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미래의 최고 직업 바이오가 답이다 : 청소년 진로·직업 가이드 / 김은기 지음
미래의 최고 직업 바이오가 답이다 : 청소년 진로·직업 가이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미래의 최고 직업 바이오가 답이다 : 청소년 진로·직업 가이드 / 김은기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전파과학사, 2019
  • ·형태사항 263 p. :삽화, 도표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0448565  03400: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55  
  • ·주제명 바이오 산업[--産業]4차 산업[四次産業]직업[職業]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은기 지음 2019 SJ0000123966 아 321.55-20-7 대출지원서고(1층)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은기 지음 2019 SJ0000123967 아 321.55-20-7=2 대출지원서고(1층)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4
추천사 -19

 제1장 바이오산업: 4차 산업혁명 노른자 

1. 인공지능 시대 개막 -29
알파고는 바둑 승리가 목적이었을까 -29
이제 암 진단도 AI 의사가 한다 -33

2. 4차 산업혁명: Online, Offline 연결 -36
4차 산업혁명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 -36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시작되었다 -38

3. 최종 목표: 청정 지구, 건강 장수 -40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40
(1)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40
(2) 빅데이터 -44
(3) 인공지능 -46
4차 산업 핵심 학문 분야: 물리학, 디지털, 생물학 -47

 제2장 바이오 분야는 기초와 응용으로 분리된다 

1. 바이오 학문은 기초(과학)와 응용(기술)으로 나뉜다 -53
과학(Science)과 기술(Technology) 차이는 돈이다 -53
기초과학은 바이오산업 밑돌이다 -55

2. 바이오산업: 분야와 필요 전공 -62
Red, Green, White로 구분하는 바이오산업 -62
(1) Red: 보건, 의료, 건강 분야 -64
(2) Green: 농업, 식품, 환경 분야 -65
(3) White: 바이오에너지, 청정산업공정 분야, 의료기기, 바이오소재 -67

보건의료(Red 분야) -69
(1) 바이오신약 -69
(2) 줄기세포, 인공장기, 인공난자 -86
(3) 바이러스와 슈퍼내성균 -92

농림 및 환경(Green 분야) -98
(1) 농림, 축산, 식품 분야 -98
(2) 환경, 해양 분야 -107

공정, 정보, 에너지(White 분야) -110
(1) 바이오 정보: 게놈(DNA) 정보는 개인 청사진 -110
(2) 스마트 헬스 -121
(3) 합성생물학 -134
(4) 바이오에너지, 바이오플라스틱 -137

 제3장 대학 전공: 평생 진로 선택 첫 단계 

1.단과대, 학과별 다양한 바이오 전공 파헤치기 -149
대학 바이오 학과: 기초와 응용으로 구분 -149
넓게 알고 깊게 파야 커지는 바이오 분야 -151
단과대학별 특성은 다르다 -153
단과대학별로 서로 다른 연구방법 -165
(1) 노화, 고령화 사회 -165
(2) 암(cancer) -168
(3) 게놈(생물정보학) -171
단과대학, 학과별로 배우는 과목 차이 -176
대학별 바이오 전공 학과 현황 -181
(1) 어느 학과가 우수할까 -181
(2) 다른 학과에도 바이오 전공 교수가 있을 수 있다. -183
(3) 다양한 이름의 바이오 학과 -184

 제4장 바이오 직업 선택하기 

1. 대학 졸업 후 진로 -207
바이오 학과 졸업생 취업 및 진학 현황 -207
단과대학별 학사, 석사취업 현황 -214
상승 커브의 바이오 분야 연봉 -217

2. 바이오 직업별 하는 일 -220
산업체 근무 -220
전문직(공공 연구소, 변리사, 대학교수 등) -232

3. 바이오 산업체, 공공 연구소 현황 -239
평균 인력 70명, 초기 단계 많은 바이오산업체 -239
서울, 경기, 수도권에 몰려있는 바이오산업체 -241
증가하고 있는 여성 인력 비율 -243
공공 연구기관에서도 바이오는 필수 분야 -245
국내 산업체 정보 -247

 제5장 바이오 진로 준비하기 

뭘 하고 싶은가를 먼저 알자 -251
다양한 경험을 하면 내 진로를 알 수 있다 -254
그 분야 활동을 직접 하면 꿈이 튼튼해진다 -256
해외 유학은 장단점이 있다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