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일제의 한국민족말살·황국신민화 정책의 진실 / 신용하 지음
일제의 한국민족말살·황국신민화 정책의 진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일제의 한국민족말살·황국신민화 정책의 진실 / 신용하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20
  • ·형태사항 258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2036106  93910: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일제 식민지 정책[日帝植民地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신용하 지음 2020 SE0000510608 911.06-20-16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5 

제1장 일제 식민지근대화론이 대두된 배경 
1. 연합국의 일제 전쟁범죄자 처벌-13
2. 일본에서 ‘식민지근대화론’이 대두한 배경-18 

제2장 일제 식민지정책의 특징 
1. 제국주의 열강의 식민지정책의 일반적 특징-22
2.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정책의 특징-23 

제3장 일제의 한국민족말살정책의 구조 
1. 일제의 한국민족말살정책의 초점-27
2. 민족운동사의 중요성과 외연 확대-32 

제4장 일제의 식민지 무단탄압정책의 구조 
1. 총독은 반드시 일본군 대장으로 임명하는 군대식 통치-34
2. 일본 정규군의 배치-36
3. 일제 헌병경찰제도와 전국 거미줄망 배치-36
4. 일제총독부 행정관리의 무장 배치-39
5. 즉결처벌제도와 태형 자행-41
6. 한국인의 완전 무장해제-43 

제5장 1910년대 일제의 한국민족말살정책 
1. 한말 애국계몽운동의 민족 실력양성 탄압ㆍ소멸 획책-47
2. 의병운동과 의병 가족에 대한 탄압-52
3. 기타 독립운동과 민족운동에 대한 탄압-54
4. 한말 한국 사립학교의 침탈과 식민지교육령 발표-56
5. 사립학교에 대한 탄압과 식민지 노예교육의 강제-59
6. 한국민족의 저항과 서당으로의 회귀-63 
7. 일제의 민족문화재 약탈ㆍ파괴와 민족문화 말살정책-65 

제6장 1920년대 일제의 한국민족말살정책 
1. 일제 식민지 무단정책의 파산과 ‘문화정치’를 표방한 기만정책-69
2. 일제 군ㆍ경찰의 탄압 역량 재강화-72
3. 치안유지법과 탄압체제의 강화-75
4. 한국민족분열정책과 친일파 육성정책-77
5. 1920년 일본군의 간도 한국인 학살(경신참변)-80
6. 일본 관동대지진 때의 재일본 한국인 학살-85
7. 민족언론기관에 대한 탄압-99
8. 민족교육운동과 일제의 탄압-108
9. 민족언어ㆍ문자 및 민족역사 보전과 일제의 탄압-122
10. 민족문학ㆍ예술ㆍ문화운동과 일제의 탄압-127

제7장 1930년 이후 일제의 한국민족말살정책 강화와 ‘황국신민화’ 정책 
1. 만주 침략 및 중ㆍ일전쟁 시기, 일제의 한국민족말살ㆍ‘황국신민화’ 정책-134
2. 태평양전쟁 도발 시기, 일제의 한국민족말살ㆍ‘황국신민화’ 정책-141 

제8장 한국어ㆍ한글 말살정책과 일본어 상용 강제 
1. 1930년대 후반기 일제의 한국어 말살정책 강화-145
2. 일본어 상용 강제-149 

제9장 한국어와 한글 말살을 위한 탄압정책 
1. 『조선일보』 『동아일보』 『조선중앙일보』의 정간과 폐간-156
2. 일제의 한국어ㆍ한국문자 사용 잡지들의 폐간-158
3. 조선어학회 탄압과 한글학자 투옥-159 

제10장 한국역사의 왜곡ㆍ말살 
1. 일제의 식민주의사관 정립 기관과 왜곡도서 간행-166
2. 일제 식민주의사관의 한국역사 날조ㆍ왜곡ㆍ말살-168 

제11장 한국성명 말살과 ‘창씨개명’ 강제 
1. 일제의 ‘창씨개명’ 목적과 제령에 의한 강제-175
2. ‘창씨개명’의 강제 실시-178
3. ‘창씨개명’에 대한 한국인의 저항-185 

제12장 황국신민의 서사와 궁성요배 
1. ‘황국신민의 서사’ 강제-189
2. 궁성요배-192 

제13장 신사참배 강제와 한국민족종교 및 기독교 탄압 
1. 신사참배 강제-194
2. ‘가미다나’의 강제 설치와 예배 강제-198
3. 기독교도에 대한 ‘신사참배’ 강제-199
4. 일제의 대종교 탄압-207
5. 일제의 천도교 탄압-214 

제14장 일제의 ‘황국신민화’ㆍ한국민족말살 교육정책 
1. 일제의 ‘황국신민화’ 사상교육 강화와 제3차 조선교육령-220
2. 학생 ‘근로보국대’ 강제 동원-225
3. 조선 교육의 군사체제화와 강제 총동원-226
4. 전문학교의 교육 정지 및 폐교와 군사 전쟁지원 체제화-230 

제15장 한국민족간부 인사에 대한 감시ㆍ검속과 학살 계획 
1. 중앙정보위원회 설치 및 임시보안령 실시와 한국인 탄압-233
2.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과 민족간부들에 대한 감시관찰단체 조직-237
3. ‘사상범 예비검속령’의 실시-239
4. 한국민족간부 학살 계획-241 

제16장 일제 식민지통치의 해독과 고통과 극복 
1. ‘일제 식민지근대화론’은 거짓-244
2. 일제 식민지정책의 해독과 각종 잔재의 청산 극복-246 

찾아보기-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