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서울災害史 / 편저 :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서울災害史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서울災害史 / 편저 :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 2013
  • ·형태사항 1138 p.: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지도;27 cm
  • ·총서사항 (서울역사총서;9)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4033525  94910: \25000 발간등록번호: 51-6110000-000642-01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50.809  듀이십진분류법-> 353.909  
  • ·주제명 재해[災害]서울 특별시[--特別市]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편저: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2013 SE0000043911 정책 350.809-13-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총설

제1절 재해의 개념과 범주
1. 재해의 개념
2. 재해의 범주와 종류
3. 서울 재해사의 서술범위

제2절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1. 근대 이전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1) 삼국~통일신라시대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2) 고려시대 재해의 양상과 특징
(3) 조선시대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2. 개항기~일제강점기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1) 개항기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2) 일제강점기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3. 광복 이후 서울 재해의 양상과 특징
4. 21세기 서울 재해의 양상과 방재 전망

제2장 삼국~고려시대

제1절 개관

제2절 삼국시대
1.《삼국사기》에 나타난 재해의 종류와 그 양상
2. 삼국의 농민안정책과 재해대책
3. 서울지역의 재해 양상과 대처방안

제3절 통일신라
1. 재해발생의 추이와 그 양상
2. 수취제도와 녹읍의 변화 및 재해 대책
3. 한주의 재해 양상과 정부의 대응

제4절 고려시대
1. 재해의 발생 추이와 내용
(1) 재해의 발생 추이
(2) 자연재해의 내용과 피해 상황
2. 재해 인식과 재해 대책
(1) 재해 인식과 중농사상
(2) 고려시대의 재해 대책
(3) 고려시대 재해 대책의 특징
3. 재해의 발생과 생활환경
(1) 토지개간, 산림 훼손, 그리고 자연재해
(2) 개경의 생활환경
4. 남경의 재해 양상과 경영
(1) 남경의 재해 양상
(2) 남경 경영과 재해 대책

제3장 조선시대

제1절 개관

제2절 조선전기
1. 재해의 양상
(1) 재해의 종류
(2) 재해의 추이
2. 재해 인식과 기양의례
(1) 재해인식의 실제
(2) 기양의례의 시행
3. 재해 대책의 시행
(1) 재해 방비책의 마련
(2) 재해 극복책의 시행

제3절 조선후기
1. 서울지역 재해의 양상
(1) 재해의 종류와 실태
(2) 재해의 추이
2. 재해 정책과 대책기구의 운영
(1) 진휼과 조세정책
(2) 재해 대책 기구의 설치와 운영
(3) 과학기술의 발달과 재해 대책
3. 국가재정의 운용과 재해
(1) 한성부의 재정 운용과 재해
(2) 재해 발생과 국가재정의 위기
(3) 재해 현상에 따른 지배체제의 동요

제4장 근대

제1절 개관

제2절 개항기
1. 재해 발생 현황과 양상
(1) 재해 발생 현황
(2) 재해의 양상과 대책
2. 재해 대책과 방재기구
(1) 1894년 이전 재해 대책과 방재기구
(2) 1892년 이후 재해 대책과 방재기구
3. 재해 발생과 한설부민의 삶

제 3절 일제강점기
1. 재해 발생의 추이
(1) 수해
(2) 화재
2. 재해 방재 대책과 기구
(1) 수해 대책과 수방 기구
(2) 화재 대책과 소방 기구
3. 재해 발생과 경성부민의 삶
(1) 수해
(2) 화재

제5장 현대

제1절 개관
1. 1945~1960년 서울의 재해와 대응체계
2. 1961~1980년 서울의 재해와 시민생활
3. 1981~2000년 서울의 재해와 시민생활
4. 2000년 이후 서울의 재해와 시민생활

제2절 1945~1960년 서울의 재해
1. 서울의 재해 발생 현황과 양상
(1) 자연재해
(2) 인적재난
(3) 기타재해
2. 서울의 방재조직과 방재체제
(1) 중앙의 방재조직과 기구
(2) 서울의 방재조직과 기구
3. 서울의 방재정책
(1) 중앙의 방재 법규와 정책
(2) 서울의 방재 법규와 정책

제3절 1961~1980년 서울의 재해
1. 서울의 재해발생 현황과 양상
(1) 자연재해
(2) 인적재난
(3) 기타재해
2. 서울의 방재조직과 방재체제
(1) 중앙의 방재조직과 기구
(2) 서울의 방재조직과 기구
3. 서울의 방재정책과 방재기반시설
(1) 중앙의 방재법규와 정책
(2) 서울의 방재법규와 정책
(3) 서울의 방재기반 시설
4. 서울시민의 실생활과 재해
(1) 개발과 도시화
(2) 재해ㆍ재난의 발생과 생활의 변화상
(3) 재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제4절 1981~2000년 서울의 재해
1. 서울의 재해 발생 현황과 양상
(1) 자연재해
(2) 인적재난
(3) 기타 인적재난
2. 서울의 방재조직과 방재체제
(1) 중앙의 방재조직과 기구
(2) 서울의 방재조직과 기구
3. 서울의 방재정책
(1) 중앙의 방재법규와 정책
(2) 서울의 방재법규와 정책
4. 서울시민의 실생활과 재해
(1) 도시의 팽창과 인적재난
(2) 재해ㆍ재난의 발생과 생활의 변화상
(3) 도시재난 인식의 형성

제 5절 2000년 이후 서울의 재해
1. 서울의 재해발생 현황과 양상
(1) 자연재해
(2) 인적재난
2. 서울의 방재조직과 방재체제
(1) 중앙의 방재조직과 기구
(2) 서울의 방재조직과 기구
3. 서울의 방재정책과 방재기반시설
(1) 중앙의 방재법규와 정책
(2) 서울의 방재법규와 정책
(3) 서울의 방재기반시설
(4) 서울 방재정책의 변화와 그 방향
4. 서울시민의 실생활과 재해
(1) 방재의 생활화와 기후변화
(2) 재해ㆍ재난의 발생과 생활의 변화상
(3) 재난 구호활동의 정착

제6절 21세기 서울의 도시방재 전망
1. 21세기 서울의 재해 발생 환경
(1) 21세기 기후환경
(2) 미래 서울의 도시환경
(3) 기후 및 도시환경 변화와 재해
2. 도시방재 기술의 발전과 21세기 서울의 방재
(1) 재난관리의 발전
(2) 21세기 서울의 방재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