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 연구수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 김혜영 ;공동연구자 : 김상돈,박선애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 연구수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 김혜영 ;공동연구자 : 김상돈,박선애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vi, 155 p. :도표 ;25 cm
  • ·총서사항 (2012 연구보고서 ;12-4)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53-155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915282  94330: \11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2.27  듀이십진분류법-> 306.85  
  • ·주제명 가족[家族]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연구수행기관: 숙명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김혜영 ;공동연구자: 김상돈,박선애 2012 SE0000001401 정책 332.27-13-1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논의
1. 기존 연구동향 : 가족변동과 가족주의
2. 가족의식의 제 차원과 결정요인 탐색
가. 가족의식의 개념 및 제 차원
나. 가족의식의 분화 및 주요 결정요인 : 성과 세대를 중심으로

Ⅲ. 소설분석을 통해서 본 가족.여성의식 변화 
1. 문학텍스트 분석의 의미 
2. 가족의미의 확장과 새로운 가족형태 
가. 모계 중심의 새로운 가족형태
나. 가족 개념의 경계 허물기와 혼성가족
다. 여성의 개인화와 새로운 가족제도의 등장
3. 가족해체로 본 가족의식 및 가치관 변화
가. 개인의 욕망과 가족 해체의 극복
나. 가족 해체와 개인 주체.의지 
다. 돈.성, 그리고 가족의 정체성 
4. 소통과 공존의 가능성으로서 본 다문화 가족
가. 차별의 경계를 넘어 수평적 관계로 
나. 다문화 가족의 외국인 이주자와 2세의 정체성
다. 결혼 이주 여성의 주체적 목소리
5. 여성과 가족: 칙릿 소설을 통해서 본 여성의식
가. 개방적 성의식과 연애.결혼관의 변화
나. 가족주의와 전통적 성역할의 거부 
다. 소비주의와 여성 정체성
라. 여성의 일.성공과 가족 

Ⅳ. 사회조사를 통해서 본 가족의식 변화 
1. 사회조사에서 나타난 가족의식 특징
가. 개요 
나. 가족의식의 특성 및 분화: 2010년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2. 가족의식의 변화추이
가. 결혼과 이혼 및 재혼에 대한 견해
나. 결혼생활 및 성의식
다. 부모부양의식
라. 결혼의식 관련 영향요인의 변화: 1998년과 2010년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3. 요약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 소 결 
가. 문학텍스트에서 나타난 가족의식: 특징 및 변화 
나. 사회조사결과에서 나타난 가족의식: 특징 및 변화
다. 미래의 범주와 가족의식의 변화방향
2. 주요 쟁점과 과제
가. 전환기의 가족의식과 가족담론의 부상
나. 성별 긴장과 갈등 해법으로서의 가족정책 확대
다. 노부모 부양의식의 약화와 다양한 돌봄주체의 부각

■ 참고문헌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