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캐나다 복지국가 연구 / 저자 : 조영훈
캐나다 복지국가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캐나다 복지국가 연구 / 저자 : 조영훈
  •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11
  • ·형태사항 393 p. ;23 cm
  •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25집)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53-388)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315395  94330: \15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8.0941  듀이십진분류법-> 362.971  
  • ·주제명 사회 복지[社會福祉]캐나다(국명)[Canada]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조영훈 2011 SE0000016260 338.0941-13-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주제들
3. 이 책의 구성과 내용
4. 비교 관점에서 본 캐나다 복지국가
1) 사회보장지출
2) 사회보장분야별 지출
3) 사회지출에서의 공사분담

제2장 캐나다의 사회보장제도
1. 연금
1) 보편연금과 공공부조연금
2) 사회보험연금
3) 민영연금(Private Pensions)
2. 노동보험
1) 고용보험(Employment Insurance)
2) 산재보험
3. 사회부조와 아동급여
1) 사회부조(Social Assistance)
2) 아동급여(Child Benefits)
3) 사회부조와 아동급여 현황
4. 의료보장제도
1) 연혁 및 특징
2) 의료보장제도의 운영기관과 원칙
3) 급여대상 의료항목
4) 재정

제3장 캐나다 복지국가의 역사
1. 식민지시대(17세기 초반-캐나다 자치국가의 성립)
1) 프랑스 점령기
2) 영국 점령기
2. 복지국가 형성기(1867-1941년)
1) 산재보험(Workers’ Compensation Act)
2) 공공부조연금(Old Age Pensions)
3) 모성수당(Mothers’ Allowance)
4) 실업보험
5) 정리와 평가
3. 복지국가 확대기(1942-1974년)
1) 가족수당(Family Allowance)
2) 보편연금
3) 병원보험(Hospital Insurance)과 의료보장(Medical Care)
4) 사회보험연금
5) 개정 실업보험
6) 사회부조
7) 정리와 평가

제4장 캐나다 복지국가의 최근 동향
1. 복지국가의 위기 시기(197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
1) 사회 및 정치 상황
2) 사회보장제도의 변화
2. 복지국가의 정체기(1990년대 초반-현재)
1) 사회적 배경
2) 사회보장제도의 변화

제5장 지배적 가치관과 캐나다 복지국가
1. 립셋의 문화주의적 해석
1) 미국과 캐나다의 지배적 가치관의 차이
2) 지배적 가치관과 복지국가
2. 립셋에 대한 평가
1) 미국과 캐나다의 가치관의 차이
2) 가치관과 복지국가의 성장
3) 지배종교와 복지국가
3. 맺음말

제6장 자유당, 사회민주당, 캐나다 복지국가: 가족수당 사례
1. 캐나다 가족수당의 형성과 특징
2. 가족수당의 형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계급동원전략
2) 집권 정당의 복지확대 노력
3) 전시 경제하의 임금통제와 노동계급의 급진화
4) 집권 정당의 정치적 위기
5) 소결론
3. 가족수당의 쇠퇴
4. 맺음말

제7장 노동운동과 기업복지의 발달
1. 캐나다의 기업복지
1) 역사
2) 특징
2. 이론적 검토
3. 캐나다 노동운동의 특징
1) 낮은 조직률
2) 노동조합운동의 분열
3) 기업별 단체협상과 비즈니스 조합주의
4. 노동조합운동과 기업복지의 발달
5. 맺음말

제8장 캐나다 복지국가의 유형
1. 캐나다 복지유형에 대한 기존 연구 검토
1) 에스핑-안데르센의 복지유형론
2) 에스핑-안데르센의 캐나다 복지유형 분류
3) 비판과 평가
2. 사회보장 구성비율의 관점에서 본 캐나다 복지국가
3. 캐나다의 복지유형상의 특징
4. 맺음말

제9장 캐나다 복지국가의 비교와 전망
1. 캐나다와 한국의 복지국가 비교
2. 사회민주주의와 캐나다 복지국가
1) 사회민주당과 연방정부의 사회복지정책
2) 사회민주당과 주정부의 사회복지정책
3.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