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로컬의 일상과 실천 = Everydaylife and locals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로컬의 일상과 실천 = Everydaylife and locals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로컬의 일상과 실천 = Everydaylife and locals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3
  • ·형태사항 382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연구총서 ;13)
  • ·주기사항 필자: 배윤기, 조명기, 신지은, 공윤경, 양흥숙, 엄은희, 미즈오카 후지오, 손은하, 이상봉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268743  94300: \2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01.3  듀이십진분류법-> 001.3  
  • ·주제명 인문 과학[人文科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엮음 2013 SE0000004185 001.3-13-9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1부 로컬리티 기반의 갈등

경계, 근대적 공간, 그리고 그 너머?배윤기
로컬리티 연구에서 로컬리티-기반의 이해와 관련하여
1. 경계에서
2. 근대적 언어와 공간의 생산
3. 그 너머와 로컬 목소리들
4. 로컬리티-기반의 이해, 그 (불)가능성

김소진 소설에 나타난 도시 주변 공간의 로컬리티?조명기
『장석조네 사람들』을 중심으로
1. 김소진과 도시 주변 공간
2. 공간의 관계구조와 그 실천
3. 도시 주변 공간의 혼재성과 미결성
4. 이원적 대립 구조 너머

사회성의 공간적 상상력?신지은
신체-공간론을 통해 본 공간적 실천
1. 공간적 전환
2. 사회과학에서 ‘공간’ 개념의 결핍
3. 사회성의 공간적 상상력
4. 인간과 집의 역동적 공동체성

2부 로컬 일상의 진동과 파열

도시 소공원의 창조적 재생과 일상?공윤경ㆍ양흥숙
부산 전포돌산공원을 중심으로
1. 창조적 잠재성과 재생
2. 도시재생의 변화와 소공원의 역할
3. 돌산공원의 창조적 재생과 주민들의 참여
4. 일상의 공간, 돌산공원
5. 줄탁동시, 참여와 관심

‘범죄’를 통해 본 왜관 주변 사람들의 일상과 일탈?양흥숙
1. 주체화된 삶을 찾기 위한 방안, 일탈
2. 동래의 공간적 의미와 조선인의 왜관 경험
3. 왜관 주변에 나타난 일상의 단면들
4. 일본인-지역민 관계 맺기-일상과 일탈의 반복
5. 일탈을 넘어 새로운 일상으로

환경(부)정의의 공간성과 스케일의 정치학?엄은희
밀양 송전탑 갈등을 사례로
1. 한 노인의 분신과 두 방향의 자각
2. 환경정의, 사회 운동, 스케일의 정치학
3. 밀양송전탑 갈등의 개요와 전개과정
4. 분신 사건과 탈핵 운동으로의 전환
5. 타자의 윤리학과 탈핵사회를 향한 소고

3부 대안적 로컬리티의 실험

공간 포섭, 공간 투쟁 및 로컬 위치의 변증법?미즈오카 후지오
1. 공간 포섭 및 공간 투쟁
2. 공간 및 사회 간의 변증법적 관계 
3. 절대적 공간 포섭과 사회투쟁
4. 제도화된 ‘작업 공간’ 및 무정부적 ‘행위 공간’ 간의 모순
5. 상대적 공간의 포섭, 네트워크 및 사회적 투쟁
6. ‘표류 공간’과 공간 투쟁
7. 중심-장소 시스템-영토 통합의 궁극적 ‘철제 구조(틀)’
8. ‘스케일 점핑’-상위의 공간등급을 투쟁의 도구로 장악
9. 공간 투쟁을 통한 로컬의 생산

커뮤니티를 위한 공유 공간의 위상?손은하
1. 공간의 다원화
2. 공공 공간과 공유 공간
3. 공유 공간의 특성
4. 공유 공간의 역할과 커뮤니티
5. 향유의 공간으로

대안적 공공 공간과 민주적 공공성?이상봉
1. 공공성에 대한 관심 증대
2. 공공성의 위기에 대한 진단-이론적 검토
3. 공간의 중층성과 지역적 공공성
4. 민주적 공공성과 생활정치의 가능성

필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