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경남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vitalizing the re-entry to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breaking women in Gyeongsangnam-do / 연구책임 : 민말순 ;연구보조 : 김혜정,주나경
경남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vitalizing the re-entry to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breaking women in Gyeongsangnam-do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경남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vitalizing the re-entry to labor market of highly-educated career-breaking women in Gyeongsangnam-do / 연구책임 : 민말순 ;연구보조 : 김혜정,주나경
  • ·발행사항 창원 : 경남발전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xi, 185 p. :도표 ;25 cm
  • ·총서사항 (중점연구 ;2012-18)
  • ·주기사항 자문위원: 강인순, 정성희, 신혜, 최재식
    참고문헌: p. 167-169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3514066  9333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542  듀이십진분류법-> 331.4  
  • ·주제명 재취업[再就業]여성 고용[女性雇傭]여성 인력[女性人力]경상 남도[慶尙南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연구책임: 민말순 ;연구보조: 김혜정,주나경 2012 SE0000000292 정책 321.542-13-7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연구 수행 과정

제2장 경남 노동시장과 여성경제활동
제1절 경남의 노동시장
1. 경남의 산업구조
2. 경남의 노동시장
제2절 경남의 여성경제활동
1. 경제활동인구
2. 산업별·직업별 취업자
3. 종사상 지위
4. 학력별 취업자
5.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제3장 선행연구 및 법적·제도적 기반
제1절 선행연구 및 해외사례
1. 선행연구
2. 해외사례
제2절 우리나라 법적·제도적 기반 및 재취업 지원
1. 여성인력개발 관련 법률
2. 여성인력개발 관련 계획
3.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사업
제3절 경남의 법적·제도적 기반 및 재취업 지원
1. 경남의 여성인력개발 관련 조례
2. 경남의 여성인력개발 관련 계획
3. 경남의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사업

제4장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및 사업체 고용 실태
제1절 조사개요 및 특성
1. 조사개요
2. 일반적 특성
제2절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실태 및 요구
1.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 특징
2. 재취업 실태
3. 재취업·창업 실태 및 요구
4. 직업교육 실태 및 요구
5. 정책수요
6. 소결
제3절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고용 실태와 사업체 요구
1. 여성인력 고용 실태 및 직업교육
2. 고용지원정책
3.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정책 체감도
4. 소결
제4절 직업교육기관의 실태 및 요구
1. 개요
2. 직업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특성
3. 보육서비스 제공
4. 재취업 장애요인
5.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정책 수요
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가능 분야
7. 소결

제5장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활성화 방안
제1절 일·가정 양립을 위한 고용지원 방안
1. 육아휴직제도 개선 및 활성화
2. 유연근무제 활성화
3. 보육지원서비스 강화
4. 여성 친화적 기업문화 확산
5. 고용지원정책에 대한 홍보 강화와 실효성 제고
제2절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 개선
1. 직업교육기관 운영 개선 방안
2.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발굴
3. 구인·구직 발굴 경로의 다양화
제3절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일자리 창출과 취업 연계망 구축
1.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일자리 창출
2. 취업 연계망 구축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