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역알못 곰곰 탐정의 추리 한국사 / 황근기 지음 ;이우일 그림
역알못 곰곰 탐정의 추리 한국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역알못 곰곰 탐정의 추리 한국사 / 황근기 지음 ;이우일 그림
  • ·발행사항 서울 : 찰리북, 2016
  • ·형태사항 167 p.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25 cm
  • ·주기사항 감수: 김정인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4368481  73910 : \1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  
  • ·주제명 한국사[韓國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황근기 지음 ;이우일 그림 2016 SJ0000084637 아 911-16-30 어린이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황근기 지음 ;이우일 그림 2016 SJ0000084638 아 911-16-30=2 어린이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지은이의 말 5
등장인물 소개 8
첫 번째 사건
신출귀몰 도둑 괴팡의 등장 - 선사 시대와 고조선
도난품 1호 주먹도끼 10│도난품 2호 빗살무늬 토기 13
도난품 3호 고인돌 15│도난품 4호 비파형 동검 17
두 번째 사건
삼국 시대 유물 전시관에 나타난 괴팡 - 고구려, 백제
도난품 1호 호우총 청동 그릇 24│도난품 2호 중원 고구려비 탁본 28
도난품 3호 〈개마행렬 모사도〉 30│도난품 4호 『삼국사기』 백제본기 32
도난품 5호 칠지도 35
세 번째 사건
곰곰 탐정에게 걸려온 수상한 전화 - 신라, 가야
도난품 1호 기마 인물형 토기 - 주인상 42
도난품 2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44│도난품 3호 덩이쇠 47
네 번째 사건
폭발물을 제거하라 - 통일 신라, 발해
도난품 1호 〈태종 무열왕 영정〉 54│도난품 2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59
도난품 3호 목제 주령구 62│도난품 4호 9세기 발해 지도 65
다섯 번째 사건
최악의 잠복근무 - 고려
도난품 1호 태조 왕건 동상 72│도난품 2호 고려 시대 무역도 75
도난품 3호 〈담판하는 서희〉 77│도난품 4호 최충헌의 묘지석 80
도난품 5호 강화도 지도 84│도난품 6호 팔만대장경판 87
도난품 7호 공민왕의 교서 89
여섯 번째 사건
괴팡의 기상천외한 작전 - 조선 전기
도난품 1호 〈조선 태조 어진〉 98│도난품 2호 『삼강행실도』 102
도난품 3호 『훈민정음 해례본』 104│도난품 4호 호패 107
도난품 5호 〈부산진 순절도〉 110│도난품 6호 『난중일기』 112
일곱 번째 사건
골동품 가게에서 찾은 결정적 단서 - 조선 후기
도난품 1호 삼전도비 120│도난품 2호 『심양일기』 125│도난품 3호 탕평비 129
도난품 4호 『화성성역의궤』 131│도난품 5호 공명첩 133
여덟 번째 사건
콧수염 신사의 정체를 밝혀라! - 개항기
경매품 1호 〈흥선 대원군 초상화〉 140│경매품 2호 강화도 조약 사진 145
경매품 3호 김옥균 사진 148│경매품 4호 『명성 황후 국장도감의궤』 151
경매품 5호 칙명지보 154│경매품 6호 3.1 독립 선언서 156
괴팡의 유물 블로그 162
사진 출처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