이뤄지는 건 없습니다

1. 참 의미 생각해보기
지속(Ongoing) : 일 년에 몇 번 하세요?
지도(Coaching) : 목표를 달성하게 하세요
조정(Tuning) : 웬만하면 목표 바꾸지 마세요

2. 유용한 요령들
여러분의 업무 수첩에는… (낙서 습관)
코칭의 기본, F.I.T.
백만 불을 주면 할까? : 능력 vs. 태도
리더들만의 화법, 질문과 경청
긍정 표현 다섯 가지
침묵의 힘 : 저항 잠재우기
목표 조정의 3가지 조건

3. 중간 점검 FAQ· 196
   
PARTⅣ 최종 평가 Final Assessment
지난 일 년의 기록입니다

1. 참 의미 생각해보기
활용성(Usability) : (등급) 판정 vs. (기록) 평가
공정성(Fairness) : 제도/관점 vs. 운영
주관성(Subjectivity) : 주관적 vs. 자의적

2. 유용한 요령들
주변 사람들에게 자주 들어보세요
평가 오류 잡는 비법들
지피지기 1 : 세대 차
지피지기 2 : 남녀 차
지피지기 3 : 성격 차
‘중.안.당.깨’의 함정 : 관행 vs. 원칙
직급만 고려하세요 : 배려 vs. 편애

3. 최종 평가 FAQ

PARTⅤ 피드백 Feedback
온고지신(溫故知新)

1. 참 의미 생각해보기
온고지신(溫故知新) : 평가와 목표 설정의 가교
대화(Talking) : 등급 통보가 아닙니다

2. 유용한 요령들
G.A.R.R.T. : 다섯 가지 질문으로 미팅을
미팅 요약 정리는 팀원이 말과 글로
S.A.R.A.H. : 미팅 타이밍이 중요
A.B.C.D. : 저성과자 관리
큐브 피드백 : 태도, 역량, 업적에 따라 다르게

3. 피드백 FAQ
   
PARTⅥ 인사 담당자에게
‘제도’의 1세대에서 ‘운영’의 2세대로

1. 우리 회사는 어디로 가고 있나?
우리 성과 관리는 몇 점? : HR50™
트렌드 : ‘제도’에서 ‘운영’으로

2. 성과 관리 개편 이슈들
판정 등급의 명칭과 수 (전체 및 개별 항목)
종합 등급 부여 : ‘점수 합산’에서 ‘등급 판정’으로
1, 2차 평가자의 역할 : ‘배점 분담’에서 ‘평가/판정 분담’으로
상대 등급 판정 : ‘혼자’에서 ‘함께’로 (Calibration Session)
상대 등급 배분율의 변화 : 중간을 두껍게, 상위 비율은 크게
역량 모델, 역량 평가의 변화 : ‘운영’ 중심의 단순화, 현업화
보상 연계 방식의 재편 : 지나친 점수 연계의 지양

에필로그  
‘자판기 경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