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치적 소통과 SNS = Political communication and SNS / 한국언론학회 엮음
정치적 소통과 SNS = Political communication and SNS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치적 소통과 SNS = Political communication and SNS / 한국언론학회 엮음
  •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2
  • ·형태사항 449 p. :천연색삽화, 도표 ;23 cm
  • ·총서사항 (나남신서 ;1647)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내용: 저널리즘과 SNS /임영호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소셜 미디어 /나은영 --SNS와 사회자본 /이재신,이영수 --SNS를 통한 정치참여 /정일권 --SNS와 정당정치 변화 /조화순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SNS 선거캠페인 /이소영 --트위터 투표인증샷을 통해 본 젊은 세대의 투표 참여와 선거문화 /서희정,이미나 --소셜미디어와 한국의 뷰어태리어트 /허윤철,김지영,박지영,박한우 --인터넷과 SNS를 통한 감성적 참여와 공유 /이기형,이영주 --SNS 규제와 표현의 자유 /문재완 --SNS와 참여민주주의의 미래 /윤성이 --소셜미디어 정치의 국제적 비교 : 연결과 단절의 갈등을 중심으로 /조희정 --SNS와 인터넷 거버넌스 /문상현 --SNS 정치발언의 사실검증 /오택섭,설진아,마동훈,김해영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086479  94300: \2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4.5  듀이십진분류법-> 324.7  
  • ·주제명 정치(권력)[政治]저널리즘[journalism]정치 참여[政治參與]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한국언론학회 엮음 2012 SE0000017383 344.5-13-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부 SNS에 대한 이론적 이해

제1장 저널리즘과 SNS _ 임영호
1. SNS, ‘저널리즘’을 말하다 
2. SNS로 위협받는 저널리즘 매체의 위상
3. 저널리즘 규범의 변화
4. SNS 시대에 과연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제2장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소셜 미디어 _ 나은영
1. 소셜 미디어와 사회적 인간의 닮음
2.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인간의 심리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3. 소셜 미디어 이용 과정의 심리 (SNS 이용 과정)
4.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강화 효과 (SNS 이용 효과)
5. 소셜 미디어 시대의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3장 SNS와 사회자본 _ 이재신ㆍ이영수
1. 왜 사회자본인가?
2. 사회자본의 의미와 유형
3. 우리사회의 사회자본과 SNS
4. 맺는말

2부 SNS와 정치참여

제4장 SNS를 통한 정치참여 _ 정일권
1. 정치 유력자 SNS의 등장
2. SNS의 기술적 특징과 정치적 기능
3. 유권자(시민)의 정치참여 유형
4. 정치참여 과정별 SNS의 기능
5. 맺는말: SNS를 통한 정치참여의 기대와 우려

제5장 SNS와 정당정치 변화 _ 조화순
1. 소셜 네트워크 시대, 정당정치는 위기인가? 
2. 소셜 네트워크와 시민의 변화
3. 소셜 네트워크와 정당의 변화
4. 정당정치와 대의제 민주주의의 미래

제6장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SNS 선거캠페인 _ 이소영
1. 들어가는말
2. SNS 선거캠페인과 기존 선거캠페인의 차이점
3. SNS를 활용한 선거캠페인의 사례
4. 4.11 총선 후보자들의 SNS 선거캠페인
5. 맺는말

제7장 트위터 투표인증샷을 통해 본 젊은 세대의 투표 참여와 선거문화 _ 서희정ㆍ이미나
1. 들어가는말
2. 선거별 투표인증샷의 특성
3. 투표인증샷이 젊은 세대의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세대의 특성
4. 투표인증샷의 동기
5. 투표인증샷이 타인의 투표의사에 미치는 영향 
6. 맺는말

제8장 소셜 텔레비전과 한국의 뷰어태리어트 _ 허윤철ㆍ김지영ㆍ박지영ㆍ박한우
1. 소셜 시청과 뷰어태리어트의 등장
2. 2010년 영국 총선과 정치정보 사이클
3. 새로운 정치정보 사이클과 뷰어태리어트
4. 2010년 한나라당 서울시장 예비 후보자 TV토론회의 사례 
5.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TV토론의 사례
6. 맺는말: 한국 뷰어태리어트의 특성  

제9장 인터넷과 SNS를 통한 감성적 참여와 공유 _ 이기형ㆍ이영주
1. 들어가는말
2. 인터넷의 진화와 온라인 공론장의 활성화
3. SNS와 변화하는 말들의 풍경: 사이버 행동주의의 명암을 중심으로 
4. 소셜 미디어와 ‘정치미학’의 함의
5. 맺는말

3부 더 나은 SNS, 더 나은 민주주의를 향해

제10장 SNS 규제와 표현의 자유 _ 문재완
1. 서기호 판사와 SNS 규제
2. SNS 규제와 인터넷 규제, 다른 것인가?
3. SNS 규제, 왜 그리고 어떻게 하는가?
4. SNS 규제의 특수한 영역
5. 맺는말

제11장 SNS와 참여민주주의의 미래 _ 윤성이
1. 디지털 네트워크의 확산과 정치과정의 변화
2. SNS와 민주주의 모델 논쟁
3. SNS 정치와 대의민주주의 충돌
4. SNS와 민주주의 모델 간의 친화성 
5. 네트워크 사회의 민주주의 

제12장 소셜 미디어 정치의 국제적 비교: 연결과 단절의 갈등을 중심으로 _ 조희정
1. 문제제기
2. 소셜 미디어의 발전원리와 이해방법
3. 글로벌 사회운동 및 혁명 사례
4. 소셜 미디어 사회운동의 과정과 쟁점
5. 소셜 미디어 사회 발전을 위한 과제

제13장 SNS와 인터넷 거버넌스 _ 문상현
1. 들어가는말
2. 지구화, 미디어 그리고 글로벌 거버넌스
3. 인터넷 거버넌스와 글로벌 정치
4. SNS의 확산과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 : 인터넷 거버넌스 이슈들에 대한 SNS의 함의
5. 맺는말

제14장 SNS 정치 발언의 사실 검증(fact-checking) _ 오택섭`ㆍ설진아ㆍ마동훈ㆍ김해영
1. 언론과 SNS, 그리고 ‘사실 검증’의 필요성 
2. 미국 언론의 ‘사실 검증’ 시스템
3. 미국 SNS 정치 발언의 ‘사실 검증’ 사례
4. 한국의 SNS 정치 발언과 ‘사실 검증’ 사례
5. 언론과 SNS 정치 발언의 ‘사실 검증’ 대상 및 방법 
6. SNS 사실 검증의 한계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