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월경(越境)의 기록 : 재조(在朝)일본인의 언어·문화·기억과 아이덴티티의 분화 / 박광현,신승모 편저
월경(越境)의 기록 : 재조(在朝)일본인의 언어·문화·기억과 아이덴티티의 분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월경(越境)의 기록 : 재조(在朝)일본인의 언어·문화·기억과 아이덴티티의 분화 / 박광현,신승모 편저
  • ·발행사항 서울 : 어문학사, 2013
  • ·형태사항 423 p. :삽화, 초상 ;23 cm
  • ·주기사항 저자: 박광현, 신승모, 박영미, 김계자, 조은애, 기유정, 나카네 다카유키, 김혜인, 양인실, 강태웅, 홍선영
    2009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32A-2009-1-A00127)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1843065  93910: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일본인[日本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광현,신승모 편저 2013 SE0000036190 911.06-13-6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차례

책머리에

제1부 식민 문학과 언어 권력

재조일본인 잡지의 문예란과 식민지 일본어 문학의 기원
- 『韓半島』와 『朝鮮之實業』의 문예란을 중심으로
                                             / 박광현
1. 잡지 문예란의 탄생
2. 『한반도』 소재의 소설과 일본어 문학의 기획
3. 『조선지실업』의 창간과 가인 집단의 활동과 그 한계
4. 『한반도』 소재 소설과 (비)동시대성
5. 『조선지실업』 ‘문원’란과 자기표현의 욕망
6. 초기 일본어 문단, 동일과 차이의 교합


일한서방(日韓書房)과 ‘일본어’ 권력
                                             / 신승모
1. ‘외지’의 일본인 경영 서점
2. 일한서방의 탄생 배경과 조선 내 위상
3. 일한서방의 영업 내역과 서적 발행
4. 일한서방 출판서적의 성격


재조일본인의 조선 한문학 연구와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 박영미
1. 분석되는 ‘조선’과 조선 한문학
2. 문헌고증적 연구 방법: 청대 고증학의 전통과 근대 실증주의 사학의 영향
3. 조선 고서의 간행과 일본어 번역 
4. 재조일본인의 조선 한문학 연구와 그 한계
   :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의 실천


재조일본인 잡지 『조선시론』과 
동시대 조선 문학의 번역
                                              / 김계자
1.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문학장과 재조일본인
2. 오야마 도키오와 잡지 『조선시론』
3. 『조선시론』에 번역 소개된 동시대 조선의 문학
4. 조선 문학작품의 일본어역에서 보이는 문제
5. 재조일본인이 번역한 ‘조선’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
                                              / 박광현
1. 내지인 문단의 ‘빈곤’과 신세대 ‘문단’의 자의식
2. ‘반도문단’의 탄생과 동일성에의 욕망과 균열
3. ‘국민문학’의 시대, 그리고 ‘첫 대면’과 감정의 교환
4. ‘조선적인 것’이라는 구속


제2부 식민의 아이덴티티/기억의 전유

식민자와 만나는 법, 그 불편한 재현의 장소들
-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 조은애
1. 피식민자의 ‘서울 구경’, 그곳에서 식민자를 만난다는 것
2. 재경성 일본인, 그 ‘잔인한 숫자’
3. 식민자와 피식민 사회주의자의 양립 (불)가능성
4. 만남 없는 장소 혹은 한 줌의 전망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의 국체논의와 식민 2세 아이덴티티론
- 『綠旗』(錄人) 소재 글을 중심으로
                                              / 기유정
1. 제국과 식민 2세 아이덴티티
2. 모리타 요시오의 생애와 저서  
3. 모리타와 국체론
4. 모리타와 내선일체 
5. 제국의 소멸과 주체의 균열


어느 재조일본인의 ‘인양’ 체험기
-?무라카미 교시(村上杏史)의 『수기 삼천리(手記 三千里)』를 읽다
                            / 나카네 다카유키(中根隆行)
1. 북위 38도선 탈출의 경위
2. 목포 귀환과 인양 
3. 목포와 하이쿠(俳句)로 연결되는 인적 네트워크


식민자의 젠더화된 초상
- 두 개의 전후(戰後), 식민 기억의 재구성
                                              / 김혜인
1. 해방, 조선, 그리고 ‘구식민자’라는 물음
2. 식민의 잔여, ‘위장’·‘모방’을 둘러싼 월경(越境)의 기억들
3. 38이북 ‘일본인 수용소’와 냉전적 상상력
4. 결론을 대신하여: (불)가능한 표상들


‘전후’ 일본사회와 식민자 2세의 문학
                                              / 신승모
1. 식민자 2세 문학의 범주
2. 식민자 2세의 문학이 등장하게 되는 ‘전후’의 변화와 배경
3.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 작품에 관한 시론
   3-1. 부모 세대의 오욕(汚辱)을 짊어진다는 것
: ?이조잔영(李朝殘影)?(1963)론
   3-2. 죄와 자살, 그리고 책임의 소재(所在)
: ?켈로이드 정사 (ケロイド心中)?(1971)론


제3부 ‘흥행’하는 제국의 극장·영화

제국 - 식민지를 이동하는 영화인들
                                              / 양인실
1. 시작하며
2. 내지에서 조선으로, 영화인의 이동
3. 재조일본인들의 역할
4. 식민지 통치권력과 재조일본 영화인들의 균열 및 긴장관계
5. 제국 일본의 내/외부에 있던 재조일본인들
6. 결론을 대신하여


만주개척단 영화 <오히나타 마을(大日向村)>
                                              / 강태웅
1. ‘동경하는 만주’를 향하여
2. “신(神)도 재건할 수 없는 마을”
3. 두 개의 <오히나타 마을> 1
   : 분촌을 둘러싼 대립 
4. 두 개의 <오히나타 마을> 2
   : 소설과 영화
5. 상영금지 된 <오히나타 마을>
6. “만주스타일”과 <오히나타 마을>의 괴리
7. 나가며


재경성(在京城) 일본인의 ‘극장’과 문화정치
                                              / 홍선영
1. 식민지 도시 경성과 ‘극장’의 등장
2. 한국 내 일본인 거류지역의 형성
3. 경성의 일본인 경영 극장 변천사
   3-1. 1900년대 일본인 경영 극장
   3-2. 191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3-3. 192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3-4. 193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3-5. 1940년대 경성의 일본인 극장
4. 재경성 일본인의 문화형성에서 ‘극장’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