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 방안 =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loc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facility planning / 지은이 : 임은선,차미숙,이영주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 방안/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loc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facility planning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 방안 =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loc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facility planning / 지은이 : 임은선,차미숙,이영주
  • ·발행사항 안양 : 국토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xvii, 170 p.:천연색삽화, 도표, 지도;26 cm
  • ·총서사항 (국토연;2012-28)
  • ·주기사항 권말부록: 체육시설 주민수요 조사 ; 노인복지시설 주민수요 조사
    참고문헌: p. 141-144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1829407  93300: \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59.08  듀이십진분류법-> 352.16  
  • ·주제명 공공 시설[公共施設]입지 모형[立地模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임은선,차미숙,이영주 2012 SE0000042102 정책 359.08-13-9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의 틀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내용 및 분석대상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수행체계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 주요 선행연구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Ⅱ. 관련 이론 및 제도 현황
1. 공생발전과 공공시설 입지 
1) 공생발전의 개념과 소통ㆍ협력적 계획 
2) 공공시설의 유형과 입지특성
3) 공공시설입지부문의 공생발전 의의
2. 입지모형과 참여방법에 관한 이론 및 연구동향
1) 입지모형 관련 이론 및 연구동향
2) 참여ㆍ소통에 관한 이론 및 연구동향 
3. 국내 입지선정 절차 관련 제도 
1) 공공시설 설치관련 제도 현황
2) 한국전력의 송전선로 입지결정 사례 
3) 관련제도의 문제점 

Ⅲ. 해외 사례와 시사점 
1. GIS기반의 참여채널 구축사례 
1) GIS-Enabled Online Discussion Forum 사례 
2) ParticipatoryGIS.com 사례 
2. 공간정보기술 기반의 소통도구 구축 및 활용사례 
1) 모바일 GIS를 이용한 주민참여 주거환경평가 사례 
2) CommunityViz 사례 
3) 스마트 성장 지원 도구 : GeoDesign 사례
3. 주민참여 도시관리 및 계획지원시스템 활용 사례 
1)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카운티 사례 
2)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 사례 
3)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시 사례 
4. 시사점

Ⅳ. 협력적 입지모형의 개발
1. 협력적 입지모형의 개발방향과 개념 정립 
1) 개발방향과 목표 
2) 협력적 입지모형의 개념 정립 
2. 참여 촉진을 위한 협력지원도구 개발 1 : 모바일 GIS기반 소통채널 
1) 모바일 GIS의 발전과 유용성
2) 소통채널의 구조 
3) 모바일 지오웹 서비스 개발
3. 참여 촉진을 위한 협력지원도구 개발 2 : 입지영향 시뮬레이션 모형 
1) 시뮬레이션 모형의 구성
2) 시설이용의 공간적 사각지대 및 이용권변화 분석도구 
3) 시설입지를 위한 개발잠재력 분석도구  

Ⅴ. 협력적 입지모형의 실험적용 
1. 실험적용의 개요 
2. 광역시설 실험적용 : 청주ㆍ청원 체육시설을 대상으로 
1) 실험적용 대상과 절차 
2) 실험적용
3. 기초시설 실험적용 : 서귀포시 노인복지시설을 대상으로 
1) 실험적용 대상과 절차 
2) 실험적용
4. 실험적용 결과의 시사점 

Ⅵ. 협력적 입지모형의 활용 촉진방안 
1. 협력적 입지모형의 작동요소 
1) 계획목표와 대상 설정
2) 참여ㆍ소통 도구 개발 
3) 입지분석(시뮬레이션)도구 개발
4) 협력적 파트너십 등 모형의 작동을 위한 체계 마련 
2. 협력적 입지모형의 활용 촉진을 위한 기본방향 
1) 입지결정 절차와 내용의 '개방화' 촉구
2) 수요자 참여ㆍ소통에 기반한 '현장화' 실현
3) 형평과 효율이 조화된 '협력화' 실현
3. 협력적 입지모형의 활용 촉진방안
1) 입지결정 절차와 내용의 개방화 방안 
2) 수요자 참여ㆍ소통에 기반한 현장화 방안
3) 형평과 효율이 조화된 협력화 방안 
 
Ⅶ. 결론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2.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1) 연구의 성과 
2)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 체육시설 주민수요 조사 
부록 2. 노인복지시설 주민수요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