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외국 ADR, 득이 되면 수입하자 : 분쟁해결, 갈등관리, 이웃조정, 협상, 조정, 중재? : ADR 지침서 / 지은이 : 박철규
외국 ADR, 득이 되면 수입하자 : 분쟁해결, 갈등관리, 이웃조정, 협상, 조정, 중재? : ADR 지침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외국 ADR, 득이 되면 수입하자 : 분쟁해결, 갈등관리, 이웃조정, 협상, 조정, 중재? : ADR 지침서 / 지은이 : 박철규
  • ·발행사항 서울 : 밥북, 2020
  • ·형태사항 269 p. :도표 ;23 cm
  • ·주기사항 ADR은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의 약어임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8586393  03330: \21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5.29  듀이십진분류법-> 658.4053  
  • ·주제명 갈등 해소[葛藤解消]분쟁 해결[紛爭解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박철규 2020 SE0000504696 325.29-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머리말-4 

제1장 서구는 ADR이 얼마나 발전했나? 
미국은 ADR 종주국이다-16 
1. 미국은 법원에서도 ADR이 활성화되어 있다-18
2. 미국은 행정부에서도 ADR을 많이 활용한다-43
3. 미국 ADR 제도의 진면목은 민간형 ADR의 발전에 있다-57 
4. 미국의 중재제도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79
영국의 ADR 제도는 뒤늦게 발전했다-117
1. 영국 ADR의 발전과정-117
2. 새로운 민사소송규칙(CPR)이 영국 사법형 ADR의 틀을 바꾸다-123 
3. 영국의 ADR 기관은 어느 정도로 발달했나?-129
독일의 ADR 제도는 대륙법계 국가로서의 특성이 있다-133 
1. 독일 ADR의 발전과정-133
2. 소송 절차상의 화해제도를 알아보자-137 
3. 소송절차 외의 ADR 제도는 어떻게 되어 있나?-140 
4. 독일에는 ADR 제도 발전의 장애요인이 있었다-144
프랑스는 독자적인 ADR 제도를 키워 왔다-146
1. 화해제도의 이용-147
2. 조정제도의 발전-151
3. 중재제도의 점진적 개혁-155 

제2장 아시아의 ADR 제도는 어느 정도인가? 
일본은 ADR 제도를 매우 발전시키고 싶어 한다-162
1. 일본 사법형 ADR은 어떨까?-164
2. 일본은 행정형 ADR을 다양하게 이용한다-170 
3. 일본은 민간형 ADR을 발전시키려고 다각도의 노력을 하고 있다-176
4. 일본 ADR법의 개혁 시도 노력에서 우리가 얻을 것은 무엇일까?-182
중국의 ADR 제도의 발전이 심상치 않다-196
1. 중국의 사법형 ADR은 어떠한가?-198
2. 행정형 ADR의 종류와 특색-200
3. 민간형 ADR의 종류와 특색-203
홍콩의 ADR 제도-221
싱가포르의 ADR 제도-224 
1. 싱가포르의 ADR 발전과정-224 
2. 싱가포르의 조정제도-226
3. 싱가포르의 중재제도-227
말레이시아의 ADR 제도-232
인도네시아의 ADR 제도-238
필리핀의 ADR 제도-244
1. 필리핀의 조정제도-245
2. 필리핀의 중재제도와 ADR법-247 
3. 필리핀은 ADR법에 국가기관인 ADR처를 두고 있다-248 

제3장 세계의 ADR 발전추세에 대한 평가 
세계의 ADR 발전추세에 대한 평가-252
1. 중재의 ADR로서의 선도적 위치를 알 수 있다-253 
2. 중재제도에 대한 법원의 태도 변화를 알 수 있다-253 
3. 최근의 조정에 대한 중시와 조정법의 입법화 추세를 눈여겨보자-255 
4. 세계 각국은 ADR 기본법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한다-256
5. ADR법과 제도의 국제적 기준에의 부합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257 

참고문헌-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