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마음으로 동양화 읽기 / 김선현 지음
마음으로 동양화 읽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마음으로 동양화 읽기 / 김선현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1
  • ·형태사항 253 p. :천연색삽화, 초상 ;22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51-253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6825938  9365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53.11  듀이십진분류법-> 759.9519  
  • ·주제명 동양화[東洋畵]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선현 지음 2011 SE0000024755 653.11-13-4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01 동양사상의 이해
(1) 중국의 사상
(2) 인도의 사상
(3) 한국의 사상
(4) 일본의 사상
(5) 동양사상의 특징

  02 동양회화의 사상적 배경
(1) 동양 미술에서의 자연관
(2) 동양사상
가. 유가의 후소와 중용
나. 불가의 선
다. 노ㆍ장자의 무위자연

  03 동양화의 정신과 사상
(1) 동양화를 그리는 화가는 마음 수양이 필요하다
(2) 마음의 주객합일(主客合一)
(3) 동양사상의 영향을 받은 여백의 미(美)
가. 은유성
나. 사유성
다. 함축성

  04 한국화의 재료적 의미
(1) 한국화의 정신적 특성 개념을 바탕으로 본 전통적 재료 특성
(2) 수묵화와 채색화
(3) 수묵화의 재료적 특성
가. 종이
나. 붓
다. 먹
라. 벼루
(4) 채색화의 재료적 특성
가. 안료
나. 분채
다. 아교

  05 한국회화의 분류
(1) 산수화
(2) 인물화
가. 고사인물화
나. 도석인물화
다. 풍속화
라. 초상화
(3) 영모화조화
가. 영모화
나. 화조화
다. 초충도
라. 화훼화
마. 기명절지도
바. 어해도
(4) 문인화, 사군자
가. 문인화
나. 사군자
(5) 민화
가. 무속과 도교계통
나. 불교계통
다. 유교계통
라. 장식용 민화

  06 소재와 상징적 의미
(1) 소재
가. 동물
나. 새
다. 물고기
라. 식물과 열매
(2) 상징적 의미
가. 장수
나. 급제
다. 부귀
라. 다산
마. 벽사

  07 조선시대 우리 화가와 작품
(1) 조선 초기(1392~1550년)
가. 안견(安堅, ?~?)
나. 강희안(姜希顔, 1419~1464년)
다. 이암(李巖, 1499~?년)
라. 신사임당(申思任當, 1504~1551년)
(2) 조선 중기(약 1550~약 1700년)
가. 이징(李澄, 1581~?년)
나. 김명국(金明國, 1600~?년)
다. 김시(金?, 1524~1593년)
라. 이경윤(李慶胤, 1545~1611년)
마. 이정
(3) 조선 후기(약 1700~약 1850년)
가. 정선(鄭敾, 1676~1759년)
나. 윤두서(尹斗緖, 1668~1715년)
다. 심사정(沈師正, 1707~1769년)
라. 최북(崔北, 1712~1786?년)
마. 강세황(姜世晃, 1712~1791년)
바. 김홍도(金弘道, 1745~?년)
사. 신윤복(申潤福, 1758~?년)
(4) 조선 말기(약 1850~약 1910년)
가. 조희룡(趙熙龍, 1789~1866년)
나. 남계우(1811~1890년)
다. 장승업(張承業, 1843~1897년)
(5) 근대회화
가. 소정 변관식(1899~1976년)
나. 운보 김기창(1913~2001년)
다. 소탑(素塔) 이중섭(1916~1956년)
라. 박수근(朴壽根)(1914~19645년)
마. 장욱진(張旭鎭)(1918~1990년)

  08 한국화의 색채적 의미
(1) 한국인의 색채 형성의 사상적 배경
(2) 생활문화 속에 나타난 색채
가. 의생활과 색채
나. 식생활과 색채
다. 주생활과 색채
(3) 오방색의 개념
가. 황색(黃色)
나. 청색(靑色)
다. 적색(赤色)
라. 백색(白色)
마. 흑색(黑色)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