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대한민국은 왜? : 1945~2020 / 김동춘 지음
대한민국은 왜? : 1945~2020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대한민국은 왜? : 1945~2020 / 김동춘 지음
  • ·판사항 개정판
  • ·발행사항 파주 : 사계절(사계절출판사), 2020
  • ·형태사항 371 p. :삽화, 계보, 초상 ;23 cm
  • ·주기사항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946888  03910: \168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  듀이십진분류법-> 951.904  
  • ·주제명 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사회 비평[社會批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동춘 지음 2020 SE0000556091 911.07-20-20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개정판 서문 - 4
추천의 글 - 7
초판 서문 - 8

1부. 백성은 나라를 잃고, 나라는 주인을 잃고 - 식민지와 분단

1장. 독립과 개화의 딜레마 - 20
러일전쟁 1904~1905, 굴곡의 서막 - 21
자생적 근대화의 좌절 - 24
어떤 나라를 따를 것인가? - 29
실패한 근대, 개화론은 친일의 길로 - 33

2장. 조선 근대화와 해방의 두 갈래 길 - 39
나라가 망해도 슬퍼하지 않는 백성들 - 40
조선에 온 두 손님, 기독교와 공산주의 - 44
여운형의 길 - 50
해방은 다가오는데 - 53

3장 다시 8·15의 성격을 묻다 - 60
연합국, 일본 아닌 조선을 처벌하다 - 61
공짜 점심은 없다 - 67
반탁과 찬탁/비반탁으로 갈라선 민족 - 73

4장 대한민국 보수의 기원 - 78
부일 협력 세력의 기득권 수호 전략 - 79
미군정의 우익 편향 정책 - 82
미군정이 만든 대한민국 - 89
식민지 잔재 청산 - 94

5장 왜 국가보안법은 헌법 위에 군림해왔나? - 97
‘해방공간’의 좌익 숙청 - 98
분단은 미완의 독립 - 102
헌법 위의 국가보안법 - 105
국가보안법 체제는 미완의 해방의 상징 - 110

2부. ‘자유세계’의 최전선 - 국가 종교가 된 반공·친미

6장. 6·25한국전쟁이 남긴 것들 - 116
코리안의 전쟁인가 미국의 전쟁인가 - 117
남북한과 미국의 동상이몽 - 122
이 전쟁으로 누가 무엇을 얻었나 - 126

7장. 월남자들이 만든 대한민국? - 130
학살의 기억과 두 분단 국가의 정체성 - 131
신천학살의 전개 과정 - 134
기독교 반공국가 대한민국의 탄생 - 137
남한 선교 기적의 비밀 - 141

8장. 반공이 국시가 된 이유 - 150
반공의 시녀가 된 자유와 민주 - 151
삼권분립이 무의미한 신군주제 국가 - 158
나는 새도 떨어뜨린 반공의 화신 김창룡 - 163

9장. 한미 관계는 외교 관계? - 170
미국, 외국이 아닌 ‘혈맹’ - 171
외국군이 작전지휘권을 갖고 있는 주권국가? - 178
주한미군의 존재 이유 - 184
새로운 천하 질서의 수립 - 190
도전받는 ‘신화’ - 196

10장. 왜 일본은 사과하지 않을까? - 200
독도는 누구의 땅일까 - 201
또다시, 공짜 점심은 없다 - 206
무책임한 한국 정부 - 209
일본의 친한파는 누구인가? - 215

3부, 싸우면서 일하고, 일하면서 싸워라 - 근대화의 그늘

11장. 부활하는 식민 통치, 박정희의 유신과 그 이후 - 222
만주 인맥과 10월 유신 - 223
오직 한 사람을 위한 나라 - 226
식민지 유산의 부활 - 230
다시 등장한 유신의 찌꺼기 - 240

12장. 교육 천국과 교육 지옥 - 243
절망한 국민의 유일한 탈출구 - 244
모범생을 기르는 사회 - 249
모범생들이 만든 사회 - 254

13장. 왜 대한민국은 ‘재벌공화국’이 되었나? - 259
박정희, 재벌과 손을 잡다 - 260
경제 성장의 또 다른 배경 - 268
재벌과 국가, 관계의 역전 - 274
재벌공화국의 모순 - 279
노동자의 희생 위에 이룬 성장 - 284

14장. 위대한 민주화운동, 왜 절반만 성공했는가? - 290
민주공화국은 누가 만들었나? - 291
시민사회와 최초의 야당 집권 - 295

15장. 일본에서의 『반일 종족주의』 선풍을 보면서 - 301
거울에 비친 한일 양국의 우익 - 302
한국의 민족주의는 종족주의가 아니다 - 308
식민 지배에 대한 한국의 입장 - 312
통계를 가장한 허구 - 317
『반일 종족주의』를 넘어 새로운 관계로 - 321

마치며. 반국가, 반의반의 주권국가.
대한민국의 현실을 다시 묻다 - 325
민중의 극한 고통은 ‘주권’의 제약에서 - 326
반국가는 불구 상태 - 335
균등ㆍ화합ㆍ안정ㆍ정의의 시대를 향하여 - 342

주註 - 348
찾아보기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