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譯註) 唐宋八大家文抄 : 蘇軾.3 / 成百曉 譯註
(譯註) 唐宋八大家文抄 : 蘇軾. 3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譯註) 唐宋八大家文抄 : 蘇軾.3 / 成百曉 譯註
  • ·발행사항 서울 : 傳統文化硏究會, 2011
  • ·형태사항 335 p. ;26 cm
  • ·총서사항 (東洋古典譯註叢書 ;56)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1720701(3 )  94820 ISBN: 9788991720701(3)  9482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20.81  듀이십진분류법-> 895.108  
  • ·주제명 동양 고전[東洋古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3 成百曉 譯註 2011 SE0000033299 820.81-13-1-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3 成百曉 譯註 2011 SE0000148946 820.81-13-1-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參考書目
     目 次

   卷13 論
01. 伊尹論  伊尹에 대한 論 / 13
02. 周公論  周公에 대한 論 / 19
03. 管仲論 一  管仲에 대한 論 1 / 29
04. 管仲論 二  管仲에 대한 論 2 / 46
05. 范文子論  范文子에 대한 論 / 55
06. 范?論  范?에 대한 論 / 62
07. 伍子胥論  伍子胥에 대한 論 / 66
08. 孫武論 一  孫武에 대한 論 1 / 71
09. 孫武論 二  孫武에 대한 論 2 / 75

   卷14 論
01. 樂毅論  樂毅에 대한 論 / 82
02. 商君論  商君에 대한 論 / 93
03. 戰國任俠論  전국시대 任俠에 대한 論 / 102
04. 范增論  范增에 대한 論 / 112
05. 留侯論  留侯에 대한 論 / 119
06. 賈誼論  賈誼에 대한 論 / 126
07. 晁錯論  晁錯에 대한 論 / 134
08. ?光論  ?光에 대한 論 / 141
09. 諸葛亮論  諸葛亮에 대한 論 / 146

   卷15 論
01. 孔子論  孔子에 대한 論 / 157
02. 子思論  子思에 대한 論 / 166
03. 孟軻論  孟軻에 대한 論 / 173
04. 荀卿論  荀卿에 대한 論 / 179
05. 韓非論  韓非에 대한 論 / 187
06. 揚雄論  揚雄에 대한 論 / 191
07. 韓愈論  韓愈에 대한 論 / 198

   卷16 論
01. 書論  ≪書經≫에 대한 論 / 206
02. 禮論  禮에 대한 論 / 214
03. 春秋論  ≪春秋≫에 대한 論 / 222
04. 中庸論 上  ≪中庸≫에 대한 論 上 / 230
05. 中庸論 中  ≪中庸≫에 대한 論 中 / 238
06. 中庸論 下  ≪中庸≫에 대한 論 下 / 243
07. 續歐陽子朋黨論  歐陽子 <朋黨論>의 續篇 / 250
08. 續楚語論  楚語論에 대한 續篇 / 260

   卷17 試論
01. 刑賞忠厚之至  刑罰과 褒賞은 충후함이 지극하여야 한다는 論 / 271
02. 重巽以申命  거듭된 巽으로써 명령을 거듭해야 한다는 論 / 279
03. 孔子從先進  孔子는 先進을 따르셨다는 論 / 284
04. 春秋定天下之邪正  ≪春秋≫는 天下의 간사함과 바름을 결정하였다는 論 / 293
05. 儒者可與守成  儒者는 더불어 守成할 수가 있다는 論 / 302
06. 物不可以苟合  物은 구차히 합할 수가 없다는 論 / 307
07. 形勢不如德  形勢가 德만 못하다는 論 / 314
08. 劉愷丁鴻孰賢  劉愷와 丁鴻이 누가 더 어진가 하는 論 / 320
09. 禮以養人爲本  禮는 사람을 기르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는 論 / 326
10. 王者不治夷狄  王者는 夷狄을 다스리지 않는다는 論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