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대한민국을 말한다 : issue & issue 변화와 혁신의 갈등 속에서 우리의 미래는? / 최창렬 지음
대한민국을 말한다 : issue & issue 변화와 혁신의 갈등 속에서 우리의 미래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대한민국을 말한다 : issue & issue 변화와 혁신의 갈등 속에서 우리의 미래는? / 최창렬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2
  • ·형태사항 345 p.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6832110  0307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  
  • ·주제명 사회 평론[社會評論]정치 평론[政治評論]한국 정치[韓國政治]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창렬 지음 2012 SE0000016952 340.911-13-9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1부 한국정치, 어떻게 볼 것인가?

01_인터넷 정치, 민주주의인가 포퓰리즘인가
02_대선의 쟁점과 우리의 관심
03_경선의 제도화와 정치문화
04_물갈이는 제대로 된 공천을 보장할 수 있는가?
05_종교와 정치
06_언제까지 여야는 정쟁의 포로가 될 것인가
07_한나라당은 집권당의 신뢰를 보여 주어야
08_출범 2년 차 정권, 정치의 본령 찾아야
09_국회에서의 이념논쟁과 정책경쟁
10_인사청문회 소회
11_세종시의 정치학
12_총리론
13_세종시, 절충이 최선이다
14_무분별한 창당과 야권분열
15_6ㆍ2지방선거의 정치학
16_중앙권력, 입법권력 그리고 지방권력
17_개헌 논의, 때가 아니다
18_북한, 어찌해야 하는가
19_정치인의 오만함
20_‘안철수 현상’과 ‘정치적인 것’의 실종
21_선거와 가치지향

2부 대통령과 소통

01_범여권 대통령 후보 경선의 경우
02_17대 대선의 정치공학
03_이명박 대통령은 비상한 결단으로 국정쇄신에 임하라
04_대통령의 지지율과 좌파 그리고 우파
05_전직 대통령 문화
06_대통령의 죽음
07_대통령의 서거와 개헌
08_G-20 정상회의와 ‘소통’ 그리고 리더십
09_소통과 카리스마
10_리더십의 위기
11_MB 정권과 소통
12_대통령의 블랙홀

3부 세계화와 경제

01_한국과 세계화
02_18대 총선과 세계화
03_베이징 올림픽과 중화주의
04_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정치
05_투자자 국가소송제(ISD)와 정치
06_오바마와 한국
07_금융위기 1년과 사회적 원심력
08_아랍 재스민 혁명

4부 현상으로 본 한국사회의 자화상

01_교포학생의 반사회적 의식과 남겨진 과제
02_한국사회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03_허위학력 파문과 한국사회
04_신정아 파문과 권력
05_숭례문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06_명절과 한국사회
07_인터넷 문화와 정의(正義)
08_개천절과 글로벌 다문화시대
09_대중문화와 상업주의
10_한국사회의 위기불감증
11_한국의 미래와 현실 인식
12_한국인의 행복지수
13_한국의 사회적 자본
14_천안함 침몰 원인이 밝혀진 후
15_‘공정’과 공동체
16_한국사회의 주류(主流)
17_포퓰리즘과 복지
18_졸업식 유감
19_천안함 폭침 1주기와 공직자 재산공개 소회
20_가정의 달과 세대간극
21_공정사회와 전관예우

5부 대학, 어떻게 변해야 하나? 

01_대학폭력과 한국사회
02_인문학과 교양학 과목의 중요성
03_대학평가 유감
04_대학의 교육 기능은 연구 못지않게 중요하다
05_대학구조조정의 바람직한 방향
06_대학평가와 한국사회
07_대학 시간강사의 경우
08_등록금 인상과 동결 사이
09_시간강사 처우 개선의 허실(虛實)
10_대학등록금 1,000만 원 시대의 반값등록금
11_대학의 구조조정과 반값등록금

6부 보론 

01_한국 언론과 새로운 방향
02_한국의 보수와 진보
03_민주주의와 다수결 원칙
04_한국사회와 대학의 역할
05_4ㆍ19와 5ㆍ16
06_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
07_종편과 자본의 권력화
08_민주주의의 정착과 제도화
09_성장 신화의 허구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