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위대한 통일 : 원나라 지원(至元) 13년의 사실을 기록하다 / 사위민 저 ;배숙희 역
위대한 통일 : 원나라 지원(至元) 13년의 사실을 기록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위대한 통일 : 원나라 지원(至元) 13년의 사실을 기록하다 / 사위민 저 ;배숙희 역
  •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09
  • ·형태사항 338 p. ;23 cm
  • ·총서사항 (내일을여는지식 ;7 - 역사)
  • ·주기사항 원표제:大一統 :元至元十三年紀事
    원저자명: 史衛民
    권말부록: 남송세계표 ; 원조세계표 ; 지원 13년 송원 주요 고위관료의 간략한 전기
    참고문헌(p. 321-323)과 색인수록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6805596  9391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2.048  듀이십진분류법-> 951.025  
  • ·주제명 원(국명)[元]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사위민 저 ;배숙희 역 2009 SE0000481799 912.048-20-1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며-1

제1장 북쪽은 기뻐하고 남쪽은 근심하다-5
정월 초하루 대도(大都)
쿠빌라이가 융중하게 정월 초하루 조회받는 의식을 거행하다-7
정월 초하루 담주(潭州)
원나라 군사가 성을 공격하자 남송의 수위를 책임진 장령 이불(李?) 일가가 다 자살하다-27
정월 초하루 임안(臨安)
남송의 군신은 화평을 구하나 성공하지 못하고 원군의 병사가 성 아래에 이르다-35
정월 초하루 토번 산목다(算木多)
대원의 제사(帝師) 파스파는 쿠빌라이가 조속히 통일의 대업을 이루도록 멀리서 축원하다-49
정월 초하루 대도 대명전(大明殿)
원 궁정에서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은 ‘대연회[詐馬宴]’를 베풀다-55
주석-62

제2장 강남(江南)의 주인이 바뀌다-65
정월 18일 임안
송나라가 원나라에 항복하고 원군에게 나라를 전해 주는 옥새(玉璽)를 바치다-67
2월 11일 임안
원군이 입성하여 새로운 질서를 건립하는 데 착수하다-78
2월~3월 원래 남송의 통치지역
일부 남송 군대가 투항을 거절하고 저항을 견지하다-87
주석-96

제3장 무공(武功)과 문치(文治)-97
2월 25일 대도
쿠빌라이가 대도의 성을 떠나 북상하여 피서하다-99
정월~2월 사주(沙州)
서북 몽고의 종왕 호쿠가 반란하였으나 신속히 평정되다-110
정월~2월 선찬(善闡)
사이드 아잘이 운남에서 ‘문치’를 제창하여 처음으로 효과가 드러나다-122
주석-131

제4장 북상과 남하-133
3월~4월 임안에서 상도에 이르다
망한 송나라의 군신이 원군의 압송하에서 조서에 따라 북상하다-135
3월 24일 통주(通州)
문천상 등이 천신만고 끝에 위험에서 벗어나다-145
3월~4월 임안(臨安)
원 조정은 일련의 금령(禁令)을 실시하여 통치를 유지하다-152
4월 18일 강서(江西) 용호산(龍虎山)
도교(道敎) 정일도(正一道)의 천사(天師) 장종인(張宗演)이 부름을 받고 북상하다-159
주석-163

제5장 나라가 망하여 상심할 때-165
5월 초하루~초이틀 상도(上都)
망한 송나라의 군신이 원나라의 태묘(太廟)를 향해 절을 하고 쿠빌라이를 알현하다-167
5월 초하루 복주(福州)
도망 중의 남송 익왕(益王) 조시가 등극하여 ‘경염(景炎)’이라 개원하다-185
주석-189

제6장 흥학(興學)과 수력(修曆)-191
6월 6일 대도(大都)
태학생들이 상소를 올려 유학 교육을 강화하자고 건의하다-193
6월 11일 대도(大都)
사상 최대의 수력(修曆)과 측천(測天) 활동에 박차를 가하다-205
6월 15일 대도(大都)
쿠빌라이가 부서를 설치하여 역사를 편찬하라고 명하다-213
주석-220

제7장 정기가(正氣歌)-221
8월 13일 양주(揚州)
원나라 군대가 남송의 지방장관을 사형에 처하고 회동(淮東)의 전쟁이 종식되다-223
6월~8월 사천(四川)
송군이 반공하여 중경의 포위를 풀다-228
8월 7일 대도(大都)
쿠빌라이가 서북의 반왕(叛王)을 토벌하라고 명령을 내리다-233
11월 15일 복주(福州)
남송의 유제(幼帝)가 배를 타고 바다로 들어가 작은 조정이 해상에서 표류하다-239
주석-251

제8장 대일통(大一統)-253
12월 30일 대도(大都)
쿠빌라이는 강남의 가혹한 잡세를 면해 주고 군신들에게 큰 상을 내리다-255
마무리: 대일통(大一統) 후의 약간의 근심-267
주석-285

부록1: 남송세계표(南宋世系表)-286
부록2: 원조세계표(元朝世系表)-287
부록3: 지원 13년 송원 주요 고위관료의 간략한 전기-288

주요 참고문헌-321
찾아보기-325
옮긴이의 말-337