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지역에서 행복을 찾다 = Happiness in the local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지역에서 행복을 찾다 = Happiness in the local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지역에서 행복을 찾다 = Happiness in the local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3
  • ·형태사항 275 p. :삽화, 초상 ;23 cm
  • ·총서사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교양총서 ;3)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268392  03600: \1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211  듀이십진분류법-> 307.14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2013 SE0000011736 309.211-1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2013 SE0000140928 309.211-13-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1부?행복한 세계를 꿈꾸며
유토피아와 무위의 공동체?하용삼
1. 유토피아
2. 왜 우리는 공동체를 원하는가?
3. 원시공동체에서 삶
4. 국가에 대항하는 원시공동체
5. 무위의 공동체

동양의 이상사회, 대동의 세상?이명수
1. 행복한 지역에의 꿈
2. 자연주의 철학의 이상향
3. 현실적이며 이상적인 대동 사회
4. 경계를 넘는, 평등한 삶의 자리
5. 내 몸과 마음이 편안한 장소

공생의 조건과 지역의 현실?장세용
1. 지역이란 무엇인가?
2. 지역의 현실
3. 바람직한 지역 공동체 구상을 위한 조건들
4. 변화의 선례

2부―고단한 여기에 서서
욕망의 공간, 아파트와 재개발?공윤경
1. 주거문화와 아파트
2. 아파트의 등장과 변화
3. 아파트의 의미
4. 아파트와 재개발
5. 공존과 공생을 위하여

사라지는 언어, 사라지는 지역?차윤정
1. 현실, 언어에 대한 단상
2. 표준어 그리고 사투리와 지역어
3. 표준어의 신화와 지역어의 소멸
4. 지역어와 문화
5. 언어권리와 지역어 소멸

랜드마크 만들기와 일상적 삶?이상봉
1. 랜드마크란 무엇인가?
2. 랜드마크와 지역 이미지
3. 일상이란 무엇인가?
4. 글로벌화와 일상적 공간의 의미
5. 랜드마크와 일상의 삶

3부―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기 위하여
놀이, 쉽고도 어려운 탈주?조정민
1. 놀이하는 인간
2. 놀이의 문법
3. 놀이? 즐거움이 답이다
4. 혼자 놀기
5. 실험적 놀이

지역 살림살이와 사회적 경제?오미일
1. 글로벌 경제가 야기하는 문제들
2. 대안으로서 ‘경제의 지역화’
3. 사회적 경제의 대두와 그 특징
4.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실천

로컬푸드와 슬로푸드?엄은희
1. 먹거리 위기의 시대
2. 농업의 세계화와 식량체계의 변화
3. 로컬푸드의 등장
4. 슬로푸드
5. 로컬푸드와 슬로푸드에 기초한 지역 발전
6. 음식시민으로 거듭나는 길

생태적 관점과 공생?류지석
1. 생태주의와 생태적 관점
2. 공생과 생태도시
3. 도시재생과 생태적 공생
4.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