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새로운 질서를 준비하는 이들을 위한) 대한민국 경제 2013 그 이후 / 지은이 : 김경원,김준원
(새로운 질서를 준비하는 이들을 위한) 대한민국 경제 2013 그 이후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새로운 질서를 준비하는 이들을 위한) 대한민국 경제 2013 그 이후 / 지은이 : 김경원,김준원
  • ·발행사항 [파주] : 웅진씽크빅, 2012
  • ·형태사항 323 p. :도표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01146218  0332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97  한국십진분류법-> 320.911  듀이십진분류법-> 338.544  듀이십진분류법-> 330.9519  
  • ·주제명 경제 예측[經濟豫測]한국 경제[韓國經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경원,김준원 2012 SE0000012263 321.97-13-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경제를 멀리 조망하고 위기를 미리 감지해내다

PART I 글로벌 및 한국경제가 위험하다
chapter 1 금융: 자산버블의 잦은 생성과 소멸, 이어지는 금융위기
 1990년대 후반의 IT버블
 2000년대 초중반의 주택버블
 2000년대 후반의 원자재버블
 한국의 버블들
chapter 2 사회: 양극화, 청년실업, 내수부진
 심화되는 양극화 
 높아진 청년실업률 
 한국의 고질적인 내수부진
chapter 3 재정: 세계 각국의 재정파탄 위기와 포퓰리즘 확산
 사상 최고의 국가부채와 국채의존도, 일본
 재정위기에 흔들리는 유럽 
 포퓰리즘의 본질은 지금 쓰고 미래에 갚는 것
 한국의 복지지출 확대 일로

PART II 글로벌경제에 위기를 초래한 다섯 가지 힘
chapter 4 첫번째 주된 힘: 중국의 세계경제 편입
 근대 중국사회의 시작: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중국이 세계무대에 등장하다
 전세계의 물가상승을 막아낸 중국효과 
chapter 5 두번째 주된 힘: 각국의 통화팽창
 시장의 통화량과 물가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의 통화팽창과 자산버블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통화팽창과 자산버블 
 통화팽창의 부작용, 부와 소득의 양극화
chapter 6 세 개의 보조적인 힘
 인터넷의 보급과 디지털 혁명
 공산주의의 몰락으로 인한 자본주의 진영의 결속 와해
 세계화의 가속화가 가져온 시간차 없는 동조현상

PART III 깊고 긴 불황이 온다
chapter 7 ‘깊고 긴’불황의 도래 가능성
 더 이상 잘 통하지 않는 통화정책
 중국의 디플레이터 역할 종료
 유럽은 어떻게 될까
chapter 8 애그플레이션과 레소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의 확산과 고착화
 레소플레이션의 구조화
chapter 9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양립을 위협하는 잠재적 모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역사 
 미국의 두 시스템의 양립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이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조합의 불안한 미래
chapter 10 주요국의 고령화와 재정적자 심화
 연금지출 증가
 성장잠재력 훼손
chapter 11 한국 경제의 시한폭탄, 가계부채

PART IV 이제부터 일어날 글로벌경제의 변화는 어떨까
chapter 12 불황극복의 원동력은 친디아에서 나온다
 8% 성장률을 지키기 위한 중국정부의 내수촉진
 중산층 소비가 받치는 인도의 내수시장 
chapter 13 세계경제 질서의 주도권이 아시아로 이동한다
 팍스 아메리카나의 균열 조짐 
 세계경제 속 친디아의 비중 증가
 팍스 아시아나의 태동 그리고 한국 
 달러화의 기축통화 지위 약화 
 아시아 금융중심지의 부상
chapter 14 자원전쟁이 격화되고 그린산업이 부상한다
 자원전쟁의 본격화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그린산업

PART V 새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경제의 선택
chapter 15 성장과 고용의 세 가지 돌파구를 탐색하라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한국경제 저성장의 늪
 신수종산업 제언: 그린 및 화이트바이오, 문화콘텐츠
 친디아의 내수시장 공략 
 신수종사업과 새로운 시장을 위한 미래형 인재의 육성 
chapter 16 한국경제의 세 가지 리스크를 예방하라
 시급을 다투는 가계부채 문제의 연착륙
 국가부채의 추가적인 악화 방지 
 김정일 사후 북한체제에 대한 시나리오플래닝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