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새로운 약은 어떻게 창조되나 = How can we create new drugs? / 교토대학대학원약학연구과 편 ;심창구 옮김
새로운 약은 어떻게 창조되나 = How can we create new drugs?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새로운 약은 어떻게 창조되나 = How can we create new drugs? / 교토대학대학원약학연구과 편 ;심창구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형태사항 xv, 309 p. :삽화, 도표 ;21 cm
  • ·주기사항 원표제:新しい藥をどう創るか創藥硏究の最前線
    원저자명: 京都大學大學院藥學硏
    색인수록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3023  93510: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18.44  듀이십진분류법-> 615.19  
  • ·주제명 신약 개발[新藥開發]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교토대학대학원약학연구과 편 ;심창구 옮김 2013 SE0000020793 518.44-13-1 일반자료실(서고) 대출중 0 2024-06-08 인쇄자료(책자형) 
교토대학대학원약학연구과 편 ;심창구 옮김 2013 SE0000219442 518.44-13-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 머리에 ·v
번역판을 내면서 ·vii
01 건강과 질병의 차이점을 알아야 약을 창조할 수 있다 ·1
1. 건강과 질병의 차이, 그리고 치료 ·3
2. 인슐린 이야기 ·7
3. 왜 약효가 있는지 알지 못했던 약들 ·9
4. 일본에서 전략적으로 개발된 획기적인 신약 두 가지 이야기 ·22
5. 미래를 위해 약학을 권합니다 ·34
02 약을 합성하다 ·37
1. 의약품의 탄생 경로 ·39
2. 신약창조의 새로운 흐름 ·50
3. 의약품 합성에 대한 사회의 요청 ·58
4. 획기적인 합성수법 개발의 필요성 ·65
03 약의 타깃이 되는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다 ·67
1.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본다 ·69
2. 단백질의 분자구조 ·71
3. 단백질의 기능은 입체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79
4. X선 결정구조 해석은 현미경과 비슷하다 ·81
5. 결정을 해석하기보다 결정을 만들기가 더 어렵다 ·86
6. 대형 방사광 기지 SPring-8에 거는 기대 ·92
7. 분해능이 좋아지면 수소 원자도 볼 수 있다 ·95
8. 시간분할 X선 결정 해석으로 순간을 포착한다 ·98
9. 막단백질의 입체구조 해석은 최첨단 연구 분야이다 ·99
04 약을 디자인하다 ·103
1. 약의 디자인이란? ·106
2. 열쇠와 자물쇠 구멍 ·108
3. 약의 디자인 ·112
4. 약의 종자가 되는 화합물을 찾는다 ·124
5. 약을 디자인하려면 유연한 사고와 정열이 있어야 한다 ·137
05 약이 왜 듣는가를 조사하다 ·139
1. 약의 작용점을 찾는다 ·141
2. 몰핀 연구 사례로 본 약리학의 수법 ·142
3. 오피오이드(Opioid) 수용체의 발견 ·144
4. 약과 유전자를 도구로 사용하여 생체와 질병의 메커니즘을 해명한다 ·145
5. 이온채널 게놈 창약 ·148
6. 이온채널 창약의 장래 ·164
06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다 ·167
1. 이제 감염증은 무섭지 않다? ·169
2. 바이러스는 미균(黴菌)? ·170
3. 바이러스의 라이프 사이클 ·172
4. 바이러스는 어떻게 증식하는가? ·173
5. 바이러스 단백질의 기능을 밝혀 바이러스를 퇴치하자 ·175
6. 바이러스(HIV-1)의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은 항바이러스제 ·176
7. 항HIV-1제를 연구 개발한 경험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나? ·183
8. 항바이러스제 개발의 열쇠는 막융합 단계이다 ·184
9. 바이러스의 효소(단백질)를 표적으로 삼는다 ·192
10. 새로운 감염증과 재유행 감염증이 자주 발생하는 시대를 맞이하며 ·194
07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세계가 놀라다 ·197
1. 알츠하이머병이란? ·199
2. 콜린 가설 ·199
3. 종자 화합물의 발견은 연구의 출발점 ·202
4. 가장 강력한 화합물을 포기하다 ·203
5. 도네페질의 발견 ·204
6. 도네페질의 약리작용 ·205
7. 도네페질의 임상시험 ·208
8. 승인된 알츠하이머병 치료약들 ·211
9. 파마드림(PharmaDream, 창약의 꿈) ·212
08 생체방어 메커니즘을 보고 항균제를 창조하다 ·215
1. 항균성 펩티드, 마가이닌의 발견 ·217
2.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가 있는 항균성 펩티드 ·220
3. 플러스, 마이너스로 세균을 식별한다 ·221
4. 막에 구멍을 뚫어 주는 펩티드 ·225
5. 2개의 펩티드의 조합, 극적인 효과를 낳다 ·230
6. DNA를 표적으로 삼는 항균성 펩티드 ·232
7. 막과 DNA 모두를 표적으로 삼는 욕심쟁이 항균성 펩티드 타키프레신1 ·234
8. 항균성 펩티드를 항균제로 개발하자 ·235
09 약이 내 마음대로 몸 안을 돌아다니게 만들다, DDS ·237
1. 약물과 의약품의 차이 ·240
2. 몸 안에서의 약의 움직임과 DDS ·241
3. 타기팅 - 약의 표적을 저격하는 DDS ·245
4. 바이오의약품과 DDS ·262
5. DNA와 DDS - 유전자로 약 만들기 ·269
10 게놈은 의료와 창약을 바꾸어 놓을 것이다 ·277
1. 게놈 창약과 맞춤약학 또는 맞춤약제학 ·280
2. 사람 게놈을 해독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나? ·282
3. 게놈 정보를 이용한 맞춤약학 ·288
4. 게놈 정보를 이용한 게놈 창약 ·290
5. 약물유전체학의 구체적인 예 ·293
6. 게놈 창약의 구체적인 예 ·295
7. 앞으로의 전망 ·300
찾아보기 ·303
번역판의 끝으로 ·308
집필자 명단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