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왕릉의 고고학 / 쯔데히로시 지음 ;고분문화연구회 옮김
왕릉의 고고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왕릉의 고고학 / 쯔데히로시 지음 ;고분문화연구회 옮김
  •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11
  • ·형태사항 208 p. :삽화 ;19 cm
  • ·주기사항 원표제:王陵の考古學
    원저자명: 都出比呂志
    참고문헌: p. 204-206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3470740  93900: \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02.5  듀이십진분류법-> 930.1  
  • ·주제명 고고학[考古學]능(무덤)[陵]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쯔데히로시 지음 ;,고분문화연구회 옮김 2011 SE0000035354 902.5-13-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전방후원분의 시대
    
_1. 전방후원분의 기원
왕릉으로서의 거대 전방후원분
‘전방후원’이란 이름의 유래
외국에 원류가 있는가
야요이의 무덤에서 길을 찾다
전방부의 원류
제단의 다양성
수장 일족의 무덤
원구계와 방구계의 대립
야마다이국과 쿠나국   
_2. 왜 거대 고분을 만들었을까
하시하카고분
전방후원분의 정형화와 중국 사상
3세기 중반경의 전방후원분
히미코의 무덤은 전방후원분인가
공통 제식의 확대
히미코의 장례와 새로운 제식의 창조   
_3. 전방후원분체제
서로 다른 분구 형식의 공존
계보와 서열로 이루어진 신분제
초기 국가의 특색   
_4. 고분 시대의 종언
대왕이 거대 방분을 채용하다
북위 또는 고구려계의 방분인가
분구와 묘실로 대체된 신분 표시   
 
제 2장 중국의 왕릉
 
_1. 지하궁전의 세계
왕릉과 분구의 유무
신석기 시대의 분구묘
은허의 왕묘가 탄생하기까지
무관촌대묘
순장과 희생
여성에게 둘러싸인 왕
예제와 실제 사이
혼백사상
내세 관념 
_2. 시황릉의 탄생까지
하북성 중산왕릉
분구의 크기를 다투다
거대 산릉의 출현
지하 묘실
능원과 배장묘
병마용갱
축조자가 사는 능읍 
_3. 수혈 원리에서 횡혈 원리로
전한의 제왕릉
중앙집권책과 능읍
전한대 제후 묘
탄력성 있는 부인의 유체
신선사상
금루옥의로 덮인 왕
내세에서 묘실의 등급
위진남북조 시대 이후
북의 방구, 남의 원구 
 
제3장 동아시아 세계에서의 전개
 
_1. 한반도
외교 사절과 왕릉
종교사상의 수용은 가지각색
한반도 네 지역의 차이
고구려의 호태왕릉
벽화묘에 보이는 중국풍과 고구려풍
백제의 무령왕릉
왜와도 교류했던 가야
대가야 연합의 형성
전방후원분형의 분구묘
신라 왕족의 고분군
고도의 공예품이 전하는 중앙아시아와의 교류
통일신라의 왕릉 
_2. 중국의 서쪽 지역
토번의 왕릉
요의 왕릉
서하의 왕릉
외교 활동과 왕릉의 건설
불교 사원을 동반하는 왕릉 
_3. 동서 교류의 다리
스키타이의 쿠르간
노인울라의 흉노 무덤 
 
제4장 고대이집트의 피라미드
 
_1. 피라미드의 성립 과정
피라미드 이전
마스터바 묘 시대
계단식 피라미드의 등장
왕의 신격화 
_2. 대피라미드 시대
진정한 피라미드의 등장
피라미드 규모의 축소
태양신 라의 중시
피라미드의 권위 몰락 
_3. 왜 왕의 계곡으로 변했을까
암굴묘의 군집
장제전 지구의 독립
왕권의 안정과 무덤의 고정
신왕국 시대의 강대한 왕권
신성왕권에서 관료왕제로 
 
제5장 유럽의 왕묘를 찾아서
 
_1. 지중해 세계의 왕묘: 미케네에서 로마까지
왕릉이 많지 않은 유럽
미케네의 왕묘
마우솔레움
로마의 황제릉 
_2. 알프스 북쪽의 유럽 세계
초기 농경민의 거석묘
50명 이상의 대량 매장
엘리트층의 성격
원분에 화장한 뼈를 묻다 
_3. 개인 묘의 등장에서 왕묘의 출현으로
남녀와 직능의 구분
왕묘의 탄생
그리스에서 온 보물
왕권과 초기 국가의 형성 
_4. 배를 매장하다: 바이킹의 왕묘
웁살라의 대원분
바다로 돌아가는 사자
앵글로색슨의 왕묘 
_5. 그리스도교가 가져온 대변화
바이킹의 개종과 장례의 변화
왕이 묻혔지만 왕릉이 아닌 무덤 
 
제6장 국가의 형성과 왕릉
 
_1. 왕릉을 비교하는 방법 찾기
유럽에서의 체험
다양한 비교
신고고학
일반법칙의 탐구
상대주의 고고학
다른 문명과의 비교
접촉을 가진 지역 사이의 교류와 영향 
_2. 신성왕의 무덤: 초기 단계의 왕릉
국가 형성기의 왕묘
왕권의 신격화
히미코 무덤의 성격
순장과 희생
아메리카 왕묘의 순장 
_3. 권력의 과시와 계승: 발전기의 왕릉
권력 계승과 선조 제사
지상의 거대 기념물이 필요하게 되는 단계
능읍과 피라미드 도시
왕릉의 축조를 지렛대로 지배조직을 정비하다
초기 국가에서 성숙 국가로 
_4. 왕릉이 발달하기 어려운 세계
절대신의 존재
타지마할
무굴 제국의 황제릉 
 
제7장 왕릉의 이데올로기
 
_1. 다시 살아나는 왕릉
기념물적 성격이 사라진 중ㆍ근세의 천황릉
도쇼구야말로 에도 시대의 왕릉
메이지 천황릉
쇼와 천황릉
계속 조영된 중국의 황제릉
왕권 계승에 불가결한 선조 제사 
_2. 현대 세계와 천황릉
천황릉으로 지정된 고분
메이지 이후의 관리 강화
진무료의 탐색
진무료의 축조와 가시하라진구의 참배
닌토쿠료 찬미
능묘 지정의 실태
개조된 고분
천황릉의 발굴
능묘 조사의 공개 
_3. 현대 세계의 왕릉 축조
레닌에서 호치민까지
후계자가 정치적으로 이용
단군왕릉의 조영
유럽 세계에서도
현대의 신화와 마주하다 
 
참고문헌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