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떡국을 먹으면 부자 된다 : 명절과 음식의 유래 / 윤덕노 지음
떡국을 먹으면 부자 된다: 명절과 음식의 유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떡국을 먹으면 부자 된다 : 명절과 음식의 유래 / 윤덕노 지음
  • ·발행사항 성남 : 청보리미디어, 2011
  • ·형태사항 299 p.:삽화, 초상;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83-299
    방일영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저술, 출판되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6502142  039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6.511  듀이십진분류법-> 394.269519  
  • ·주제명 명절 음식[名節飮食]명절[名節]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윤덕노 지음 2011 SE0000018878 386.511-1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01                                                    
설        기원전 104년 명절이 됐다                     
가래떡    오래 살고 부자 되라며 먹는다                  
떡국      태양을 상징해 하얗게 끓인다                   
만두      만두에는 휴머니즘이 넘친다                    
수정과    겨울에 마시는 제왕의 음료                      
식혜      술, 식초와 모두 한 뿌리                       
                                                        
02                                                      
입춘      엄동설한이 왜 봄의 시작일까?                  
오신채    기운을 차리는 정력의 채소                   
춘권      봄기운을 돌돌 말아 먹는다
                                                       
03                                                      
대보름    새해 축제를 마무리 짓는 날                  
부럼      왜 견과를 깨면 부스럼을 막을까?               
호두      먹으면 만년을 살 수 있다는 장수 열매          
땅콩      지금은 부럼 대표 … 전에는 땅콩 대신 무       
오곡밥    풍년 기원의 음식이 아니다?
약식      꿀에 버무린 밥이라서 약밥                   
                                                       
04                                                     
삼짇날    묵은 때 벗기며 봄을 맞았다                    
진달래전  제철 꽃으로 감상하는 봄의 맛                  
화전유래  계절 따라 부친 배꽃, 연꽃, 장미꽃           
청포묵    여름더위를 대비한 봄철 보양식                 
                                                      
05
한식      찬밥 먹는 진짜 이유 … 유래와 진실          
찬밥      물에 만 밥은 손님상에 놓았던 별미             
                                                        
06                                                    
연등행사  등불을 켜는 자체가 공양 의식
콩볶음    콩과 초파일의 인연                           
                                                        
07                                                      
단오      좋은 날이면서 나쁜 날이다                     
쑥떡      해충을 쫓아 액운을 막는다
매실음료  임금님이 마시던 여름 청량음료               
쫑즈      물 난리를 막아준다는 나뭇잎 쌈밥             
                                                       
08
삼복      음기가 숨어 귀신이 판치는 날
보신탕    왜 한국만 보신탕을 먹을까?                    
육개장    보신탕 대신 쇠고기를 넣어 肉개장
삼계탕    음기를 다스릴 때는 닭이 최고

09
유두절    여름철 위생을 강조하는 날이었다
증편      쌍화점의 쌍화가 술떡의 원조 
콩국수    냉면과 쌍벽 … 남쪽의 여름별미
얼음      현대 못지 않은 조선의 얼음소비
수정과    겨울에 마시는 제왕의 음료                      

10
칠석      별자리 관측이 사랑 이야기로…
부침개    고려 때부터 여름 입맛을 유혹하다
햇과일    참외, 다른 나라에는 없는 토종과일
소면      한국으로 전해진 일본 전통국수

11
추석      추석의 기원은 무엇일까?
송편      과연 추석에 먹는 떡이었을까?
토란      땅에서 나는 계란…추석과 찰떡궁합
배        신선들이 먹던 천상의 약이다
사과      병자호란 이후 들어온 외래과일

12
중양절     9월 9일 오래 살기를 빌었다
국화       국화꽃 먹으면 장수한다
산수유     몸도 덥히고 벌레도 쫓는 일석이조
진달래전  제철 꽃으로 감상하는 봄의 맛                  

13
시월상달   새해 첫 달이어서 상달이다
고사떡     상달 고사떡이 시루팥떡인 이유

14
동지       태양이 부활하는 날이다
동지팥죽   전염병을 예방하는 음식이었다
서양팥죽    유태인은 장례식 때 팥죽을 먹는다

15
수능과 과거  귤 나온 것을 기념해 과거를 보다
귤         대학나무이자 원수나무
합격음식   기쁨을 미리 맛보는 한국 엿

16
제야의 종  달력에서 사라지는 마지막 날
메밀묵     겨울에 먹으면 아들 낳는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