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기억과 인식 :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인식하는가 / 기획 :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한국학연구센터 ;편자 : 나리타 류이치,요시다 유타카 ;집필자 : 하라 기미에,곤노 히데하루,스즈키 가쓰오,도베 히데아키,마루카와 데쓰시,이와사키 미노루,오사 시즈에,우쓰미 아이코 ;옮긴이 : 유은경,서민정,장윤걸,구미선,홍윤신,노인정
기억과 인식 :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인식하는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기억과 인식 :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인식하는가 / 기획 :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한국학연구센터 ;편자 : 나리타 류이치,요시다 유타카 ;집필자 : 하라 기미에,곤노 히데하루,스즈키 가쓰오,도베 히데아키,마루카와 데쓰시,이와사키 미노루,오사 시즈에,우쓰미 아이코 ;옮긴이 : 유은경,서민정,장윤걸,구미선,홍윤신,노인정
  • ·발행사항 서울 : 어문학사, 2020
  • ·형태사항 414 p. :도표 ;23 cm
  • ·총서사항 (히토쓰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 번역총서 ;02)
  • ·주기사항 원표제:記憶と認識の中のアジア·太平洋戦争 :岩波講座アジア·太平洋戦争 戦後篇
    원저자명: 成田龍一, 吉田裕, 原貴美惠, 今野日出晴, 鈴木勝雄, 戸邊秀明, 丸川哲史, 岩崎稔, 長志珠絵, 內海愛子
    참고문헌 수록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을 통해 해외한국학중핵대학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2016-OLU-2250001)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1849579  94910: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3.072  듀이십진분류법-> 952.033  
  • ·주제명 태평양 전쟁[太平洋戰爭]일본사[日本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기획: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한국학연구센터 ;편자: 나리타 류이치,요시다 유타카 ;집필자: 하라 기미에,곤노 히데하루,스즈키 가쓰오,도베 히데아키,마루카와 데쓰시,이와사키 미노루,오사 시즈에,우쓰미 아이코 ;옮긴이: 유은경,서민정,장윤걸,구미선,홍윤신,노인정 2020 SE0000544365 913.072-20-3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I 문제의 관점視座 - ‘전쟁론’과 ‘전후론’

현대사회 속의 전쟁상과 전후상
나리타 류이치成田龍一 -11
머리말
1. ‘전후’ 과정과 전쟁상의 고찰
2. 젊은이들의 전쟁상과 전후 인식
3. ‘전후’를 끼워 넣은 전쟁상의 서술
맺음말

대항하는 역사인식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53
머리말
1. 대두하는 내셔널리즘
2. 역사인식문제의 현 상황
3. ‘전후 70년’과 일본사회
맺음말

계속되는 샌프란시스코 체제 - 정치·안전보장·영토
하라 기미에原貴美惠 -93
1. 냉전과 샌프란시스코 체제
2. 데탕트와 샌프란시스코 체제의 변용
3. 오늘날 샌프란시스코 체제가 갖는 의미
맺음말

II 전쟁을 전하고, 전쟁을 계승한다

역사교육 속의 아시아·태평양전쟁 - 전쟁체험을 쓴다는 의미
곤노 히데하루今野日出晴 -133
머리말
1. ‘전쟁교육’ 기록운동 - 지하수로서의 홋포 성교육
2. 교실 속의 ‘전쟁체험’에서 지역 속의 ‘전쟁체험’으로
맺음말

코메모레이션의 행방 - 전쟁의 기억과 미술관
스즈키 가쓰오鈴木勝雄 -167
머리말
1. ‘메이지 100주년’과 환상의 역사박물관
2. 무언의 유물
3. 전쟁화의 ‘반환’과 순환 프로젝트
맺음말

III 끝나지 않은 전쟁

오키나와전의 기억이 현재에 호소하는 것은 무엇인가
도베 히데아키??秀明 -209
머리말
1. ‘집단자결’ 연구의 심화 - 세 명의 역사연구가의 연구와 관련해
2. 오키나와를 둘러싼 인식의 변모
3. 기억의 계승을 향해, 끊임없이 계승의 의미를 물으며
맺음말을 대신하여

식민지 책임론 - 대만을 중심으로
마루카와 데쓰시丸川哲史 -251
머리말-식민지통치에 대한 물음
1. 역사적 문맥의 확인(1940년대-2000년대)
2. 식민지문제 제기(1) - 우줘류
3. 식민지문제 제기(2) - 다이궈후이로부터
4. 식민지문제 제기(3) - 천잉전으로부터
5. 어떤 논쟁
맺음말을 대신하여

IV 화해는 가능한가

‘위안부’ 문제가 드러내는 일본의 전후
이와사키 미노루岩崎稔 · 오사 시즈에長志珠? -291
문제 설정 - ‘위안부’ 문제의 사반세기
1. 논쟁 과정의 다섯 가지 양상
2. 세 가지 문제
혼동 속에서

전후사 속의 ‘화해’- 끝나지 않은 식민지지배 청산
우쓰미 아이코內海愛子 -333
머리말
1. ‘화해와 신뢰의 강화’
2. 중국 - 도착하지 않은 초대장
3. 한국 - 거부된 참가
맺음말 - 식민지인가 ‘일제 강점’인가, 그 정의를 되묻는다.

■ 필자후기 -370
■ 역자후기 -375
■ 미주 -381
■ 참고·참조문헌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