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클릭, 한국미술사 : 빗살무늬토기에서 모더니즘까지 /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 지음
클릭, 한국미술사 : 빗살무늬토기에서 모더니즘까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클릭, 한국미술사 : 빗살무늬토기에서 모더니즘까지 /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 지음
  • ·판사항 재판
  • ·발행사항 서울 : 예경, 2012
  • ·형태사항 416 p. (일부접지)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초상 ;27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05-408)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0844541  0360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09.11  듀이십진분류법-> 709.519  
  • ·주제명 한국 미술사[韓國美術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 지음 2012 SE0000023939 609.11-13-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 지음 2012 SE0000050276 609.11-13-5=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최초의 미술 (선사 시대)

회화 - 암각화에 담은 고대인의 염원

도자 - 선사 토기의 기원과 확산
최초의 추상미술 : 신석기 시대 토기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의 여러 형식 
도제술의 발달과 경질토기의 등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고인돌

공예 - 섬세한 미감, 청동기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청동 잔무늬 거울

Ⅱ. 불교미술의 시작 (삼국 시대)

회화 - 죽은 자를 위한 벽화
영화로운 삶의 기록 : 4세기~5세기 초 
불교와 풍속 장면 : 5세기 중엽~6세기
사신과 수목 : 6세기 말~7세기 전반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사신도
바다를 건너간 화가들 

조각 - 불교의 전래와 초기 불상
고졸한 미, 불상의 등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토우 
미래의 화신, 미륵신앙의 반가사유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반가사유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석가의 본생과 일생
사방으로 열린 부처의 세계 : 사방불의 연원과 의미 

도자 - 다양한 토기문화의 전개
원삼국 토기의 계승과 중국 도자의 영향 : 고구려와 백제
경질토기의 발달 : 신라와 가야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토기 기마인물형 굽 달린 잔 

공예 - 무덤 속에서 발견된 화려한 금관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백제 금동 대향로

건축 - 사찰의 건립과 초기 가람 배치
1탑 3금당식 가람 배치와 팔각목탑 : 고구려 
1탑 1금당식 가람 배치와 불교건축술의 일본 전파 : 백제 
고구려와 백제 건축술의 전래 : 신라 

석조 - 조적식 탑과 결구식 탑
목탑에서 석탑으로 
신라 석탑의 발전

Ⅲ. 불교미술의 황금시대 (남북국 시대)

회화 - 영화로운 시대의 회화
서경에 전채서를 두다 
불교회화 : 변상도와 승상 
동북아시아를 통합한 발해의 회화 

조각 - 불교조각의 황금기
신라 사방불 형식의 수용과 전개 
무병장수를 염원하는 불상 : 약사불상
자비의 극치 : 밀교계의 변화관음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석굴암 불상군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본존불은 석가불인가 아미타불인가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십일면관음상
국제적 불상 양식의 등장과 유행
부처의 진신이자 법신불 : 비로자나불상 
옛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불교조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재료에 따른 불상의 종류 

도자 - 고대 토기문화의 절정
회청색 경질토기의 전성기
시유도기 : 연유와 회유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안압지 

공예 - 불교의식 때 사용하는 법구
불전사물이란 무엇인가 

건축 - 불교건축의 전성기
평지가람과 산지가람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불국사 

석조 - 삼층석탑의 시원
남북국 시대 신라 석탑의 변화 과정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탑경의 전래와 유행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사리장엄구
석조미술의 황금기 
발해의 석조미술 

Ⅳ. 우아한 귀족문화 (고려 시대)

회화 - 불교회화의 전성기
불교회화의 정수 : 현세와 내세의 안락을 기원하다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어제비장전 판화 
일반 회화의 발달 
초상화를 그려 봉안하다 
문인화가의 등장 

조각 - 변화된 불상의 모습
철조 불상의 일시적인 유행 
‘왕이 곧 부처’라는 사상에 따른 거불의 조성
단정하면서도 온화한 석조 보살상
궁정 취향의 화려한 라마계 금동 불상

도자 - 청자의 시대
고려청자의 탄생 : 월주요 청자와 초기 청자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고려청자의 가마터 분포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청자의 종류
청자문화 확산과 순청자의 절정 
상감청자와 다양한 장식기법의 유행 
청자의 쇠퇴와 간지명 상감청자 

공예 - 불 보살에게 바치는 공양구

건축 - 귀족적이며 단아한 선종적 불교건축
사찰의 대형화와 산지가람의 증가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석조 - 지역적 특성을 띠는 석탑의 출현과 발전
지역적으로 분화된 탑파 양식 
다양한 석조미술의 탄생 
승탑 형태의 변화 

Ⅴ. 풍요로운 문인문화의 정착 (조선 시대)

회화 - 종교를 벗어나 인간과 자연으로
조선 전반기 : 정치적 소용돌이와 회화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몽유도원도 감상법
인간과 어우러진 자연의 미학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소상팔경도 · 계회도
정신적 이상미를 추구한 초상화
천진난만함과 고상함이 담긴 영모화조화 
조선 후반기 : 민족적 자아의식의 형성과 문예부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진경산수화가들 
동시대의 삶을 화폭에 담다 : 풍속화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김홍도 · 신윤복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도석화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통신사행렬도 
화조동물화의 세계 
중서계층의 등장과 조선 말기 화단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김정희의 제자들 

조각 - 억불숭유 정책 속의 불교조각
왕실과 비빈들이 후원한 불교조각
소조 불상과 목조 불상의 유행
입체적인 부처의 세계 : 목각탱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사대부 묘의 능묘조각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선 왕릉의 능묘조각

도자 -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고려 상감청자의 새로운 모습 : 분청사기 
관요의 설치와 백자 제작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선백자의 종류
전국으로 확산된 철화백자 양식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백자 4점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선 시대 가마터의 분포
분원백자의 부흥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조선 후기 백자에 표현된 길상문 종류 

공예 - 불전을 꾸미는 장엄구

건축 - 다양하고 복합적인 건축물
왕실의 후원과 절제된 사찰건축
사찰건축의 황금기
과학과 실용적 건축술의 집약, 성곽건축
왕실의 상징과 의례의 공간, 궁궐과 종묘
정형화된 영역의 건축, 향교 
자연과 유교건축의 만남, 서원 

석조 - 쇠퇴하는 석조미술
전통형의 계승과 석탑 건립의 위축 
조선 전기 중앙 양식의 마지막을 장식한 승탑들 
조선 후기 승탑에 반영된 질박한 토속미

Ⅵ. 제국과 신민 사이 (근대)

회화 - 국권 상실과 서구 미술의 유입
격동기의 서화가
서구화 정책 속의 미술문화 
신문화 운동 속의 그들 
전통 화단의 반성과 근대의 모색 
모던 보이를 꿈꾸며 
한국미술 들여다보기 - 10명가 산수풍경화전 
일본화풍의 반성과 식민 역사의 극복

조각 - 전통 조각의 근대적 변모
전통을 계승한 불교조각 
서구 조각기법 도입에 따른 조각계의 변화 

도자 - 산업과 미술로서의 도자공예
일본 산업도자의 침투 
조선 수공업의 몰락과 도예의 탄생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