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신·재생에너지에 기초한 녹색성장과 사회통합 / 저자 : 김인호
신·재생에너지에 기초한 녹색성장과 사회통합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신·재생에너지에 기초한 녹색성장과 사회통합 / 저자 : 김인호
  •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13
  • ·형태사항 282 p. :삽화, 도표 ;23 cm
  •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350집)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73-278)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316040  94330: \12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393  듀이십진분류법-> 333.794  
  • ·주제명 신재생 에너지[新再生--]에너지 정책[--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김인호 2013 SE0000012112 321.393-13-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에너지환경의 변화와 에너지정책의 전환
제1절 에너지환경의 변화
제2절 에너지정책의 전환
1. 국가에너지정책의 변화
2. 국가 차원의 에너지정책 수립의 필요성
3.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수립
제3절 에너지법제의 정비
1. 에너지법제의 체계화
2. 에너지법의 특징
3.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4. 지속가능발전법
5. 에너지법
6. 에너지 관련 일반법
7.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8.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4절 에너지법과 에너지정책의 관계
1. 기후변화정책 및 법제와 에너지정책 및 법제
2.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에너지법제
3. 에너지산업의 구조개편
4. 신?재생에너지정책

제2장 신?재생에너지
제1절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1. 신?재생에너지의 현황 및 개발의 필요성
2.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개관
제2절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현황과 법제
1. 녹색성장과 신?재생에너지
2. 신?재생에너지의 정의
3. 신?재생에너지정책의 현황
4. 신?재생에너지 법제(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5. 신?재생에너지 법제의 평가 및 향후 진로의 모색
6. 신?재생에너지와 국제협력
제3절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현황과 법제
1.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2.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투자
3.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법제와 현황

제3장 사회경제적 계층과 에너지 사용
제1절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에너지 사용의 편차
1. 에너지정의
2. 사회경제적 계층별 에너지 소비량
3.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에너지 이용의 왜곡현상
제2절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불균형한 에너지 사용의 시정
1. 사회통합과 저소득계층을 위한 에너지 지원정책
2. 저소득계층을 위한 에너지 지원정책과 그 한계
3. 저소득계층을 위한 에너지 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
제3절 외국의 에너지빈곤층 지원정책
1. 미국
2. 영국
3. 프랑스
4. 독일
제4절 에너지빈곤층에 대한 다른 나라의 지원정책으로부터의 시사점
1. 단기적?직접적 지원정책과 장기적?간접적 지원정책의 병행
2. 정부 부서 간의 공조를 통한 종합적인 지원정책
3. 정부와 민간단체 간의 역할 분담
4. 긴급사태에 대한 비상대책의 강구
제5절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 지원정책의 개선
1. 에너지 지원의 제도화
2. 지원방법의 재검토
3. 에너지 지원정책의 형태에 따른 개선
4. 전기의 보편적 공급
5. 에너지공급자 시행 지원 프로그램의 체계화
6. 에너지 지원정책의 효율적 체계화

제4장 녹색성장과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추진 방안
제1절 지속가능한 발전 구조 안에서의 에너지정책
1. 지속가능한 발전과 에너지정책
2. 신?재생에너지시장에 대한 정부 지원의 근거
제2절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녹색성장
1. 에너지 효율의 제고
2. 국제표준화의 참여와 녹색보호주의에 대한 대응
3. 정부의 지속적 정책 추진과 민간투자
4. 녹색산업기술 확보
5. 산?학?연 공동협력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에 기초한 녹색산업 클러스터 조성
6. 녹색산업에의 외국 직접투자 유치
7. 녹색산업 수출확대 지원정책
제3절 에너지정의를 구현하는 에너지정책을 통한 더불어 사는 사회통합의 실현
1. 저소득계층의 에너지접근성 제고
2. 신?재생에너지정책을 통한 저소득계층의 에너지 지원
3. 녹색 일자리 창출을 통한 사회통합의 실현

제5장 신?재생에너지, 녹색성장, 사회통합 그리고 삶의 질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