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미디어 / 이호규,곽정래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미디어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미디어 / 이호규,곽정래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 ·형태사항 ix, 147 p. ;23 cm
  • ·총서사항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정 ;2011-18)(통일과 언론 ;2011-2)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44-147
    2011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수행한 것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7113097  93330: \1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41  한국십진분류법-> 070  듀이십진분류법-> 302.23  듀이십진분류법-> 070  
  • ·주제명 커뮤니케이션 미디어[communication media]조선 민주 주의 인민 공화국(국명)[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호규,곽정래 2011 SE0000001378 정책 331.541-13-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이호규,곽정래 2011 SE0000015728 정책 331.541-13-2=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요약문

01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3.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및 분석틀

02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변화 요인
1.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정책과 특성
1)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정책이념과 특징
2)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언론매체의 기본 활동 원칙
3)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기능과 역할
2.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체계와 역사적 변화 과정
1)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체계와 그 구조적 특징
2)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역사적 변화 과정
3.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변화 요인
1) 북한의 경제체제 붕괴와 사회통제 시스템 약화
2) 새로운 정보 유입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형성

03 북한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등장과 전개
1. 북한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네트워크 형성
1) 대북 커뮤니케이션 매체 채널과 정보확산
2)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네트워크 형성
2. 북한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유통
1) 북한 내 외부정보 콘텐츠 유입과 소비
2) 외부정보 콘텐츠 유입과 확산에 대한 북한당국의 대응
3. 북한주민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장으로서의 장마당
1) 외부정보 콘텐츠 유입과 확산의 장(場)으로서의 장마당
2) 닫힌 커뮤니케이션과 열린 커뮤니케이션이 공존하는 장(場)

04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사회의식 변화
1. 북한의 공식적 /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모순적 공존
1) 북한의 공식적 / 통제적 커뮤니케이션의 비역동성
2) 비공식적 / 비순응적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적 네트워크화
2.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사회의식 변화
1) 북한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주의 가치관
2) 북한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의식 변화

05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전망과 미디어의 정책적 함의
1. 북한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변화에 다른 전망
2. 북한주민의 비판적 사고 형성과 대항여론 조성
3. 문화적 통합을 위한 맞춤식 정보 콘텐츠 생산과 보급 확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