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조조 : CEO를 위한 용인술의 대왕 / 장야신 지음 ;박한나 옮김
조조 : CEO를 위한 용인술의 대왕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조조 : CEO를 위한 용인술의 대왕 / 장야신 지음 ;박한나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휘닉스드림, 2011
  • ·형태사항 1263 p. ;24 cm
  • ·주기사항 원표제:品曹操
    원저자명: 張亞新
    참고문헌(p. 1254-1255)과 "조조 생애 연표' 수록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335316  13150: \6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2.033  듀이십진분류법-> 951.01  
  • ·주제명 조조(인명)[曹操]삼국 시대(중국)[三國時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장야신 지음 ;,박한나 옮김 2011 SE0000036531 912.033-13-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동한(東漢) 시대의 사회 모습

제1편

제1장 소년 시절
1. 보저우(?州)에서 흔적을 찾다
2. 출생의 뿌리를 알 수 없다
3. 태평성세의 유능한 신하, 난세의 간사한 영웅

제2장 벼슬 초년생
1. 도성에서 기강을 잡으니 감히 법을 어기는 사람이 없다
2. 의랑(議郞)에 임명되다
3. 못할 것이 없었던 제남상(濟南相) 
4. 잠시 몸을 낮추고 적당한 때를 기다리다 

제3장 동탁(董卓)을 토벌하다
1. 굳이 외지에 있는 장군을 불러들일 필요가 있겠습니까?
2. 먼저 의병을 모으다
3. 변수(?水)에서 패하다
4. 여러 장군들이 북쪽을 향해 있겠다면 나 혼자서라도 서쪽으로 쳐들어가리다!

제4장 연주(?州)를 얻다
1. 청주군(靑州軍)을 편성하다 
2. 동쪽의 도겸(陶謙)을 정벌하다
3. 여포(呂布)에게 반격하다

제2편

제5장 천자를 등에 업고 제후에게 명령하다
1. 장안(長安)으로 사자를 보내다 
2. 낙양에서 황제를 알현하다 
3. 허현에서 헌제를 영접하다 
4. 여남과 영천에는 본디 뛰어난 인재가 많다고 했는데, 누가 그를 대신할 수 있겠소?

제6장 농경지를 개간해서 군량미를 얻다.
1. 혼란스런 사회로 인해 식량이 부족해지다
2. 둔전제를 시행하다 
3. 천하를 안정시키다 

제7장 남쪽의 장수(張?)를 토벌하다 
1. 육하(?河)에서 고전하다 
2. 기병으로 적을 물리치다 
3. 천하의 신임을 얻다 

제8장 서회(徐淮)를 평정하다
1. 이간책을 쓰다 
2. 하비를 포위 공격하다 
3. 여포를 죽이다 
4. 원술의 패망 
5. 유비를 몰아내다 

제9장 관도(官渡) 전투
1. 변경까지 밀어닥친 강력한 적
2. 출병하다 
3. 첫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다 
4. 원소와 대치 상태를 유지하다 
5. 오소(烏巢)에서 군량미를 불태우다 
6. 전군이 출격하다 
7. 천시(天時) 뿐만 아니라 사람의 계책 덕분이기도 합니다

제10장 사주(四州)를 평정하다
1. 여양(黎陽)을 점령하다
2. 북으로 가다
3. 업성을 함락하다
4. 하북을 수복하다
5. 서쪽 고간을 토벌하다
6. 동토를 평정하다

제11장 오환(烏桓) 원정을 떠나다
1. 이 근심을 없애지 않으면 후환이 남는다 
2. 비밀리에 원정을 떠나다
3. 동으로 갈석(碣石)에 올라 시를 남기다

제12장 세월이 가는 것을 슬퍼하지 않고, 치세(治世)를 걱정하노라
1. 겸병(兼倂)을 억제하다 
2. 풍속을 다스리다
3. 법으로 군을 다스리다

제13장 적벽(赤壁)에서 패하다
1. 화려한 문장으로 비난만 일삼고 끼리끼리 모여 결탁하는 무리를 없애야 한다
2. 형주를 점령하다
3. 곧 장군과 오에서 사냥을 할까 하오
4. 오림(烏林)을 불태우다
5. 양양과 번성으로 퇴각하다 

제3편

제14장 회남(淮南)을 지키다
1. 회남의 방어선을 견고히 다지다 
2. 유수구(濡須口)에서 격전을 벌이다
3. 헛수고하다
4. 적이 쳐들어오면 열어보라

제15장 관롱(關?)을 평정하다
1. 명분을 만들어 출병하다 
2. 황하(黃河)와 위수(渭水)를 건너다
3. 위수 남쪽에서 대승을 거두다
4. 농상(?上)에서 마초를 격파하다
5. ‘국가 속의 국가’를 평정하다

제16장 한중(漢中) 쟁탈전
1. 반드시 얻어야 하는 땅
2. 한중을 얻다
3. 관롱을 얻었는데 다시 촉을 노려야할 필요가 있겠소?
4. 정군산(定軍山)에서 패배하다
5. 계륵(鷄肋)

제17장 양번(襄樊)에서 격전(激戰)을 벌이다
1. 칠군(七軍)을 수장(水葬)시키다 
2. 사자를 보내 오(吳)와 연합하다
3. 관우를 대파하다

제4편

제18장 주공(周公)이 입 안의 음식물을 뱉으면서까지 손님을 맞이하니, 천하가 따른다
1. 천하의 인재를 등용한다
2. 재능만 갖추고 있다면 그를 임용할 것이다
3. 어떻게 동조(東曹)를 없애겠는가?
4. 나에게도 귀한 손님 생겨난다면, 거문고 타고 생황 불며 대접하려네

제19장 업성(?城) 문인(文人) 집단
1. 빛나는 성대함이 대체적으로 이때 갖추어졌다
2. 업성에서의 모임
3. 문학사의 황금시대

제20장 후계자를 세우다
1. 이는 나의 불행이지만 너희의 행운이다
2. 격렬한 암투
3. 몰래 여러 곳을 방문하다
4. 입태자령(立太子令)

제21장 천명(天命)이 내게 있다면 나는 주문왕(周文王)이다
1. 제왕의 길 
2. 유씨 왕실과 힘을 겨루다
3. 순욱, 최염의 죽음
4. 반란을 평정하다
5. 내가 주문왕(周文王)이다

제22장 큰 별이 떨어지다
1. 열사 비록 몸은 늙어도 큰 포부는 가시지 않는다오
2. <유령(遺令)>
3. 낙양(洛陽)에서 병으로 서거(逝去)하다

제5편

제23장 조조의 세계관
1. 정치사상 
2. 군사 사상
3. 철학 사상

제24장 조조의 성격
1. 솔직함과 간사함 
2. 관대함과 냉혹함
3. 경박하고 위엄이 없다
4. 근검절약을 숭상하다
5. 여색(女色)을 좋아하다

제25장 다재다능한 인물
1. 시대를 풍미했던 시인
2. 문장(文章)의 시조(始祖)
3. 다양한 재능

제26장 조조의 가족
1. 조조의 아내 
2. 조조의 아들
3. 조조의 딸과 사위

제27장 조조에 대한 다양한 평가
1. 만세에 길이 남을 조조의 공과 죄, 그리고 평가 
2. 최소한 영웅이었다
3. 불후의 업적

<부록>
부록 1. 조조 생애 연표
부록 2. 주요 관직의 간략한 소개
부록 3. 주요 참고 문헌

<후기>
후기
신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