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the imagination of historical culture in Chosun cinema and Chungmuro cinema / 지은이 : 주창규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the imagination of historical culture in Chosun cinema and Chungmuro cinema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 : 조선영화와 충무로 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 Colonial modernity and Korean cinema : the imagination of historical culture in Chosun cinema and Chungmuro cinema / 지은이 : 주창규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3
  • ·형태사항 299 p. :삽화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86-299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267807  9368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88.0911  듀이십진분류법-> 791.4309519  
  • ·주제명 한국 영화[韓國映畵]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주창규 2013 SE0000064189 688.0911-1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주창규 2013 SE0000066569 688.0911-14-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 식민적 근대성과 한국영화의 역사적 문화 상상

1부_ 조선영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버나큘라 모더니즘

제1장 식민적 근대성의 멜로 드라마와 무성영화 《아리랑》의 탈식민성
1. 탈신화화된 《아리랑》의 재역사화
2. 식민적 근대성의 문화적 표현으로서 멜로 드라마와 ‘시간 지체’의 알레고리
3. 유럽이 지방화되었기에 제국이 검열할 수 없었던 저항
4. 유럽이 지방화된 공론장의 발견

제2장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무성영화 변사
1. 보이지 않는 조선영화문화의 목소리
2. 버나큘라 모더니즘의 스타로서 변사
3. ‘제3의 창작자’에서 비난과 통제의 대상으로, 무성영화 변사의 위상 변형
4. 근대의 시간과 경쟁하는 버나큘라 공간의 소리

제3장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1. 문예봉, 발명된 ‘국민 여배우’의 계보학
2. ‘새로운 주체’로서 ‘은막의 여배우’를 훈육하기
3. ‘침묵의 쿨레쇼프 효과’로서 ‘국민 여배우’ 문예봉의 탄생
4. 《지원병》과 《조선해협》에서 수행되는 ‘문예봉’

제4장 ‘이행적 친일영화’의 식민지 파시즘과 《집 없는 천사》의 이중의식
1. 《집 없는 천사》의 이중성과 불온한 성격
2. ‘이행적 친일영화’와 ‘신체제 애트랙?’
3. 《집 없는 천사》에 나타난 식민지 파시즘의 노출증
4. ‘사회진화론’과 ‘라마르크주의’ 사이에서

2부_식민적 판타지, 비천한 스크린, 그리고 충무로 영화

제1장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의 《자유부인》
1. 《자유부인》의 기억과 침묵
2. 거세된 민족의 페티시로서 《자유부인》
3. ‘노란 피부, 하얀 ‘가면’ 무도회’로서 충무로 여성관객성
4. 움직이지 않고 움직이는 《자유부인》의 시간성

제2장 식민적 판타지를 횡단하는 《하녀》
1. 《하녀》의 초국적 상상력과 보편성
2. 식민적 근대성의 기원적 판타지
3. 《하녀》가 재현하는 근대의 실패로서 ‘모방’
4. ‘서발턴한 과거’와 식민주의로부터의 깨어남

제3장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과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연구
1. 남자 둘 여자 하나, 한국영화사의 무의식적 장르
2. 군사독재의 ‘비천한 스크린’
3. ‘민족적 영화 장르’의 가족 로망스
4. 광경으로서 풍경이 부재하는 충무로 로드무비 장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