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참여격차와 정책적 대응방안 / 이원태,김춘식,고삼석,신호철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참여격차와 정책적 대응방안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참여격차와 정책적 대응방안 / 이원태,김춘식,고삼석,신호철
  • ·발행사항 과천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295 p.:삽화, 도표;24 cm
  • ·총서사항 (기본연구 ;12-04)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61-273
    권말부록: 스마트폰 이용과 참여격차에 대한 조사 설문지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2429293  93320: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6.463  듀이십진분류법-> 384.53  
  • ·주제명 모바일[mobile]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원태,김춘식,고삼석,신호철 2012 SE0000041619 정책 326.463-13-15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언
요약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연구의 배경
2.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주요 연구방향 및 내용
2.연구방법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제1절 국내 스마트 모바일 이용 동향
1.스마트폰 보급과 이용 정도
2.스마트 폰 이용행태
제2절 디지털 격차의 개념과 선행연구
1.디지털 격차의 개념과 유형
2.디지털 격차의 개념적 진화
3.디지털 격차에 대한 실증연구
제3절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참여격차
1.모바일 격차의 대두
2.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격차에 대한 실증연구
3.참여격차의 개념과 이론적 논의
제4절 모바일 참여격차 설명을 위한 이론적 틀
1.이용과 충족 이론
2.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 모델: 조건변인의 매개 효과
제5절 소결

제3장 스마트폰 이용자의 참여격차에 대한 실증분석
제1절 연구설계
1.조사설계 
2.최종 응답자 특성
제2절 주요 변인의 측정
1.독립변인
2.중속변인:정치참여
제3절 스마트폰 이용
1.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
2.집단별 스마트폰 이용
제4절 미디어 이용과 평가
1.미디어 이용동기
2.정치뉴스·정보 습득을 위한 미디어 이용
3.미디어별 제공 뉴스와 정보에 대한 평가
제5절 스마트폰 이용자의 선유경향과 정치적 식견
1.선유경향
2.정치적 식견
제6절 스마프톤 이용자의 정치참여 격차
1.스마트폰을 이용한 정치참여
2.최근 1년 간의 정치참여 경험
3.스마트폰 이용자의 정치참여 격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제7절 소결

제4장 스마트 모바일 참여격차에 대한 해외사례 비교분석
제1절 주요 국가별 모바일 격차 현황
1.미국:스마트 폰 보급에 따른 정치참여 격차
2.영국:디지털 소외계층과 모바일 격차
3.독일:디지털 중이용자와 경이용자 간 격차
4.일본:스마트 폰의 보급과 소셜 미디어 이용 급증
제2절 스마트 환경에서 모바일 격차에 대한 정책대응
1.미국:<Lifeline 프로그램>의 혁신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강조
2.영국:디지털 평등 국가의 구현
3.독일:<Digital Germany 2015> 전략의 추진
4.일본:<Acive Japan ICT 전략> 추진
제3절 정책적 시사점
1.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다중 정보격차'에 대한 대응
2.스마트 사회 참여와 통합 관련 정책 비전 및 목표의 명확화
3.모바일 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제도의 정비
4.이용역량 제고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강조
5.스마트 모바일 격차 해소를 위한 민·관 거버넌스의 구축
제4절 소결

제5장 모바일 참여격차 해소 및 디지털 사회통합의 정책방향
제1절 국내 정책추진 현황
1.국내 디지털 격차 해소 정책 추진 현황
2.디지털 격차 관련 지수 공표
제2절 모바일 참여격차 해소 및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향
1.다양한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제고
2.디지털 격차 실태에 대한 종합적 조사체계 정립
3.디지털 격차해소 및 사회통합을 위한 국가전략 및 정책목표 수립
4.이용역량 제고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수립
5.관련 법제도 정비
6.시민참여 기반의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
제3절 소결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결론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과제

참고문헌
[부록] 스마트폰 이용과 참여격차에 대한 조사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