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 지은이 : 김태희,이진경,최진석,김환석,주은우,김상호,박정아,신혜란,신지영,윤태양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 지은이 : 김태희,이진경,최진석,김환석,주은우,김상호,박정아,신혜란,신지영,윤태양
  • ·발행사항 서울 : 앨피, 2020
  • ·형태사항 398 p. :삽화 ;22 cm
  • ·총서사항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Mobility humanities assemblage ;05)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7430919  9430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412  듀이십진분류법-> 303.483  
  • ·주제명 과학 기술[科學技術]인간[人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태희,이진경,최진석,김환석,주은우,김상호,박정아,신혜란,신지영,윤태양 2020 SE0000510773 331.5412-20-22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 모빌리티와 물질성의 문제 _ 김태희-8 

1부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공-진화 

인공지능과 철학적 인간학: 
인공지능과 사이보그가 던지는 철학적 물음들 _ 이진경-41 
인공지능의 ‘충격’ 
존재론적 평면화: ‘포스트휴먼’에서 ‘프리휴먼’으로 
중국어 방과 아에뮬라티오: 플라톤의 문제 
사이보그와 개체의 경계: 데카르트의 문제 
뇌의 이식과 전송: 엥겔스의 문제 
기계가 지배하는 미래?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인간학: 
기계와 인간의 공진화를 위한 사회적 존재론 _ 최진석-83 
호모 파베르와 휴머니즘의 신화 
인간과 기계의 상호 공속성 
기계론과 기계주의의 역사 
근대성의 전도와 미래의 기계-인간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인간학 

사회과학의 ‘물질적 전환material turn’을 위하여 _ 김환석-121 
물질성materiality에의 주목 
물질주의적 생활양식 
유물론의 전통적 형태들과 물질성의 개념 
물질성을 전면에 내세우기: 물질성은 과연 무엇을 뜻하는가? 
물질적 정치: 누구와 무엇을 집합체에 포함시켜야 하는가? 

2부 
모빌리티 스케이프와 호모 모빌리쿠스 

속도, 시각, 현대성:
시각체제의 변동과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 _ 주은우-155 
시각과 현대성 
속도와 현대성 
현대성과 시각의 원격위상학 
질주정과 시각과 현대성 

미디어와 공간, 그리고 장소의 문제 _ 김상호-205 
장소와 장소 만들기 
공간과 장소에 관한 논의의 갈래들 
장소의 상실 혹은 장소의 귀환: 장소 상실placelessness과 비장소non-place 
신체성과 미디어 그리고 장소 
장소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디지털 공간의 매개로서 모빌리티 확장 현상에 관한 연구_ 박정아-243 
디지털 공간 확장 매개로서 모빌리티 환경 
모빌리티의 발전과 사회적 배경 
새로운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모빌리티 전환 
디지털 공간 매개로의 모빌리티 
디지털 요소와 비물리적 이동의 연관 사례들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디지털 공간의 변화, 그리고 모빌리티 확장 

3부 
이동하는 사회와 모빌리티 통치성 

이동통치와 불안계급의 공간전략 _ 신혜란-271 
현대사회의 불안정성과 공간 
불안정성, 불안계급 
불안계급과 공간, 이동 
이동: 동원과 자발의 결합, 불안정의 원인이면서 전략 
불안계급 항해 속 공간전략: 반복 이동과 장소 만들기 
불안계급의 역량 

재난 이후의 ‘피난약자’: 
내부로의 ‘避-難’과 외부에서의 ‘生-存’ _ 신지영-303 
사회운동 근거ground에 대한 질문: 일본 재해 8주기와 세월호 5주기 
재해 5년 후에 되묻는 ‘피난’과 ‘생존’ 
‘피난’할 수 없는 존재들 
‘피난’의 대상조차 아닌 존재들 
무력감·불안·난민화를 껴안고: 연결로서의 생-존과 내부로의 피-난 

모빌리티 사회와 유가윤리 _ 윤태양-369 
원한다면 언제, 어디든 갈 수 있는 세계의 아이러니 
소외의 문제: 두 가지 접근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심화되는 소외의 현상 
작은 사회와 관계에서의 덕목, 오륜 
오륜의 전통적 문제와 현대적 재해석의 시도들 
모빌리티 시대, 작은 사회의 회복과 오륜의 재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