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젠더와 번역 : 여성지의 형성과 변전 = Gender and translation : formation and translation of female inteligence / 글쓴이 : 한국여성문학학회 젠더와번역 연구모임,박지영,이지영,서정민,박상석,김연숙,김복순,김양선,김윤선,강소영,윤정화,류진희,장미영,허윤,권오숙
젠더와 번역 : 여성지의 형성과 변전 = Gender and translation : formation and translation of female inteligence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젠더와 번역 : 여성지의 형성과 변전 = Gender and translation : formation and translation of female inteligence / 글쓴이 : 한국여성문학학회 젠더와번역 연구모임,박지영,이지영,서정민,박상석,김연숙,김복순,김양선,김윤선,강소영,윤정화,류진희,장미영,허윤,권오숙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3
  • ·형태사항 440 p. ;23 cm
  • ·주기사항 한자표제:젠더와 번역 :여성知의 형성과 變轉
    참고문헌(p. 417-438)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269290  9380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09.9  듀이십진분류법-> 809.9287  
  • ·주제명 번역 문학[飜譯文學]여류 문학가[女流文學家]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쓴이: 한국여성문학학회 젠더와번역 연구모임,,박지영,,이지영,,서정민,,박상석,,김연숙,,김복순,,김양선,,김윤선,,강소영,,윤정화,,류진희,,장미영,,허윤,,권오숙 2013 SE0000068839 809.9-14-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서론__여성주의 번역(문학)사를 다시 세우기 위하여

위태로운 정체성, 횡단하는 경계인―박지영
‘여성 번역가/번역’ 연구를 위하여
1. 한국여성(번역)문학사, ‘여성 번역가’ 호출하기
2. 여성 번역가의 탄생과 존재 양태
3. 맺음말

1부__젠더와 번역, 그리고 고전 여성 지식(문화)사

조선시대 규훈서 번역과 여성의 문자문화―이지영
1. 머리말
2. 언해본의 간행과 여성의 문자교육
3. 필사본에 수용된 규훈서
4. 규훈서의 수용과 이탈
5. 맺음말

한글 고전 대하소설 속 번역 한시문과 교양 지식의 체험―서정민
1. 머리말
2. 한글 대하소설 속의 번역 한시문
3. 한시문 번역 수용의 배경과 의미
4. 맺음말
 
중국소설 번안에 나타나는 여성형상 변개의 일양상―박상석
정숙ㆍ정조의 강화
1. 머리말
2. 중국소설과 한국 번안작의 여성형상 비교
3. 여성형상 변개의 배경
4. 맺음말

2부__젠더와 번역, 그리고 근대 여성 지식(문화)사

‘가정소설’의 번역과 젠더의 기획―김연숙
여성 번역문학사 정립을 위한 시론
1. 번역과 젠더
2. 『호토토기스』의 번역/번안 과정
3. 가정소설의 번역과 감정의 성별화
4. 가정소설의 번역과 여성의 형성

아일랜드 번역과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김복순
1. 아일랜드의 호명과 탈식민 전략으로서의 ‘차이’
2. 아일랜드 문학에 대한 네 가지 번역 방식
3. 맺음말

‘노라’의 조선적 수용 양상과 그 의미―김양선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중심으로
1. 문제제기-식민 현실과 여성 현실의 접점 찾기
2. <인형의 집>의 수용상황과 조선의 ‘노라’
3. 집밖의 노라, 식민지 자본주의의 모순을 몸으로 경험하다
4.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화와 그 한계-성적 주체와 계급적 주체의 이원화
5. 맺음말

번역 텍스트의 젠더화와 여성의 모더니티―김윤선
『신여성』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번역 텍스트의 젠더화
3. 엇갈린 주체, 선택된 젠더
4. 왜곡된 젠더, 젠더의 번역화
5. 맺음말-남은 과제

근대적 번역행위의 동인과 번역양상―강소영ㆍ윤정화
이화여전 교지 『이화』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근대 지식과의 조우-1920∼30년대 여성 번역인의 장, 『이화』
3. 맺음말-번역창작 주체로서의 여성의 발견

3부__젠더와 번역, 그리고 현대 여성 지식(문화)사

해방기 펄 벅 수용과 남한여성의 입지―류진희
1. 머리말
2. 해방기 동서, 두 세계의 펄 벅
3. 펄 벅 번역과 남한여성의 인도주의
4. 맺음말

번역을 통한 근대 지성의 유통과 젠더 담론―장미영
『여원』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번역소설과 이상적 젠더 기획
3. 번역수기에 의한 코스모폴리터니즘적 정체성 추구
4. 동화와 위인전기를 통한 젠더 질서의 상징화
5. 맺음말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허   윤
1.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제2의 물결’의 번역
2. 교양교육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문제의식의 공유
3. 문화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페다고지의 개발
4. 계급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편역서의 기획
5. 민족해방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운동과 ‘제3세계’의 기획
6. 맺음말-여성해방운동의 (탈)식민성

성차에 따른 성담론 번역 양상 비교―권오숙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번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언어, 번역 그리고 젠더
3. 『오셀로』 번역 텍스트들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번역의 차이
4. 맺음말

참고문헌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