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6월 민주항쟁 = The June democratic struggle :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 전개와 의의 : 6월 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연구서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서중석,정해구,정근식,신형식,이영제 엮음 ;서중석,정해구,조현연,이기훈,정상호,허은,정일준,전재호,이원보,홍석률,이창언,오제연,정근식 지음
6월 민주항쟁 = The June democratic struggle :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 전개와 의의 : 6월 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연구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6월 민주항쟁 = The June democratic struggle :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 전개와 의의 : 6월 민주항쟁 30주년 기념 연구서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서중석,정해구,정근식,신형식,이영제 엮음 ;서중석,정해구,조현연,이기훈,정상호,허은,정일준,전재호,이원보,홍석률,이창언,오제연,정근식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한울엠플러스, 2017
  • ·형태사항 526 p. ;23 cm
  •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990)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520-52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63440  9330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5  듀이십진분류법-> 951.9043  
  • ·주제명 6월 민주 항쟁[六月民主抗爭]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서중석,정해구,정근식,신형식,이영제 엮음 ;서중석,정해구,조현연,이기훈,정상호,허은,정일준,전재호,이원보,홍석률,이창언,오제연,정근식 지음 2017 SE0000545333 911.075-20-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면서 -5

총론 6월항쟁의 전개와 의미 ┃ 서중석
1. 6월항쟁 30주년에 맞는 특별한 의미 -11
2. 6월항쟁의 배경 -13
3. 6월항쟁 전야 -18
4. 6월항쟁의 역동적 전개 -32
5. 6월항쟁의 성격과 의미 -46

제1부 6월항쟁의 배경과 민주화운동의 성장
1장 1980년대 재야세력의 성장과 역할: 민통련을 중심으로 ┃ 정해구
1. 한국 민주화운동과 재야세력 -63
2. 1960,1970년대 재야 민주화운동 -66
3. 민통련의 창립과 재야세력의 결집 -68
4. 민통련 등 재야 민주화운동의 전개 -76
5. 민통련 등 재야 민주화운동의 성과와 한계 -95

2장 민주화추진협의회의 구성과 ‘저항·선명 야당’의 성장 ┃ 조현연
1. 제5공화국의 출범과 정당정치 상황 -104
2. 민주화추진협의회와 신한민주당과 1985년 2·12총선 -108
3. 신한민주당 · 민추협과 '직선제 개헌' 운동 -118
4. 통일민주당 창당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출범 -129
5. 맺는글 -136

3장 학생운동의 발전과 6월항쟁 ┃ 이기훈
1. 1980년대 초반 대학의 변화와 학생운동(1981~1983) -139
2. 학생회의 부활과 학생운동의 고조, 총선투쟁(1984~1985)
3. 개헌정국에서 학생운동의 전개와 시련 -159
4. 1980년대 학생운동의 의미 -165

4장 6월항쟁과 시민운동의 태동 ┃ 정상호
1. 문제제기 -171
2. 시민운동의 발아와 형성 -174
3. 맺음말 -199

제2부 6월항쟁의 전개: 성과와 한계
5장 1987년 민주화투쟁과 6월항쟁 ┃ 허은
1. 들어가며 -207
2. 항쟁의 촉발 - 박종철 고문치사와 국민운동본부의 결성 -208
3. 항쟁의 전개 - 전국 동시다발 시위의 지속과 시민행쟁의 전개 -223
4. 항쟁의 주체 - 전국적 연대 구축과 전민항쟁의 역동성 -245
5. 나가며 -260

6장 5공화국 헌법과 6·29선언 ┃ 정일준
1. 머리말: 6·29선언을 둘러싼 논란 -264
2. 제5공화국 출범과 권력승계 구상(1981년 전반기-1983년 전반기) : 부과된 정치질서, 급조된 정당체제 -268
3. 자유화 조치와 권력승계 차질(1983년 하반기-1985.2.12): 자유화 조치의 의도치 않은 결과 -274
4. 권력승계 혼란(1985.2.12~1987.4.13): 호헌에서 개헌 가능, 그리고 다시 호헌으로 -278
5. 권력승계 전환(1985.4.13~1987.6.29): 호현에서 직선제 개헌으로 -283
6. 6·29선언 재평가: 미국 - 전두환 정권 - 야당 - 운동권 복합국면 분석 -290


제3부 6월항쟁 이후 민주화운동의 발전과 변화
7장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 전재호
1. 6·29 이후 정국의 전개 -305
2. 제13대 대통령 선거 -315
3. 1988년 13대 국회의원 선거 -329
4. 나가는 말 -338

8장 87년 노동자대투쟁과 노동운동의 성장 ┃ 이원보
1. 문제의 제기 -342
2. 87년 노동자대투쟁의 의미 -344
3. '87년 노동자대투쟁'의 전사: 1980년대 전반기 노동상황 -347
4. 87년 노동자대투쟁의 전개와 특징 -354
5. 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노동운동의 변화 -368

9장 6월항쟁 직후 통일운동의 분출 ┃ 홍석률
1. 시작하며 -379
2.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 -381
3. 6월항쟁 직후 대중적 통일운동의 분출 -389
4. 통일운동의 확산 -403
5. 결론: 6월항쟁 직후 통일운동의 성과와 한계 -410

10장 민주연합운동과 시민운동: 재편과 분화 ┃ 이창언
1. 들어가며 -417
2. 6월항쟁 이전의 연합전선운동과 그 이후의 전선운동 -419
3.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분화 -438
4. 나가며 -445

제4부 6월항쟁의 역사적·세계사적 좌표와 제도화
11장 한국 근현대사 속의 6월항쟁: 3·1운동·4월혁명과 비교를 중심으로 ┃ 오제연
1. 머리말 -453
2. 배경 -456
3. 양상 -466
4. 주체 -476
5. 맺음말 -485

12장 6월항쟁 연구의 흐름과 재해석: 시각과 지평의 조정 ┃ 정근식
1. 문제의 제기 -490
2. 6월항쟁 연구의 성과들 -492
3. 동아시아적 지평에서의 6월항쟁 -506
4. 맺음말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