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농업전망 : 2013 / 1 :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농업전망: 2013/ 1: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농업전망 : 2013 / 1 :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 ·발행사항 서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 ·형태사항 ix, 558 p.:삽화;26 cm
  • ·주기사항 제16회 농업전망;E04-2013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134225  \12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22  듀이십진분류법-> 338.1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1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2013 SE0000043316 정책 522-13-3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부 세계 경제와 한국 농업 전망
제1장 2013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1. 국내외 농업 여건의 변화
2. 농업 동향
3. 농가경제 동향
4. 농업부문 및 농가경제 전망

제2부 품목 전망과 이슈
제2장 쌀 · 콩 수급 동향과 전망
1. 쌀 수급 및 가격 동향
2. 2013양곡연도 쌀 수급 전망
3. 중장기 쌀 수급 전망
4. 콩 수급 동향 및 전망

제3장 국제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1 국제곡물 가격 동향
2. 곡물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전망
3. 2012/13년 수급 및 가격 전망
4. 중장기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 전망

제4장 쌀 유통 현황과 중장기 개선 방향
1. 쌀 유통환경의 변화
2. 쌀 유통주체로서 RPC 실태 분석과 과제
3. 쌀 유통의 중장기 개선 방향
4. 요약 및 결론

제5장 축산물 수급 동향과 전망
1. 한육우
2. 젖소
3. 돼지
4. 산란계
5. 육계
6. 오리

제6장 축산물 유통 현황과 개선과제
1. 축산물 가격과 유통마진 현황
2. 축산물 유통현황과 문제점
3. 축산물 유통개선 과제와 방향

제7장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1. 사과
2. 배
3. 감귤
4. 단감
5. 포도
6. 복숭아
7. 수입과일

제8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1. 수박
2. 참외
3. 오이
4. 호박
5. 딸기
6. 토마토
7. 풋고추

제9장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1. 배추
2. 무
3. 감자
4. 양배추
5. 당근
6. 농산버섯

제10장 양념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1. 마늘
2. 양파
3. 파
4. 건고추

제11장 원예산업의 성장동력은 무엇인가?
1. 원예산업 성장 추이
2. 생산 · 출하 구조의 변화
3. 상품에 대한 시장과 소비자의 평가
4. 성장 품목 및 시장 유형
5. 발전 전략

제12장 표고버섯 · 고사리 수급 동향과 전망
1. 임산물 생산동향
2. 표고버섯
3. 고사리

제13장 밤 · 대추 · 떫은감 수급 동향과 전망
1. 밤
2. 대추
3. 떫은감

제14장 산림탄소시장의 동향과 산림경영의 새로운 기회
1. 기후변화와 산림탄소배출권
2. 국제 산림탄소시장의 동향 및 전망
3. 국내 산림탄소시장의 동향 및 전망
4. 산림경영의 새로운 기회

제3부 주요 농정과제와 대응
제15장 농식품 구매패턴 변화 트렌드
1. 농식품 유통환경 변화
2. 2012 유통 키이슈
3. 2013 대형마트의 농식품 구매 방향

제16장 기후변화에 대응한 식품안전관리강화 정책과제
1. 국내외 기후변화와 취약 분야
2. 기후변화와 식품안전 연구 동향
3.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의 위험 예측
4. 기후변화 대응 식품안전관리 정책과제

제17장 곡물자급률 제고 정책과제
1. 곡물자급률 제고 필요성
2. 국내 곡물자급 실태와 과제
3. 자급률 제고 정책과 과제
4.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정책 제언

제18장 식품지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1. 식품지원제도의 추진 배경
2. 식품지원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3. 사회적 취약계층의 식품소비 및 영양섭취 실태분석
4. 미국의 식품지원정책 시사점
5. 식품지원제도의 활성화 방안

제19장 FTA 추진 동향과 한 · 중 FTA 대응방안
1. FTA 추진 동향
2. 한 · 미 FTA와 농업분야 파급효과
3. 한 · EU FTA와 농업분야 파급효과
4. 한 · 중 FTA 협상 동향과 대응방안

제20장 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한 정책방향
1. 농가소득의 3대 문제
2. 농가경영안정정책의 실태와 개선과제
3. 선진국의 경영안정정책과 시사점
4. 농가경영안정정책의 개편방향

제21장 2013년 농산물 유통정책 방향
1. 농산물 유통의 특징
2. 농산물 유통구조의 변화
3. 농산물 유통정책 방향

제22장 농업경쟁력 제고 정책방향
1. 서론
2. 농산업 경쟁력 제고 성과와 한계
3. 경쟁력제고 사례분석 - 고추
4. 경쟁력제고를 위한 신기술 동향
5. 향후 과제와 정책방향

제23장 기본법 제정에 따른 농촌 협동조합의 전망과 과제
1. 농촌 발전 전략과 협동조합기본법
2. 농촌 지역 협동조합 사례와 시사점
3. 협동조합 설립 및 전환의향 실태
4.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과제

제24장 농어촌 활성화를 위한 귀농 · 귀촌 정책의 방향과 과제
1. 귀농 · 귀촌 동향과 농어촌의 현실
2. 농어촌에서 귀농·취촌인의 역할
3. 지자체의 귀농·귀촌 시책 추진 현황과 시사점
4.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 활동 사례
5. 농어촌 활성화를 위한 귀농·귀촌 정책 과제

제25장 여성농업인의 경제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향
1. 여성농업인 관련 지표 변화
2. 여성농업인 경제적 역할 확대
3. 여성농업인의 경제활동 실태
4. 여성농업인CEO의 경제활동
5. 여성농업인의 경제활동 활성화 방향

제26장 EU의 농업 · 농촌 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1. 서론
2. 세계에서 유럽농업의 중요성
3. 농업에 대한 유럽의 정책
4. 유럽 농업정책의 결정과정
5. 정부, 농민 및 소비자들의 염려
6. 영국인들이 인식하는 문제점
7. 미래 세대를 위한 도전과제
8. 농업정책 및 기타 부문에 대한 도전과제
9. 결론

제27장 농촌 일자리 창출 방안
1. 서론
2. 농촌의 일자리 현황
3. 농촌 일자리 창출 관련 정책
4. 농촌 일자리 창출 사례와 시사점
5. 농촌 일자리 창출 방안

제28장 고령 · 양극화시대의 농촌복지정책
1. 서론
2. 농촌사회의 고령 · 양극화 동향
3. 농촌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4. 고령 · 양극화시대의 농촌복지정책의 개선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