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공공부문 스마트워크(Smart work)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 / 연구책임자 : 최호진 ;공동연구자 : 박상현
공공부문 스마트워크(Smart work)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공공부문 스마트워크(Smart work)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 / 연구책임자 : 최호진 ;공동연구자 : 박상현
  • ·발행사항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xxvii, 372 p.:삽화, 도표, 지도;25 cm
  • ·총서사항 (KIPA 연구보고서;2012-04)
  • ·주기사항 권말부록: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추진에 따른 조직관리 혁신방안에 관한 공무원 설문조사
    참고문헌: p. 346-362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7044353  9335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50.36  듀이십진분류법-> 353.549  
  • ·주제명 원격 근무[遠隔勤務]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연구책임자: 최호진 ;공동연구자: 박상현 2012 SE0000040908 정책 350.36-13-5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서론 [최호진]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1. 연구의 목적
2. 주요 연구방향 및 내용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추진방법
3. 연구분석의 틀

제2장 스마트워크 관련 이론적 검토 [최호진]
제1절 스마트워크의 개념 및 의의
1. 스마트워크의 등장배경
2. 스마트워크의 의의
3. 스마트워크의 개념
제2절 스마트워크의 유형과특성
1. 스마트워크의 유형
2. 스마트워크의 특성
제3절 스마트워크 관련 선행연구의검토
1. 조직혁신과 관련한 연구의 검토
2. 스마트워크의 제반 요인들과 관련한 연구의 검토

제3장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의 추진 현황 및 실태 [최호진]
제1절 스마트워크 추진 현황
1. 스마트워크 추진계획
2. 공공기관의 스마트워크 도입현황
3.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및 운영현황
4. 스마트워크센터 이용절차
5. 스마트워크 인프라 조성
제2절 스마트워크의 추진체계
1.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2. 스마트워크포럼
제3절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법제도 검토
1.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조성
2.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조직문화 개선
3. 스마트워크 촉진법 제정 추진

제4장 스마트워크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최호진,박상현]
제1절 해외 선진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분석
1. 미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2. 영국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3. 일본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4. 유럽연합 국가들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제2절 우리나라의 스마트워크 추진 사례 분석
1. 공공부문 차원
2. 민간기업 차원
제3절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1. 해외 주요국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2. 우리나라의 추진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제5장 스마트워크 추진에 관한 인식조사결과 분석 [최호진]
제1절 인식조사의 설계와 방법
1. 인식조사의 설계와 방법
제2절 공무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스마트워크 추진의 필요성과 참여의사에 관한 분석
2. 스마트워크 추진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관한 분석
3. 스마트워크 추진과 업무효율간 관계에 관한 분석
4.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장애요인)에 관한 분석
5. 스마트워크 추진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분석
6. 스마트워크 추진관련 거버넌스에 관한 분석
제3절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조사 결과분석
1. 스마트워크 추진의 효과성과 중요성에 관한 분석
2. 스마트워크 추진과 업무효율간 관계에 관한 분석
3. 스마트워크 추진의문제점(장애요인)에 관한 분석
4. 효과적인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우선적 고려 요인에 관한 분석
5. 스마트워크 적합직무(업무)의 발굴과 우선적 추진의 필요성에 관한 분석

제6장 스마트워크 추진의 문제점 분석 [최호진]
제1절 정보시스템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1. 정보보안의 취약성
2. 온라인 협업을 위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마비
3. 시스템 접근의 편리성 제한
4. 신기술에 대비한 시스템 구축 노력 미흡
제2절 조직구조 및 운영 차원의문제점(장애요인)
1.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성과측정 및 평가방식의 미구축
2. 경직된 조직구조로 인한 유연성 부족
3. 대면지향적인 업무처리 방식
4. 스마트워크 대상자 및 적합직무의 선정 노력 부족
제3절 법/제도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1. 체계적인 법/제도 개선 노력의 부족
2. 법규정의 강제성 부족
3. 성과평가시스템과 법제도의 연계 부족
제4절 인식 및 문화 차원의 문제점(장애요인)
1. 기존 조직문화의 만연
2. 스마트워크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
3. 스마트워크에 대한 공감대 형성 부족

제7장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추진 활성화를 위한 조직관리 혁신방안 [최호진]
제1절 정보시템 차원의 혁신방안
1. 정보보안 취약성의 개선
2.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기술이 개발
3. 시스템 접근 및 사용의 편리성 강화
4. 신기술을 반영한 시스템의 개선
제2절 조직구조 및 운영 차원의 혁신방안
1. 적실성있는 성과측정 및 평가방식의 마련
2. 조직구조의 유연성 강화
3. 업무처리방식의 변화 추진
4. 스마트워크 우선 대상자 및 대상직무의 선정
제3절 법/제도 차원의 혁신방안
1. 체계적이고 총괄적인 법/제도의 마련
2. 법규정의 강제성 강화
3. 성과평가시스템과의 연계성 강화
제4절 인식 및 문화 차원의혁신방안
1. 기존 조직문화의 개선
2. 부정적 인식과 선입견의 개선
3. 공감대 형성의 개선(강화)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