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콘텐츠 개발의 현장 / 지은이 : 김나영,박상영,안남일,안소진,이용승,이중식,임해경
콘텐츠 개발의 현장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콘텐츠 개발의 현장 / 지은이 : 김나영,박상영,안남일,안소진,이용승,이중식,임해경
  •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사, 2011
  • ·형태사항 275 p. :삽화, 도표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57-267)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408248  9330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  듀이십진분류법-> 338.76  
  • ·주제명 문화 콘텐츠[文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나영,박상영,안남일,안소진,이용승,이중식,임해경 2011 SE0000015199 331.5-13-38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스마트폰을 활용한 영어 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김나영
1. 스마트폰과 에듀테인먼트  
2. 매체별 영어 교육 콘텐츠 현황  
3. 스마트폰 영어 Application 현황 및 활용의 장점 
  3.1. 스마트폰 영어 Application 활용 예시  
  3.2. 스마트폰 영어 Application 활용의 장점 
4. 영어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Application 제작에 관한 제안 
5. 〈영어 교육+스토리텔링+스마트폰〉의 결합을 통한 콘텐츠 개발

  ‘세계 전통 의약 엑스포’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박상영
1. 한국적 한의학 소재의 보고 : 『동의보감』
2. 『동의보감』의 콘텐츠 현황  
  2.1. 『동의보감』의 한글화 작업 
  2.2. 『동의보감』의 영문화 작업   
3. 한의학 관련 지자체 축제 활성화의 필요성 
3.1. 한의학 관련 지역 문화축제 현황  
3.2. 현황에 대한 분석   
4. 새로운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언 
4.1. 프로젝트의 내용 및 범위   
4.2. 프로젝트 실행 시의 기대효과  
5. 세계 전통 의약 엑스포 활성화를 위한 제언 
[부록] 『동의보감』 관련 사업 현황

  『혼불』의 문화 콘텐츠화 방안 연구         안남일
1. 콘텐츠로서의 『혼불』의 가치 
2. 콘텐츠, 문화 콘텐츠, 문화 콘텐츠 산업 
3. 『혼불』의 콘텐츠화 현황 
4. 『혼불』의 콘텐츠화 방안 
5. 『혼불』의 콘텐츠화를 위한 제언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청소년 캠프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안소진
1. 사회 현상으로서의 다문화가정
2.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 현황  
3.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기존 콘텐츠 분석  
  3.1. ‘다문화가정 e-배움 캠페인’의 교육 콘텐츠 분석 
  3.2. 안산시 ‘안산 이주민 센터’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콘텐츠 분석 
4.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 문제 분석    
5.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캠프 프로그램 개발 
  5.1. 음식을 테마로 한 프로그램  
  5.2. 음악을 테마로 한 프로그램  
  5.3. Role-play를 테마로 한 프로그램  
6.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캠프 프로그램 개발의 기대효과

  “처용 설화”의 게임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이용승
1. 한국 설화와 게임 콘텐츠    
2. ‘처용 설화’의 게임 콘텐츠적 잠재력   
3. ‘처용 설화’의 OSMU 현황    
4. 한국 설화를 변용한 게임 콘텐츠 현황    
  4.1. ‘바리공주 설화’의 게임 콘텐츠 개발 사례  
  4.2. ‘서동(무왕) 설화’의 게임 콘텐츠 개발 사례  
5. ‘처용 설화’를 변용한 게임 콘텐츠의 기본 콘셉트(High Concept)
6. ‘처용 설화’의 문화 콘텐츠화 전망   

  『탐라순력도』의 문화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이중식
1. 원천 소스로서의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2. 『탐라순력도』 개관   
3.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인의 특성과 사회문화 
4. 『탐라순력도』에서 나타나는 제주인의 정신 세계  
5. 『탐라순력도』의 콘텐츠화   
  5.1. 『탐라순력도』에 담긴 콘텐츠 요소  
  5.2. 『탐라순력도』가 갖는 원천 소스로서의 가치 
6. 『탐라순력도』를 활용한 OSMU  
  6.1. 스토리텔링 개발    
  6.2. 게임 개발    
  6.3. 체험 관광 상품과 지역 관광 자원화  
7. 『탐라순력도』 활용에 따른 향후 과제  

  공공 공연장의 발전 방안 연구             임해경
      - 대전 문화 예술의 전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대전 문화 예술의 전당 개요  
2. 중앙 정부의 문화 정책 동향   
3. 국내 공연 산업의 현황 및 전개 방향  
3.1. 국내 공연 시장의 동향  
3.2. 공연 산업의 전망   
4. 대전 문화 예술의 전당의 현황 및 문제점  
4.1. 기능과 목적    
4.2. 대형 공공 공연장으로서의 위상 
4.3. 조직 구조의 개선  
5. 대전 문화 예술의 전당의 운영 개선 방안 
5.1. 조직의 재구성 검토 및 실행  
5.2.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공연장으로서의 위상 재정립
5.3. 기획 전문 공연장으로서의 역할 강화  
5.4. 수준 높은 공연 문화의 정착   
5.5. 기관 운용의 효율성 제고    
5.6. 추진 전략 및 추진 방법    
6. 대전 문화 예술의 전당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