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동아시아와의 인터뷰 : 공존의 길을 묻다 / 지은이 : 강상중,권혁태,기미야 다다시,마이클 그린,마이클 오핸런,문흥호,박명림,스콧 스나이더,양문수,와다 하루키,우메바야시 히로미치,정욱식,조엘 위트,진징이,팡종잉 ;인터뷰·정리 : 평화네트워크
동아시아와의 인터뷰 : 공존의 길을 묻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동아시아와의 인터뷰 : 공존의 길을 묻다 / 지은이 : 강상중,권혁태,기미야 다다시,마이클 그린,마이클 오핸런,문흥호,박명림,스콧 스나이더,양문수,와다 하루키,우메바야시 히로미치,정욱식,조엘 위트,진징이,팡종잉 ;인터뷰·정리 : 평화네트워크
  • ·발행사항 파주 : 서해문집, 2013
  • ·형태사항 366 p. :삽화, 초상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4836146  0334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9.1  듀이십진분류법-> 327.5  
  • ·주제명 국제 관계[國際關係]외교 관계[外交關係]동아시아[東--]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강상중,권혁태,기미야 다다시,마이클 그린,마이클 오핸런,문흥호,박명림,스콧 스나이더,양문수,와다 하루키,우메바야시 히로미치,정욱식,조엘 위트,진징이,팡종잉 ;,인터뷰·정리: 평화네트워크 2013 SE0000017482 349.1-13-1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강상중,권혁태,기미야 다다시,마이클 그린,마이클 오핸런,문흥호,박명림,스콧 스나이더,양문수,와다 하루키,우메바야시 히로미치,정욱식,조엘 위트,진징이,팡종잉 ;,인터뷰·정리: 평화네트워크 2013 SE0000051159 349.1-13-1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강상중,권혁태,기미야 다다시,마이클 그린,마이클 오핸런,문흥호,박명림,스콧 스나이더,양문수,와다 하루키,우메바야시 히로미치,정욱식,조엘 위트,진징이,팡종잉 ;,인터뷰·정리: 평화네트워크 2013 SE0000141504 349.1-13-13=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_패권 전환 시대의 동아시아, 다시 평화를 생각한다

1부 냉전과 평화 사이, 혼돈의 동아시아
《1》 동아시아는 아직 냉전 중 _박명림 (연세대학교 교수)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정책 5년
평화는 이상인 동시에 실천
한국전쟁은 내전인가 국제전인가
60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해야 할 때

《2》 혼돈의 동아시아, 희망은 한국에 있다 _강상중 (세이가쿠인대학 교수, 전 도쿄대학 교수)
일본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혼돈의 동아시아, 희망은 어디에?

2부 일본의 우경화, 어디로 가고 있나
《3》 한국의 독재정권과 일본 정부는 공범관계다 _권혁태 (성공회대학교 교수)
일본은 정말 우경화되고 있나
평화헌법은 일본의 ‘더 오른쪽으로’를 막아주는 마지막 보루
후쿠시마 이후, ‘국가의 재구성’으로 달려가는 일본
과거사 문제와 영토 분쟁
반제국주의와 반전이 한국의 역사적 아이덴티티

《4》 일본의 우경화? 과도한 해석 자제해야 _기미야 다다시 (도쿄대학 교수)
우경화는 확대 해석일 뿐, 평화헌법의 현실적 존재 의의?
독도 문제와 종군위안부 문제에는 한국 정부도 책임 있어
북한 문제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잃은 게 아쉬워
외교란, 서로가 자기 이익을 위해 이용하는 것

《5》 일본 우경화, 한국에도 도움 _마이클 그린 (전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아시아국장)
영토 분쟁에서 미국은 중립적, 다만 중국의 무력 도발은 용납 안 돼
일본, 우경화가 아니라 제 자리를 찾는 것
한-일 안보 협력은 한국에도 이로운 것

3부 핵과 평화
《6》 일본의 ‘탈원전’을 미국이 가로막는 이유 _우메바야시 히로미치 (피스데포 특별고문)
한국의 민주화 운동,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새로운 리더십 탄생의 실패
두 개의 다른 기둥, 원전과 평화군축
동북아 비핵화 구상, 3+3안

《7》 북한 비핵화의 실패, 이유는? _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
한국은 이제, 안보 자원의 생산자
6자회담은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요조건
문제아 북한? 평화를 위한 조건이 먼저다
새로운 지도자들, 향후 변화는?

《8》 미국은 ‘통일코리아’를 정말 원할까? _조엘 위트 (전 미국 국무부 북한담당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이유는?
6자회담은 ‘하나의’ 우산일 뿐, 주된 협상 테이블이 아니다
문제는 평화협정이다!
미국 행정부의 말말말, 단지 레토릭일 뿐
이명박 정부의 지난 5년은 완전한 실패
역사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제4부 떠오르는 패권, 새로운 질서
《9》 세계의 미래는 결정된 것이 아니다 _팡종잉 (중국인민대학 교수)
중국이 원하는 세계 질서?
동아시아의 영토 분쟁,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중국의 소프트파워는 아직 후진국 수준
G2 시대, 한국의 딜레마? 동아시아의 브뤼셀 지향해야

《10》 중국의 신형 대국론은 ‘대결’이 아니다 _진징이 (중국 베이징대학 교수)
김정은 체제, 선군정치에서 선경정치로 가는가
북한식 양탄일성? 핵 억제력은 냉전의 산물!
지정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지경학의 패러다임으로
중국은 ‘대결’로는 가지 않을 것
한국전쟁, G2의 맹아였나
한반도 평화체제는 동북아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과정

《11》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 중국과 싸우겠다는 것 아니다 _마이클 오핸런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
미국의 국방 예산은 여전히 탄탄하다
‘재균형’은 패권을 위한 힘겨루기가 아니다
미국이 한번 떠나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
우리는 전쟁이 일어나면 같은 편

《12》 중국-대만, 양안관계가 부럽다? _문흥호 (한양대 국제대학원 원장)
미-중 관계, 대립과 협력의 이중구조
한국과 중국, 전략적 협력 없는 전략적 동반자
중국에게 북한은 전략적 자산인가, 부담인가
남북관계가 양안관계에서 배울 점
중국의 역할과 한계는?

제5부 두 개의 코리아, 평화의 길을 찾다
《13》 북한, 김정은 절대 통치의 시기는 끝났다 _와다 하루키 (도쿄대학 명예교수)
일본에게 북한이란?
일본인 납치 문제와 천안함 사건은 닮은꼴
유격대 국가, 정규군 국가를 지나 ‘당 국가’ 체제로 넘어가는 북한

《14》 한반도 경제통합, 비전은 있다 _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북쪽은 남쪽에게 ‘기회의 땅’인가
박근혜 정부의 경제 정책과 남북 경협
북한의 시장화, 중국식 모델을 따를 것인가
개성공단 실험과 유라시아 경제권의 잠재력

《15》 시끌벅적한 평화의 실천이 필요한 때 _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악순환에 빠진 북-미 관계, 한국의 선택지는?
누구든, 핵무기를 머리에 이고 살 수는 없는 것
보수 정권이 더 잘할 수 있어
중국의 전략은 오직 ‘동적인 균형’을 맞추는 것
남과 북은 잠정적 특수관계
평화는 조용히 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