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전통 건축 장식의 비밀 / 글·사진 : 허균
한국 전통 건축 장식의 비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전통 건축 장식의 비밀 / 글·사진 : 허균
  • ·발행사항 서울 : 대원사, 2013
  • ·형태사항 231 p. :천연색삽화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29-23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6908171  0360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10.911  듀이십진분류법-> 720.9519  
  • ·주제명 한국 건축[韓國建築]전통 건축[傳統建築]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사진: 허균 2013 SE0000024131 610.911-13-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며

대 문
  한양 성문에서 처음 만나는 신수(神獸), 도성문의 쌍룡과 봉황
  사신인지 사령인지, 궐문 천장 그림
  우주 운행 원리와 음양의 이치, 향교문의 태극 도형
  삼재가 하나로 혼합된 혼돈, 삼태극
  벽사진경의 기원, 민가 대문 장식

지 붕
  잡상
   -외우기 어려운 잡상 이름
   -이름만큼 다양한 생김새
   -위의를 높이는 길상 벽사의 첨병들
   -원숭이를 빼닮은 손행자
   -건물 등급에 따라 수를 달리하는 잡상 
   -중국의 잡상

   용마루 짐승
   -척수(脊獸)의 신비한 내력
   -한국 고대의 치미
   -설이 분분한 치미의 정체
   -왕권의 상징이기도 했던 치미
   -취두의 정체

  보주(寶珠)와 풍경(風磬)
  -사찰 법당 장식의 절정, 보주
  -청량한 소리와 공예미의 오묘한 결합, 풍경

  용두·토수(吐首)
  -내림마루 끝에 붙은 벽사의 사자(使者), 용두
  -지붕을 날개 삼아 날아오를 듯한 추녀 끝의 토수

  합각 장식
  -건강·안락·길상의 기원, 궁궐 합각 장식
  -불전 합각의 장식 문양
  -황제의 위의를 높이는 침전 합각 장식
  -감상적 취향, 민가 합각 장식

  현어(懸魚), 지네철, 절병통, 방초정
  -방화·위엄·청렴의 상징, 현어
  -기능과 장식 사이, 지네철
  -기능과 장식과 길상, 절병통
  -아름다운 못, 방초정

  문양 기와
  -왕의 권위와 전각의 위상, 용
  -최고의 상서와 길상의 화신, 봉황
  -용맹하고 두려운 존재, 사자
  -환상적 경사의 전조(前兆), 가릉빈가
   -행복의 상징, 박쥐
   -청정 미묘한 불법 진리와 극락 화생, 연꽃
   -연꽃의 화려한 변신, 보상화문
   -요염하지 않은 유교 군자의 풍모, 연꽃
   -넘치는 생동감·풍부한 풍격·우아한 선미(線美), 당초문
   -기와에 새겨진 의문의 인면
   -허공을 나는 매혹적인 천녀, 비천
   -귀(鬼)의 힘을 빌려 사악함을 물리치는 귀면
   -함축된 길상 문구, 문자 문양
   -모든 법계의 에너지와 성음(聖音)의 함축, 옴자 문양
   -혼돈의 소용돌이, 파문(巴紋)

굴 뚝
   최고 수준의 의장(意匠), 궁궐 굴뚝
   환경미술의 걸작, 아미산 굴뚝
   장수와 길상의 염원, 십장생 굴뚝
   오복·길상 그리고 교훈, 희정당 굴뚝
   선계(仙界) 동물의 집합, 대조전 굴뚝
   문자와 그림의 환상적 조화, 청향각 굴뚝
   황제를 위한 장수 기원, 낙선재 굴뚝
   한국적 미감, 민가·사찰 굴뚝

창 호
  장살과 동살의 짜임, 띠살문
  ‘卍’자·‘亞’자·‘用’자문
  격자문·거북살문
  꽃살문

공 포
  용과 호랑이, 그리고 봉황
  종교적 상징과 세속적 기원

기둥과 대들보
  반야용선의 선수(船首), 법당 앞 기둥의 용 
  또 하나의 법당 장엄 기법, 대들보 장식

주춧돌
  미화 욕구와 세속적 욕구의 결합, 민가 대문의 주춧돌
  순정미 속의 불심, 불법의 표징

기 단
  지상에 구현한 우주 모형, 궁궐 월대의 사신과 십이지상
  연화석 위에 앉은 새끼 딸린 사자 부부
  축대 연꽃이 불전을 극락정토로 만들다
  불성의 바다로 탈바꿈시킨 축대의 게와 자라
  도동서원의 아름다운 축대

계 단
  궁궐을 지키는 용맹한 신수, 계단의 동물상
  왕실 번영과 이상 정치의 상징, 답도의 봉황과 용
  요·순의 상서, 답도의 서초
  권위롭고 신령스러운 기운, 계단의 구름 문양
  연꽃을 밟고 극락으로, 연화칠보교의 연꽃
  법당에 울려 퍼지는 범음(梵音), 법당 계단의 가릉빈가
  도량을 청정하게, 계단의 귀면
  우주 상징 도형, 계단의 삼태극
  궁궐 나무 계단의 소박한 꽃 문양

천 장
  천하 중심에 군림하는 왕의 상징, 정전 천장의 운룡
  궁궐 천장 중앙의 봉황
  장수와 행복의 기원, 문자 문양
  처음 용이 나타날 때 등장한 기룡
  길상 문양의 보고, 상량정
  공간적 부피로 체험되는 상징 공간, 법당 천장
  천장에 구현된 우주, 무덤 천장의 별자리

당가와 수미단
  궁궐 장엄의 절정, 당가(唐家)
  신실(神室)과 황제릉의 침전 장식
  수미단의 신이한 상징 세계
  환상과 장엄, 천개(天蓋) 

단 청
  우주의 기본 요소와 운행 원리, 단청의 색
  선과 색의 오묘한 조화
  단청의 종류
  휘황찬란한 채색, 휘
  아름답고 다양한 단청 문양
  사찰 단청
  단청에 담긴 한국적 미감 

다 리
  정전 진입로를 수호하는 금천교의 신수들
  화(禍)를 물리치고 재화를 지키는 영제교의 천록
  사귀의 사찰 진입을 막는 사찰 다리 밑의 용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